$\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원 환자의 욕창예방과 중재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n Algorithm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ressure Ulcer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2 no.4, 2010년, pp.353 - 364  

김진미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  박정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lgorithm for preventing and managing of pressure ulcer and to verify the its appropriateness. Methods: The first step was development of a pre-algorithm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opinion. The second step was to establish content va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 위함이다. 또한 신경외과 중환자실 등 특정부서만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외과계, 내과계 중환자실뿐만 아니라, 욕창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병동까지 연구대상으로 하여 다양한 부서에서 욕창발생 위험군 환자 간호에 도움이 되게 하였다. 중환자 욕창예방 프로토콜 개발연구(Lee, 2004)와 개심술 환자 욕창예방 프로토콜 개발연구(Lee, 2008)는 특수 분야에만 활용가능하다는 제한점이 있었다.
  • 본 연구는 국내의 임상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욕창 예방및 중재의 체계적 중재방안을 마련하고자 알고리즘을 개발 하여 전문가 및 임상 타당도를 검정하였다.
  • 본 연구는 욕창예방과 중재를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정하여, 병원 간호사에게 체계적인 간호활동의 틀을 제시하고 병원 간호실무의 수준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입원 환자의 욕창예방과 중재를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욕창예방과 중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임상지침을 포함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체계적인 욕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욕창예방과 중재 시의 간호활동의 방향을 제시하여 간호실무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욕창은 어떤 상태를 말하는가? 욕창은 신체의 특정 부위에 지속적으로 압력이 가해질 때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해 조직에 국소적 허혈 상태가 초래되어 세포에 산소와 영양소 공급이 차단되고 대사산물인 노폐물이 세포에 축적되어 조직 손상이 초래된 상태이다(Jan, K., Katrin, B.
입원 환자에게 욕창이 발생하면 간호 제공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입원 환자에게 욕창이 발생하게 되면 고통과 불편을 줄뿐만 아니라 욕창 치료로 인해 재원일수가 길어지고, 합병증 발생의 위험이 증가하며 심한 경우 생명을 위협하고 사망까지 초래하는 중대한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또한 간호제공자 측면에서는 주의태만, 잘못된 환자관리로 인한 죄책감, 실패감 등의 감정으로 인하여 간호업무 수행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Beckmann, 1995). 따라서 체계적인 방법으로 욕창예방과 중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미국 욕창 발생율은 얼마인가? 욕창이 발생하는 빈도는 대상자가 처한 환경이 다양하고 자료수집방법이 서로 달라서 상당히 다르게 보고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입원 환자의 욕창 발생률이 3.5~29.5% (Agency for Health Care Policy and Research [AHCPR], 1992, 중환자실 환자의 욕창발생률은 5.2~12.4%로 보고되고 있다(AHCPR, 1992; Boyle & Green, 2001).우리나라의경우 전체적인 욕창 발생률에 대한 통계는 없으나, 신경계  중환자의 경우 2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gency for Health Care Policy and Research (1992). Pressure ulcers in adults: Prediction and prevention, No. 92-0047.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Rockville, MD. 

  2. Beckmann, J. D. (1995). Nursing malpractice: Implication for clinical practice and nursing education. Seattle, WA: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3. Bergstrom, N., Braden, B. J., Laguzza, A., & Holman, V. (1987). The braden scale for predicting pressure sore risk. Nursing Research, 36(4), 205-210. 

  4. Bolye, M., & Green, M. (2001). Pressure sore in intensive care: Defining their incidence and associated factors and assessing the utility of two pressure sore risk assessment tools. Australian Critical Care, 14(1), 24-30. 

  5. Bridgeman, T., Flores, M., Rosenbluth, G., & Pierog, J. (1997). One emergency department's experience: Clinical algorithms and documentation.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3(4), 316-325. 

  6. Dickerson, S. S. (2001). Guidelines for evaluating tools for clinical decision making.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6(5), 215-220. 

  7. European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2003). Pressure ulcer treatment guidelines. Web site: http://www.epuap.org 

  8. Kim, Y. K. (2000). Evaluation of predictive validity for the pressure ulcer risk assessment tool II.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2(2), 37-51. 

  9. Kwon, E. S. (2005). A study on the hospital nurses knowledge,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pressure ulcer ca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0. Lee, H. J. (2008).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a pressure ulcer prevention protocol for patients with open heart surgery.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1. Lee, J. G. (2003). The relationship of risk assessment using Braden Scale and development of pressure sore in neurologic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5(2), 267-277. 

  12. Lee, M. O. (2000). Knowledge level of pressure ulcer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2(4), 619-628. 

  13. Lee, M. S. (2004). The effect of pressure ulcer prevention protocol on the reduction of pressure ulcer development in ICU.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University, Busan. 

  14. Lietzau, J. (1996). Teaching symptom management of HIV/ AIDS using algorithms. Cancer Nurs, 19(4), 263-268. 

  15. Lim, K. C., & Song, M. S. (1996). The effect of position change including 30。laterally inclined position in decubitus ulcer prev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8(2), 274-290. 

  16. Lim, M. S. (2006). A study on the pressure ulcers for neurologic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University, Busan. 

  17. Lynn, M.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 382-385. 

  18. Park, M. H. (2006).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evidence based nursing. Seoul: Gunja Publishing Co. 

  19. Park, S. A. (2002). Development of a decision making tree for the prevention of pressure ulc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 Park, S. M. (1999). Predicting risk factors for pressure sores in patients undergoing operation; Prospective study.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University, Busan. 

  21. Paul, S. (1999). Developing practice protocols for advanced practice nursing. AACN Clinical Issues, 10(3), 343-355. 

  22. Jan, K., Katrin, B., Theo, D., & Sarah, H. (2009). Pressure ulcers: A critical review of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s. Ostomy/Wound Management, 55(9), 22-29. 

  23. Registered Nurses Association of Ontario (2007). Nursing best practice guideline-shaping the future of nursing, revised march. Assessment & Management of Stage I to IV pressure ulcers, Ontario Canada. 

  24. Royal College of Nursing (2001). Pressure Ulcer Risk Assessment and prevention. Recommendations,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25. Rycroft, M. J. (2009). "Protocol based care: The standardization of decision making?"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8(10), 1490-1500. 

  26. Song, M. S., & Choi, K. S. (1991). Predicting risk factors for pressure sor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1(1), 16-26. 

  27. Yang, J. J. (200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algorithm for the emergency nursing care of dyspneic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University, Chonna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