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 과소화 실태와 전망
A Study on the Actual State and Prospect for a Diminishing in Population of Rural Community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17 no.4, 2010년, pp.773 - 797  

이병기 (협성대학교 도시지역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years, being advanced the phenomena of fewness and aging rapidly in rural areas, rural community has been collapsed fastly. This study is aimed for two intentions: the one is identification of the actual conditions of rural diminishing in population, and the other is having a view of real pi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촌문제의 근간은 무엇인가? 농촌문제는 농촌인구 감소와 노령화에 그 근간을 두고 있다. 농촌인구의 지속적 감소는 그 지역의 시장구매력 저하로 이어지고, 이러한 시장의 축소는 다양한 서비스 기능으로 하여금 입지 임계치를 충족시키지 못해 신규 입지를 제약하거나 기존 중심시설의 퇴출을 야기함으로써 정주기반을 허약하게 만든다.
최근 일어난 농촌개발 관련 연구 활동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최근 농촌의 어려움을 배경으로 농촌개발 관련 연구 활동들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기는 하나, 대개 구체적인 농촌정책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그 성과와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미시적 수준의 연구 경향을 뚜렷이 보이고 있다. 정주권개발사업의 성과분석 및 향후 발전방안(윤원근 외, 2005), 살기 좋은 농촌만들기를 위한 정책재편방안(송미령 외, 2006),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시행효과 분석(박윤호 외, 2008), 국토공간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농촌중심지 발전방안(성주인, 2008) 등 최근 수행된 관련 연구들에서 농촌정책 프로그램 지향의 미시적인 연구경향을 뚜렷이 읽을 수 있다. 농촌지역의 급격한 구조적 변화 속에서 자리매김 되어야 할 농촌정책의 방향과 과제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은 제쳐둔 채 현상적이고 지엽적인 개발 문제에만 집착하고 있는 실정이다.
누적된 농촌인구의 고도한 탈농촌 러시로 일어난 농촌지역의 상황은? 그동안 누적된 농촌인구의 과도한 탈농촌 러시로 농촌지역은 공동화되고 고령화되어 활력이 크게 저하되고 있다. 그 와중에 농촌지역의 정주여건 또한 지속적이고 악화되어온 나머지 삶의 공간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이 크게 위축되기에 이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고영종 외 역. (1997). 현대지역이론과 정책. 한울아카데미. 

  2. 농림수산식품부. (2006). 2006 농림업 주요통계. 

  3. 농어업, 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 (2009). 농촌정주기반 실태와 개선과제. 

  4.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편저. (2006). 농촌계획의 이론과 실제. 보성각. 

  5. 박윤호 외. (2008).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시행효과 분석. 한국농촌공사 농어촌연구원. 

  6. 성주인 외. (2008). 국토공간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농촌중심지 발전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7. 송미령 외. (2006). 살기좋은 농촌만들기를 위한 정책재편방안. 한국농촌 경제연구원. 

  8. 윤원근 외. (2005). 정주권개발사업의 성과분석 및 향후 발전방안. 농림부, 농업기반공사. 

  9. 윤원근. (2003). 국토정책과 농촌계획. 보성각. 

  10. 이병기. (2008). 참여정부 농촌개발정책의 회고. 농촌지도와 개발, 15(1), 한국농촌지도학회. 

  11. 통계청. 2006년, 2007년, 2008년 시군구 인구동태 건수 및 동태율. 국가통계포털. 

  12. 통계청. 2008년 시군구 합계출산율 모의 연령별 출산율. 국가통계포털. 

  13. 통계청. (2008). 2007년 인구동태통계연보. 

  14. 통계청. (2007). 2006년 국내인구이동통계연보. 

  15. 통계청. (2008). 2007년 국내인구이동통계연보. 

  16. 통계청. (2009). 2008년 국내인구이동통계연보. 

  17. Friedmann, J. & C. Weaver. (1979). Territory and Function: the Evolution of Regional Planning. London: Edward Arno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