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농산물 및 농산가공품 중 비소 허용기준에 관한 국내외 동향
Trends of Arsenic Maximum Levels on Agricultural Commodities and 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5 no.1, 2010년, pp.16 - 23  

백민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강원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류지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김진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김미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임건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홍무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엄애선 (한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농산물 및 그 가공품 중의 비소 오염도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비소가 과다하게 검출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Codex를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 위해 관리의 근거가 되는 식품 중 허용 기준이 미비한 상황이며, 우리나라도 소금과 캡슐에 대한 기준 외에는 식품 중 비소 기준이 전무하다. 호주(뉴질랜드)에서는 곡류에만 총비소 기준으로 1.0 mg/kg으로 설정되어 규제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독성이 강한 3가 비소기준으로 설정해 놓았으나 이는 잠정허용기준으로 법적인 강제성을 가지지 못하는 권고수준이다. 예외적으로 중국의 경우 농산물에는 무기비소 기준으로, 농산가공품의 경우 총비소 기준으로 식품을 품목별로 구분하여 체계적이고 엄격한 위해 관리를 시행하고 있다. 향후 우리나라의 농산물 및 그 가공품에 대한 비소의 실효성 있는 관리 정책을 위해서는 독성이 강한 무기비소를 기준으로 허용기준을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식품 중 비소의 화학종별 분석기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향후 우리나라에서 농산물 중의 비소에 대한 보다 실효성을 거둘 수 있는 위해 관리 방안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농산물 중 독성이 강한 무기비소의 함량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이에 대한 확률적 노출평가를 실시하여 위해성을 평가하고 국가차원에서 보다 현실적인 규제영향 분석을 실시하되, 이러한 일련의 정책과정을 거치는 동안 대국민과 관련기관을 대상으로 위해 평가와 정책결정 논리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등 합리적인 정책결정을 도출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concerns about Arsenic (As) contamination in agricultural foods have currently increased, there in on adequate international risk management standards for As particularly on agricultural commodities and 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This scenario holds true also in Korea. Australia,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국제적인 농산물 및 그 가공품 중 비소의 오염 현황을 살펴보고, 국가별 농산물 및 그 가공품 중 비소의 관리근거가 되고 있는 허용기준에 대한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그 기준을 준용하도록 되어 있는 Codex 기준은 우리나라 국민의 섭취빈도 등의 국민적 특성이 반영되지 않은 수치로서, 그 예로 국외에서 비소 오염 사례가 다수 보고되어 오고 있는 쌀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식인 점을 감안 하면 그 위해성이 높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국민을 보호할 수 있는 관리근거가 부재한 것이다12-14). 따라서,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국제적 대응조치로서 우리나라 국-민의 식이특성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에서 생산되고 유통되는 농산물, 특히 주식인 쌀에 대한 비소 화학종별 오염 조사와 독성위해 평가 작업을 진행하 . 고, 이를 근거로 한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 Some drinking-water disinfectants and contaminants, including arsenic, In IARC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to humans (v. 84),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Lyon, France (2004). 

  2. Public Health Service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 Toxicology profile for arsenic, Public Health Service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U.S. DHHS, Atlanta, Georgia (2007). 

  3.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 17th Report of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Technical Report Series No. 539,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1974). 

  4.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 Evaluation of certain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thirtry-third report of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WHO Technical Report Series, No. 776 (1989). 

  5.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 Toxicological evaluation of certain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WHO Food Additives Series, No. 24 (1989). 

  6.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 Development of arsenic speciation metholodogy for determinaing background exposure levels of inorganic arsenic in dietary samples and application to in vitro bioaccessibility studies (2009). 

  7.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 : List of substances scheduled for evaluation and request for data,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Rome, Italy (2010). 

  8. Food Standard Agency (FSA) : Measurement of the concentrations of metals and other elements from the 2006 UK total diet study (2009). 

  9. Das, H.K., Mitra, A.K., Sengupta, P.K., Hossain, A., Islam, F. and Rabbani, G.H. : Arsenic concentration in rice, vegetables and fish in Bangladesh: A preliminary study. Environ. Int., 30, 383-387 (2004). 

  10. Khan, N.I., Owens, G., Bruce, D. and Naidu, R. : Human arsenic exposure andrisk assessment at the landscape level: a review. Environ. Geochem. Health, 31, 143-166 (2009). 

  11. Marin, A.R.,Masscheleyn, P.H. and Patrick Jr,W.H. : Soil redox-pH stability of arsenic species and its influence on arsenic uptake by rice. Plant Soil, 152, 245-253 (1993). 

  12. Meharg, A.A., Sun, G., Williams, P.N., Adomako, E., Deacon, C., Zhu, Y.G., Feldmann, J. and Raab, A. : Inorganic arsenic levels in baby rice are of concern. Environ. Pollut., 152, 746-749 (2008). 

  13. Zhu, Y.G., Sun, G.X., Lei, M., Teng, M., Liu, Y.X., Chen, N.C., Wang, L.H., Carey, A.M., Deacon, C., Raab, A., Meharg, A.A. and Williams, P.N. : High percentage inorganic arsenic content of mining impacted and non-impacted Chinese rice. Environ. Sci. Technol., 42, 5008-5013 (2008). 

  14. Potera, C. : Food safety: U.S. rice serves up arsenic. Environ. Health Perspect., 115(6), A 296 (2007). 

  15. Zavala, Y.J., Gerads, R., Gurleyuk, H. and Duxbury, J.M. : Arsenic in rice; II. Arsenic speciation in USA grain and implications for human health. Environ. Sci. Technol., 42(10), 3861-3866 (2008). 

  16. European Commission : Scientific co-operation (SCOOP) report on heavy metals in food, Directorate-General Health and Consumer Protection, European Union (2004). 

  17. Kim, M.K., Kim, W.K., Jung, G.B. and Yun, S.G. : Safety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agricultural products of Korea. Korean J. of Environm. Agriculture, 20(3), 169-174 (2001). 

  18.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 Guideline for the study of dietary in takes of chemical contaminants, WHO offset Publication No.87,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1985). 

  19. Lee, J.S. and Chon, H.T. : Human risk assessment of toxic heavy metals around abandoned metal mine sites. Econ. Environ. Geol., 39(1), 73-86 (2004). 

  20. Lee, J.S., Chon, H.T., Kim, K.W. and Kim J.Y. : Risk assessment of toxic heavy metals in abandoned metal mine areas. Geosystem Engineering, 40(4), 264-273 (2003). 

  21.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 Methodology for the exposure risk and legal standards of heavy metals in agriculture products (2006). 

  22.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 Survey on the heavy metals in agricultural products (2006). 

  23.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 Dietary intake and risk assessment of contaminants in Korean foods (2004) 

  2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 Research of inorganic arsenic in food (2002). 

  25.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 Classification of Food Raw Material (2008). 

  26. Joint FAO/WHO Food Standard Programme : Codex Alimentarius Vol. 2, Pesticide residues in food, Section 2, Codex classification of foods and animal feeds, FAO/WHO, Rome, Italy (1993). 

  27. Commission Regulation (EC) : Setting maximum levels for certain contaminants in foodstuffs, No 1881/2006 of 19 December 2006 (2006). 

  28. Food Standards Australia New Zealand (FSANZ) : Australian New Zealand Food Standards Code, Standard 1.4.1 contaminants and natural toxicants (2009). 

  29. Japan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Specifications and standards for food, food additives, etc. (2006). 

  30.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 Chinese food standard II (2007). 

  31.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 Chinese food standard III (2007). 

  32. Food Standard Agency (FSA) : Committee on Toxicity of chemicals in food, consumer products and the environment, Statement on arsenic in food: Results of the 1999 total diet study (2003). 

  33. Park, K.S., Kim, J.S., Lee, H.M., Pyo, H.S., Kim, S.T. and Lee, K.B. : Speciation of six arsenic compounds in Korean seafood samples by HPLC-ICP-MS. Key Engin. Mat., 277-279, 431-437 (2005). 

  34. Codex Alimentarius : CAC/GL 62: Working Principles for Risk Analysis for Food Safety for Application by Governments (2007). 

  35. Codex :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strategic plan 2008-2013, Appendix IX (2007). 

  36. Joint FAO/WHO Food Standards Programme : Codex committee on contaminants in foods, 3rd session, Rotterdam, Netherland (2009). 

  37. Dahal, B.M., Fuerhacker, M., Mentler, A., Karki, K.B., Shrestha, R.R. and Blum, W.E.H. : Arsenic contamination of soils and agricultural plants through irrigation, water in Nepal. Environ. Pollut., 155, 157-163 (2008). 

  38. Meharg, A.A., Lombi, E., Williams, P.N., Scheckel, K.J., Feldmann, J., Raab, A., Zhu, Y.G. and Islam, R. : Speciation and localization of arsenic in white and brown rice grains. Environ. Sci. Technol., 42, 1051-1057 (2008). 

  39. Cheng, W.D., Zhang, G.P., Yao, H.G., Wu, W. and Xu. M. : Genotypic and environmental variation in cadmium, chromium, arsenic, nickel, and lead concentrations in rice grains. J. Zhejiang Univ. Sci. B., 7(7), 565-571 (2006). 

  40. Zhu, Y.G., Williams, P.N. and Meharg, A.A. : Exposure to inorganic arsenic from rice: A global health issue? Environ. Pollut., 154, 169-171 (2008). 

  41. Smith, E., Juhasz, A.L., Weber, J and Naidu, R. : Arsenic uptake and speciation in rice plants grown under greenhouse conditions with arsenic contaminated irrigation water. Sci. Total Environ., 392, 277-283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