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목련과 식물의 항균 및 항산화활성
Studies on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Magnoliaceae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38 no.6, 2010년, pp.579 - 586  

이성숙 (국립산림과학원) ,  이학주 (국립산림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련과 식물의 활용도 제고를 위해 항산화제, 식품첨가제 개발에 필요한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검정하였다. 우선 목련과 총 11종 식물의 수피, 잎, 목부, 꽃 및 열매의 에탄올 조추출물을 1,000 ${\mu}g/m{\ell}$로 조제하여 항진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일본목련 수피가 백색부후균인 Trametes versicolor를 제외한 모든 공시균주에 대하여 50% 이상의 균사생장억제율을 나타내어 항균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이 일본목련 목부로 탄저병균인 Glomerella cingulata와 목재부후균인 T. versicolor, Tyromyces palustris를 제외한 공시균주에 대하여 50% 이상의 균사생장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수종별로는 일본목련이 가장 항균활성이 우수하여 수피, 잎, 목부 모두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목련, 함박꽃나무 순이었다. 부위별로는 수피가 가장 활성이 우수하였으며 백목련, 자목련의 경우에는 다른 부위에 비해 꽃의 항균활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프리라 디칼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활성을 검정한 결과에서는 100 ${\mu}g/m{\ell}$의 농도에서 태산목 수피와 잎이 70% 이상의 소거능을, 그리고 초령목 수피와 잎, 흑오미자 줄기 및 남오미자 줄기가 90% 이상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특히, 흑오미자 줄기 및 남오미자 줄기는 10 ${\mu}g/m{\ell}$의 농도에서 각각 41.2%와 44.4%의 소거능을 나타내어 합성 항산화제인 butylated hydroxyanisole 및 천연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과 동등한 항산화활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금후 흑오미자 및 남오미자 줄기와 같이 항산화활성 우수 시료는 활성물질 분리 및 구조 동정, 안전성 검정 등을 통하여 식품보존제 및 화장품 소재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tifung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Magnoliaceae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for the natural fungicides and food preservatives. The antifung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were evaluated as a hyphal growth inhibition rate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1) Hyphal growth inhibition ratio was determined by 1,000 mg/ℓ of each sampl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목의 추출성분으로 상업화된 대표적인 예는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추출성분의 목재 내 함유량은 5% 전후로 소량이지만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품화되고 있다. 난소암 등에 효과가 있는 주목나무 열매의 taxol이나 항산화제로 시판되고 있는 Pinus maritima 수피의 pycnogenol (Rohdewald, 2002) 등은 수목의 추출성분으로서 상업화된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인공합성품에 의존해 오던 항산화제, 항균제 및 농약 등이 인체 및 환경에 대한 안전성이 문제가 되는(Branen, 1975; Choe와 Yang, 1982) 반면, 식물이 필요에 의해 체내에 보유하고 있거나 생성하는 천연화합물의 효과는 온화하여 상대에 대해 비파괴적이라고 할 수 있다.
목련의 꽃봉오리는 한방에서 어떻게 쓰이고 있는가? 목련과 식물의 대표적인 식물인 목련의 꽃봉오리는 한방에서 신이(辛夷)라 불리며 두통, 비색, 치통, 축농증에 쓰이고 있으며, 수피 추출성분에는 항균활성(김윤근 1999) 및 항염증활성(Kang 등, 2008)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일본 목련의 경우에도 항균활성(Chang 등, 1998; Mori 등 2000; Choi 등 2009), 항암활성(Min 등, 2008), 면역억제 효과(Min, 2008) 등이 알려져 있다.
목련과 식물의 대표적인 식물인 목련은 항균활성, 항염증 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일본목련은 무슨 효능을 가지고 있는가? 목련과 식물의 대표적인 식물인 목련의 꽃봉오리는 한방에서 신이(辛夷)라 불리며 두통, 비색, 치통, 축농증에 쓰이고 있으며, 수피 추출성분에는 항균활성(김윤근 1999) 및 항염증활성(Kang 등, 2008)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일본 목련의 경우에도 항균활성(Chang 등, 1998; Mori 등 2000; Choi 등 2009), 항암활성(Min 등, 2008), 면역억제 효과(Min, 2008)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목련 및 일본 목련 이외의 다른 목련과 수목의 추출성분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므로 목련과 식물의 활용도 제고를 위해 항산화제 및 식품첨가제 개발에 필요한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검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ranen, A. 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 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er. Oil Chem. Soc. 52: 59-63. 

  2. Chang, B. S., Y. M. Lee, Y. Ku, K. H. Bae, and C. P. Chung. 1998. Antimicribial activity of magnolol and honokiol against periodontopathic microorganisms. Planta. Med. 64: 367-369. 

  3. Choe, S. Y. and K. H. Yang. 1982. Toxicological studies of antioxidants,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Korean J. Food Sci. Technol. 14(3): 283-288. 

  4. Choi, N. H., G. J. Choi. B.-S. Min, K. S. Jang, Y. H. Choi, M. S. Kang, M. S. Park, J. E. Choi, B. K. Bae, and J.-C. Kim. 2009. Effects of neolignans from the stem bark of Magnolia obovata on plant pathogenic fungi. J. Appl. Microbiol. 106: 2057-2063. 

  5. Kang, J. S., K. H. Lee, M. H. Han, H. Lee, J.-M. Ahn, S.-B. Han, G. Han, K. Lee, S.-K. Park, and H. M. Kim. 2008.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isolated from stem bark of Magnolia kobus. Phytother. Res. 22: 883-888. 

  6. Kuo, Y.-H., M.-D. Wu, R.-L. Huang, L.-M. Y. Kuo, Y.-W. Hsu, C-C. Liaw, C.-C. Hung, Y.-C. Shen, and C.-W. Ong. 2005. Antihepatitis activity (Anti-HBsAg and Anti-HBeAg) of C19 homolignans and six novel C18 dibenzocyclooctadiene lignans from Kadsura japonica. Planta. Med. 71(7): 646-653. 

  7. Min, B.-S., U. Youn and K. Bae. 2008. Cytotoxic compounds from the stem bark of Magnolia obovata. Nat. Prod. Sci. 14(2): 90-94. 

  8. Min, B.-S. 2008. Anti-complement activity ot phenolic compounds from the stem bark of Magnolia obovata. Nat. Prod. Sci. 14(3): 196-201. 

  9. Mori, M., M. Aoyama, and S. Doi. 2000. Antifungal constituents in the bark of Magnolia obovata Thunb. J. Hokkaido For. Prod. Res. Inst. 14(1). 1-5. 

  10. Noshita, T., H. Kiyota, Y. Kidachi, K. Ryoyoma, S. Funayama, K. Hanada, and T. Murayma. 2009. New cytotoxic phenolic derivatives matured fruits of Magnolia denudata. Biosci. Biotechnol. Biochem. 73(3): 726-728. 

  11. Rohdewald, P. 2002. A review of the French maritime pine bark extract (Pycnogenol), a herbal medication with a diverse clinical pharmacology. Int. J. Clin. Pharmacol. Ther. 40(4): 158-168. 

  12. 고경식, 김윤식. 1994. 원색한국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pp, 12-607. 

  13. 김순임, 심기현, 주신윤, 한영실. 2009. 추출 조건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의 항산화 및 혈당 강하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학회지 22(1): 41-47. 

  14. 김세현, 이갑연, 백을선, 한진규, 강문수. 2010. 국내자생 오미자과 3수종의 잎 형태, 엽록소 함량 및 목부해부학적 특성.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3(1): 31-37. 

  15. 김윤근. 1999. 목련(Magnolia kobus DC. var. borealis Sarg) 추출성분의 항균성에 관한 연구. 목재공학 27(1): 105-114. 

  16. 김철희, 권민철, 김효성, 안주희, 최근표, 최영범, 고정림, 이현용. 2007. 오미자의 전통발효에 의한 면역활성증진.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5(3): 162-169. 

  17. 노진우, 황인국, 정은미, 김현영, 장성준, 정헌상. 2009. 목련(Magnolia denudata Desr.) 꽃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8(11): 1478-1484. 

  18. 이성숙, 이학주, 최돈하. 2004. 수목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XV)-과별에 따른 항균 및 항산화 활성-. 목재공학 32(4): 8-17. 

  19. 이성숙, 최돈하, 이학주, 강하영. 2000. 수목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II) -느티나무 심재의 항균 및 항산화물질-. 목재공학 28(2): 32-41. 

  20. 이창복. 1993.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p. 1-791. 

  21. 전연희, 길진희, 임소민, 김미현, 김미라. 2008.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illon)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돌연변이 활성 분석.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8(5): 746-752. 

  22. 조영제, 주인식, 김병철, 이우식, 김미자, 이병구, 안봉전, 김정환, 권오준. 2007.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illon)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50(3): 198-203. 

  23. 현규환, 김학진, 신수철. 2000. 흑오미자의 성분분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3(1): 35-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