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향상된 감귤 과실주를 개발하기 위해 감귤 가수분해물의 알코올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과(A)와 과피를 제거한 과육(B)의 감귤 가수분해물의 알코올 함량은 B 10.83%로 A 10.13%보다 조금 더 높았으며, 당함량은 A $12.98^{\circ}Brix$로 B $11.38^{\circ}Brix$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으나 알코올발효 특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Hesperidin 함량은 전과와 과피 제거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으나, narirutin 함량은 A가 $281.31\;{\mu}M$로 B $199.05\;{\mu}M$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나, 전과와 과피 제거 조건에서 전과로 설정하였다. 효모 종류에 따른 알코올발효 특성을 조사한 결과, S. bayanus EC-1118에서 알코올 함량 12.7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초기산도 0.2%일 때 알코올 함량은 12.40%로 가장 높았으며, 초기산도 0.2% 이상에서는 알코올 함량은 조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초기당도 $22^{\circ}Brix$에서 알코올 함량은 11.65%, $24^{\circ}Brix$에서는 12.85%로 가장 높게 나타나 초기당도를 $24^{\circ}Brix$로 설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alcoho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citrus fruit hydrolysates for the development of citrus fruit wine with enhanced functionality. The alcohol content of whole citrus (A) and removed peels citrus fruit (B) was 10.13% and 10.83%, respectively. The sugar cont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귤 가수분해물을 이용하여 기능성이 향상된 감귤 과실주를 개발하고자 과피 제거, 효모종류, 초기산도 및 초기당도 등에 따른 감귤 가수분해물의 알코올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향상된 감귤 과실주를 개발하기 위해 감귤 가수분해물의 알코올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과(A)와 과피를 제거한 과육(B)의 감귤 가수분해물의 알코올 함량은 B 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귤류 flavonoids의 기능성은? 감귤류에는 다양한 flavonoids가 존재하며 현재까지 약 60여 종 이상의 구조가 밝혀져 있고, 주로 hesperidin, neohesperidin 및 naringin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5,6). 감귤류 flavonoids의 기능성으로는 항산화 작용(7,8), 고지혈증 억제 작용(9,10), 충치예방효과(11)와 naringin의 항균효 과(12), hesperidin의 혈압강화 효과(13) 등이 알려져 있으며, Kim과 Kim(14)은 감귤 전과, 과피 및 과육 부위 중에서 flavonoids, vitamins 및 식이섬유 함량이 감귤 과피에서 가장 높고, 항산화능 증진과 체중감소 효과도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최근 polyphenol flavonoids를 함유한 천연 식품들은 의약품 소재 및 기능성식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어(15), 감귤류를 이용하여 기능성이 차별화된 식품소재 개발이 기대된다.
과실주가 제조되는 과정은? 과실주는 과일의 당이 효모의 작용에 의해 알코올을 생산하는 과정을 통하여 제조되며, 최근 웰빙 문화와 더불어 알코올 함량이 낮은 과실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포도를 시작으로 무화과(16), 살구(17), 딸기(18), 단감(19) 및 오디(20) 등 다양한 과실을 이용한 과실주 개발 및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감귤 가수분해물의 알코올발효 특성 중 전과와 과육을 이용했을때 알코올 함량의 차이는?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향상된 감귤 과실주를 개발하기 위해 감귤 가수분해물의 알코올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과(A)와 과피를 제거한 과육(B)의 감귤 가수분해물의 알코올 함량은 B 10.83%로 A 10.13%보다 조금 더 높았으며, 당 함량은 A 12.98°Brix로 B 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Moon YG, Lee KJ, Heo MS. 2007. Characteristics of citrus by-product ferment using Bacillus subtilis as starter 

  2. Chung SK, Kim SH, Choi YH, Song EY, Kim SH. 2000. 

  3. Choi KH, Jeong JS, Moon CH, Kim ML. 2004. Effect of carbon source supplement on the gel production from citrus 

  4. Hwang OS, Park HJ, Chun HK, Chang CM. 1990.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of vinegar from fallen apples. Res Rept RDA 32: 40-47. 

  5. Rhyu MR, Kim EY, Bae IY, Park YK. 2002. Contents of naringin, hesperidin and neohesperidin in premature Korean 

  6. Eun JB, Jung YM, Woo GJ. 1996. Identification and determination of dietary fibers and flavonoids in pulp and peel 

  7. Jeong WS, Park SW, Chung SK. 1997.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Korean Citrus unshiu peels. Food Biotechnol 6: 

  8. Anagnostopoulou MA, Kefalas P, Papageorgiou VP, 

  9. Kurowska EM, Borradaile NM, Spence JD, Carroll KK. 

  10. Kim BK, Cha JY, Cho YS. 1999. Effects of citrus flavonoid, hesperidin and naringin on lipid metabolism in HepG2 cells. 

  11. Lio M, Uyeda M, Lwanami T, Nakagawa Y. 1984. Flavonoid as a possible preventive of dental carries. Agric Biol Chem 

  12. Han SS, You IJ. 1988. Studies on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safety of natural naringin in Korea. Korean J Mycology 

  13. Son HS, Kim HS, Kwon TB, Ju JS. 1992. Isolation, purification and hypotensive effect of bioflavonoids in Citrus 

  14. Kim JH, Kim MK. 2003. Effect of different part of mandarin intake on antioxidative capacity in 15-month-old rats. J 

  15. You JM, Park JB, Seoung KS, Kim DY, Hwang IK. 2005. 

  16. Jeong MR, Cha JD, Yun SI, Han JH, Lee YE. 2005. Manufacturing of wine with Korean figs (Ficus carica L.) and quality improvement by adding fig leaves. J East Asian 

  17. Jung GT, Ju IO, Ryu J Choi JS, Choi YG. 2003. Studies on manufacture of wine using apricot. Korean J Food 

  18. Lee JM, Kim SK, Lee GD. 2003. Monitoring on alcoho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679-683. 

  19. Cho KM, Lee JB, Kahng GG, Seo WT. 2006. A study on the making of sweet persimmon (Diospyros kaki T) wine. 

  20. Kim YS, Jeong DY, Shin DH. 2008.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ulberry (Morus alba)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3-69. 

  21. Kinsella JE, Frankel E, German B, Kanner J. 1993. Possible mechanisms for the protective role of anti oxidants in wine and plant foods. Food Technol 47: 85-91. 

  22. Kanner J, Frankel E, Granit R, German B, Kinsella JE. 1994. 

  23. Koh JS, Koh NK, Kang SS. 1989. Citrus wine-making from mandarin orange produced in Cheju island. J Korean Agric 

  24. Lee MH, Huh D, Jo DJ, Lee GD, Yoon SR. 2007. Flavonoids component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citrus peel hydrolysate. 

  25. Ahn SC, Kim MS, Lee SY, Kang JH, Kim BH, Oh WK, 

  26. Korea National Tax Service Liquor Analysis Regulation. 

  27. Park WM, Park HG, Rhee SJ, Kang KI, Lee CH, Yoon KE. 

  28. Park WM, Park HG, Rhee SJ, Lee CH, Yoon KE. 2002. 

  29. Kawaii S, Tomono Y, Katase E, Ogawa K, Yano M. 1999. 

  30. Cha JY, Cho YS. 2001. Biofunctional activities of citrus flavonoid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 

  31. Frydoonfa HR, McGrath DR, Spigelman AD. 2003. The variable effect on proliferation of a colon cancer cell line by the citrus fruit flavonoid naringenin. Colorectal Dis 5: 

  32. Izumi T, Piskula MK, Osawa S, Obata A, Tobe K, Saito 

  33. Roh HI, Chang EH, Joeng ST, Jahng KY. 2008. Characteristics of fermentation and wine quality. Korean J Food 

  34. Kim JS, Kim SH, Han JS, Yoon BT, Yook C. 1999. Effects of sugar and yeast addition on red wine fermentation using campbell early.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516-521. 

  35. Hwang Y, Lee KK, Jung GT, Ko BR, Choi DC, Choi YG, 

  36. Lee HB, Yang CB, Yoo TJ. 1972.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ome fruit vegetable and fruits in Korea (I).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