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활용한 지역브랜드 개발
Developing Local Brand Using Image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17 no.4, 2010년, pp.827 - 849  

김미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박덕병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노경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손은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brand image for developing place name and local brand to create effective development. The data were collected purposive sampling technique by face-to face interview. 154 of resident and 152 of visitor in Seocheon county were used for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ana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농촌 지역의 브랜드 개발을 위한 이미지 연구는 축제, 특산품, 관광명소, 인물, 캐릭터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지역의 역사성이나 정체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지명을 활용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천군에 산재하는 자연마을 지명에 대한 선호도와 브랜드 이미지를 도출하는데 주목적이 있으며, 이는 향후 서천군 브랜드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지며 서천군을 대상으로 지역민과 방문객이 선호하는 자연마을 지명과 형용사이미지를 연결한 브랜드개발 방안을 제안하고자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하지만 상기와 같은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지명의 스토리를 활용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백승국 등(2008)은 스토리가 복잡한 개념을 쉽게 전달함으로써 정보 전달에 효과적이고, 거기에 오락적 기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수용자들에게 강압적이 아닌 유혹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고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 브랜드는 어떤 두 가지의 이미지를 결합한 것이어야 하나? 관광객들은 목적지를 그 장소의 상징, 특성, 선호도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가진 하나의 브랜드로 인식하며, 일반 소비재를 구매할 때와 다름없이 그 브랜드가 가지는 공감되는 이미지와 가치로 목적지를 선택한다(이태희, 2001; Gartner, 1989; Hosany, Ekinci, & Uysal, 2007). 관광목적지 이미지는 크게 인지적인(cognitive) 것과 감정적인(affective) 것으로 구분된다. 그리하여 지역 브랜드는 이러한 두 가지 이미지를 결합한 것이어야 한다(Baloglu, Brinberg, 1997; Baloglu & McCleary, 1999; Hosany et al.
지금까지 진행된 농촌 지역의 브랜드 개발을 위한 이미지 연구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지금까지 농촌 지역의 브랜드 개발을 위한 이미지 연구는 축제, 특산품, 관광명소, 인물, 캐릭터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지역의 역사성이나 정체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지명을 활용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천군에 산재하는 자연마을 지명에 대한 선호도와 브랜드 이미지를 도출하는데 주목적이 있으며, 이는 향후 서천군 브랜드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지역브랜딩에서 핵심적인 요소는 무엇인가? 브랜드는 마케팅 분야에서 상품이나 서비스에서 폭넓게 사용되어왔지만, 최근 장소마케팅이 강조되면서 관광과 연계하여 관광목적지나 관광활동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Botha, Crompton, & Kim, 1999; Buhalis, 2000; Fan, 2005; Go & Govers, 2000; Qu, Hyunjung, & Im, 2010; Usakli & Baloglu, 2011). 지역브랜딩은 일괄적인 브랜드 요소의 결합을 통하여 지역의 차별적인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 핵심적인 요소이다(Cai, 2002). 그리하여 지역 브랜드는 지역주민이나 방문객들의 기억 속에 형성되어 있는 장소에 관한 인지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김미희, 박덕병, & 노경희. (2009). 강릉시의 지명활용 지역브랜드활용을 위한 이미지 조사 및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추계심포지엄 자료집, 100. 

  2. 김순배, & 김영훈. (2010). 지명의 유형분류와 관리방안. 대한지리학회지, 45(2), 201-220. 

  3. 백승국, 오장근, & 전형연. (2008). 지역문화브랜딩 프로세스 모델연구. 인문콘텐츠, 12, 217-248. 

  4. 이민정. (2004). 도시 이미지홍보를 위한 도시브랜드에 관한 연구: 울산 도시브랜드 개발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5. 이유재, & Batra, R. (1999). 한국기업의 해외시장에서의 브랜드구축에 관한 연구 -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국마케팅저널, 1(3), 79-108. 

  6. 이정훈. (2006). 지역브랜드 전략의 체계와 방법 試論. 지방행정, 55, 630. 

  7. 이태희. (2001). 한국관광목적지 브랜드 창출을 위한 브랜드 지수 평가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25(3), 171-192. 

  8. 이태숙, & 김철원. (2008). 컨벤션 개최지의 브랜드 개성 척도 개발. 관광학연구, 32(2), 171-192. 

  9. 윤태환. (2009). BPS를 이용한 관광목적지 브랜드 평가척도의 개발. 관광학연구, 33(6), 261-279. 

  10. 윤태환, & 전재균. (2009). 관광목적지의 이미지와 브랜드 개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21(1), 65-85. 

  11. 장순종. (2008). 서천군 농촌관광 현황과 발전방안. 농촌지도와 개발, 15(1), 189-204. 

  12. 특허청. (2002). 전통상품도 브랜드화 시대. 보도자료. 대전: 특허청. 

  13. 특허청. (2006). 지방에 거세게 부는 브랜드 열풍. 보도자료. 대전: 특허청. 

  14. 황윤용. (2005). 지역축제의 장소마케팅에 대한 장소브랜드 관계결속요인에 대한 연구, 관광학연구, 29(2), 255-276. 

  15. Aaker, D. A. (1996). Building Strong Brand. New York: Free Press. 

  16. Baloglu, S. & Brinberg, D. (1997). Affective images of tourism destination. Journal of Travel Research, 35(4), 11-15. 

  17. Baloglu, S. & McCleary, K. (1999). A model of destination image forma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26(4), 868-897. 

  18. Botha, C., Crompton, J. L., & Kim, S. (1999). Developing a revised competitive position for sun/lost city. South Africa. Journal of Travel Research, 37(4), 341-352. 

  19. Buhalis, D. (2000). Marketing the competitive destination of the future. Tourism Management, 21(1), 97-116. 

  20. Cai, A. (2002). Cooperative branding for rural destinations. Annals of Tourism Research, 29(3), 720-742. 

  21. Cai, A. (2002). Cooperative branding for rural destinations. Annals of Tourism Research, 29(3), 720-742. 

  22. Crompton, J. L., Fakeye, P. C., & Lue, C. (1992). Positioning: The example of the lower Rio Grande Valley in the winter long stay destination market. Journal of Travel Research, 31(2), 20-26. 

  23. Ekinci, Y., & Hosnay, S. (2006). Destination Personality: An Application of Brand Personality to Tourism Destinations. Journal of Travel Research, 45, 127-139. 

  24. Fan, Y. (2006). Branding the nation: what is being branded? Journal of Vacation Marketing, 12(1), 5-14. 

  25. Gartner, W. (1989). Image Formation Process. Journal of Travel and Tourism Marketing, 2(2/3), 191-215. 

  26. Go. F. & Govers, R. (2000). Integrated quality management for tourist destination: A European perspective on achieving competitiveness. Tourism Management, 21(1), 79-88. 

  27. Hosany, S., Ekinci, Y., & Uysal, M. (2007). Destination image and destination persona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e,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1(1), 79-81. 

  28. Keller, K. L. (2001). 브랜드매니지먼트. Strategic Brand Management. 브랜드매니지먼트(주) 옮김. 서울: 브랜드앤컴퍼니. 

  29. Kotler P., & Armstrong, G. (1994). Principles of marketing. New York: Prentice Hall. 

  30. Kotler, P., & Armstrong, G. (2006). Principle of marketing (11th international edition). New Jersey: Prentice Hall. 

  31. Morgan, N., & Pritchard, A. (2002). Contextualising Destination Branding, in Morgan. N. Pritchard, A. & Pride, R. (Eds.), Destination Branding: Creating the Unique Destination Proposition. Oxford: Butterworth- Heinimann. 

  32. Pike, S. (2009). Destination brand positions of a competitive set of near-home destinations. Tourism Management, 30(6), 857-866. 

  33. Qu, H., Kim, L. H., & Im, H. H. (2010). A model of destination branding: Integrating the concepts of the branding and destination image. Tourisim Management (in press). 

  34. Santos, C. A. (2004). Framing Portugal Representation Dynamics. Annals of Tourism Research, 31(1), 122-138. 

  35. Um, S. & Crompton, J. (1990). Attitude determinants in tourism destination choice. Annals of Tourism Research, 17, 432-448. 

  36. Usakli, A. & Baloglu, S. (2011). Brand personality of tourist destinations: An applications of self-congruity theory. Tourism Management, 3, 114-127.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