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흰쥐에서 nifedipine으로 유발된 치은 증식증 및 하악선 분비기능에 대한 작약 추출물 저해효과
Relation of Paeonia lactiflora Pallas to Nifedipine-induced Gingival Hyperplasia and Impaired Submandibular Glands Function in Rats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24 no.3, 2010년, pp.470 - 475  

김성훈 (경성대학교 약학대학) ,  최종원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lcium-channel blockers such as nifedipine could be associated with gingival overgrowth.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Paeonia lactiflora Pallas(PLP) on nifedipine-induced gingival hyperplasia along with submandibular secretory function in rats. Animals in divided groups receiv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치주질환의 치료법으로는 원인과 염증제거와 원인 축적요소 요소제거 등의 비외과적 시술을 시도하며 이러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호전되지 않거나 지지골 조직의 파괴가 현저한 경우와 재발되었을 경우에 외과적 치주 치료를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비외과적 및 외과적 시술과 아울러 약제나 영양제를 투여하여 치주조직의 병적 상태 개선과 파괴된 조직을 재생시키는 방법들이 연구4-6)되고 있는 과정에서 우리 주변에 천연자원으로 부터의 가능한 물질로부터 유용 활성 물질을 찿는 일환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작약 추출물이 nifedipine에 의하여 나타나는 치육증식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관찰할 목적으로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nifedipine 유발 치육증식증과 함께 동반되는 epidermal growth factor(EGF), 총 단백질, 칼슘의 분비에 나타날 수 있는 효과에 대한 실험을 하여 천연물로부터 검색함으로서 천연물 신약 및 건강기능식품의 소재를 개발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약이란 무엇인가?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as)은 함박꽃이라고도 하며 미나리아제비과(Ranunculaceae) 또는 작약과(Paeoniaeae)에 속하는 다년생 속근초본으로 중국을 위시한 한국 및 유럽등지에 분포되어 있으며7), 한방에서는 진통, 진경, 부인병, 고혈압, 복통 및 염증의 치료제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8). 지금까지 작약에 대한 연구로는 간독성 보호작용9), 항균작용10), 항혈전작용11), 항고지혈증 작용12) 및 항산화작용 등13)이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치주 질환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치주질환이란 무엇인가? 치주질환은 복합감영성 질환으로서 조직의 파괴는 치주 병인균 및 병인균의 대사산물에 의하여 발생하며 이를 둘러싼 연조직에 나는 염증, 잇몸이 붓고 딱딱하여 지며 나중에는 이가 빠지는데, 주위 조직을 침식하는 치구가 잇몸 밑의 이에 침착하여 생기며 한의학에서는 풍치라고 한다. 치주질환은 병인균에 대해 숙주가 과도한 반응을 보일 경우 염증 세포에 의하여 matrix metalloproteinase(MMP)와 단백질 분해 효소의 활성도가 증가한다1).
치주질환의 병인균에 대해 숙주가 과도한 반응을 보일 경우에 염증 세포에 의해 활성화된 MMP는 어떤 문제들을 유발하는가? 치주질환은 병인균에 대해 숙주가 과도한 반응을 보일 경우 염증 세포에 의하여 matrix metalloproteinase(MMP)와 단백질 분해 효소의 활성도가 증가한다1). 이때 활성화된 MMP는 치주조직의 중요한 구성 물질인 collagen(교원질)을 파괴하여 결합조직의 부착과 지지골의 상실을 유발한다2,3). 이러한 치주질환의 치료법으로는 원인과 염증제거와 원인 축적요소 요소제거 등의 비외과적 시술을 시도하며 이러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호전되지 않거나 지지골 조직의 파괴가 현저한 경우와 재발되었을 경우에 외과적 치주 치료를 시도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Dongari-Bagtzoglou, A.I., Ebersole, J.L.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and cytokines by human gingival fibroblasts following bacterial challenge. J. Periodontal. Res. 31(2):90-98, 1996. 

  2. Birkedal-Hansen, H. Role of cytokines and inflammatory mediators in tissue destruction. J. Periodontal. Res. 28: 500-510, 1993. 

  3. Ryan, M.E., Ramamurthy, S., Golub, L.M. Matrix metalloproteinases and their inhibition in periodontal treatment. Curr. Opin. Periodontol. 3: 85-96, 1996. 

  4. Chaput, A. Insadol and parodontolyses. L, Information Dentarire, 23: 2148-2153, 1964. 

  5. Fourel, J., Siau, T., Barka, A. Clinical trials of the unsaponifiable part of Maize seed oil in pariodontic practice. L,Information Dentarire, 8: 746-753, 1967. 

  6. Eglberg, J. Reguration and repair of periodontal defects. J. Periodont. Res. 22: 233-242, 1987. 

  7. 김창민, 신민교, 이경순, 안덕균. 중약대사전 제8권, 도서출판 정담, 4: 2179-2189, 4839-4845, 1998. 

  8. 김태정, 신재용. 우리 약초로 지키는 생활한방(3). 도서출판 이유, 서울, pp 154-157, 2003. 

  9. Kim, I.D., Kwon, R.H., Heo, Y.Y., Lee, D.G., Lee, J.H., Lee, A.H., Ha, J.M., Ha, H.J. The preventive effect of Paeonia radix extract against LPS- induced acute hepatotoxicity. J. Hyg. Safety, 23(3):222-226, 2008. 

  10. Ro, H.S., Ko, W.K., Yang, H.O., Park, K.K., Cho, Y.H., Lee, Y.E., Park, H.S. Isolation of hyperlipidemic substance from methanol extract of Paeonia radix on experimental hyperlipidemia in rats. J. Kor. Pharm. Sci. 29(1):55-60, 1999. 

  11. Kang, S.S., Kim, W.K., Park, K.K., Cho, Y.H., Park, H.S. Platelet anti-aggregation of Paeony root. J. Kor. Pharm. Sci. 22(4):215-218, 1991. 

  12. Ro, H.S., Ko, W.K., Yang, H.O., Park, K.K., Cho, Y.H., Park, H.S. Effect of several solvent extracts from Paeonia radix on experimental hyperlipidemia in rats. J. Kor. Pharm. Sci. 27(1):145-151, 1997. 

  13. Bang, M.H., Song, J.C., Lee, S.Y., Park, N.K., Baek, N.I. Isolation of structure determination of antioxidants from the root of Paeonia lactiflora. J. Kor. Soc. Agric. Chem. Biotechnol. 42(2):170-175, 1999. 

  14. Ishida, H., Kondoh, T., Kataoka, M. Factors influencing nifedipine-induced gingival overgrowth in rats. J. Periodontol. 66: 345-350, 1995. 

  15. Abdollahi, M., Dehpour, A.R., Baharnouri, G. Effects of rubidium on the secretory function of the rat submandibular gland. Toxic. Subs. Mech. 17: 121-131, 1998. 

  16. Suddick, R.P., Shannon, I.L. Salivary Na+, K+, and Cl secretion rates relationship to a fluid generation mechanism. Jpn. J. Physiol. 20: 540-549, 1970. 

  17. Lowry, O.H., Roserbrough, N.J., Farr, A.L., Randell, R.J.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275, 1951. 

  18. Fernandez, F.J., Kahn, H.L. Clinical methods for atomic absorption spectroscopy. Clin. Chem. News Lett. 24: 190-195, 1971. 

  19. Nakamura, K., Imai, Y., Matuzaki, F.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in human fluids detected by radioreceptor assay. Nippon Naibunpi Gakkai Zasshi. 59(10):1587-1596, 1983. 

  20. Ten Cate, A.R. Oral histology: development, structure, and function, 5th edn. Mosby, New York, pp 253-289, 1998. 

  21. Genco, R.J., Goldman, H.M., Cohen, D.W. Contemporary periodontics. C.V. Mosby, St. Louis, pp 47-54, 1990. 

  22. Nishikawa, S., Nagata, T., Morisaki, I., Oka, T., Ishida, H. Pathogenesis of drug-induced gingival overgrowth. A review of studies in the rat model. J. Periodontol. 67: 463-471, 1996. 

  23. Miranda, J., Brunet, L., Roset, P., Berini, L., Farre, M., Mendieta, C. Prevalence and risk of gingival enlargement in patients treated with nifedipine. J. Periodontol. 72: 605-611, 2001. 

  24. Ramon, Y., Behar, S., Kishon, Y., Engelberg, I. Gingival hyperplasia caused by nifedipine; a preliminary report. Int. J. Cardiol. 5: 195-206, 1984. 

  25. Saito, K., Mori, S., Tanda, N., Sakamoto, S. Immunolocalizaiton of c-Myc and bcl-2 proto-oncogene products in gingival hyperplasia induced by nifedipine and phenytoin. J. Periodontol. 71: 44-49, 2000. 

  26. Shimizu, Y., Kataoka, M., Seto, H., Kido, J., Nagata T. Nifedipine induces gingival epithelial hyperplasia in rats through inhibition of apoptosis. J. Periodontol. 73: 861-867, 2002. 

  27. Abdollahi, M., Simaiee, B. Stimulation by theophylline and sildenafil of rat submandibular secretion of protein, epidermal growth factor and flow rate. Pharmacol. Res. 48(5):445-449, 2003. 

  28. Thiers Jouanneteau and Zwingelstein. The maize gern oil insaponifiable it's therapeutical indications, Presse Medicale, July 26, 66: 1293-1294, 1958. 

  29. Abdollahi, M., Radfar, M. A review of drug-induced oral reactions. J Contemp. Dent. Pract. 4: 10-31, 2003. 

  30. Lomniczi, A., Suburo, A.M., Elverdin, J.C., Mastronardi, C.A., Diaz, S., Rettori, V., McCann, S.M. Role of nitric oxide in salivary secretion. Neuroimmuno. 5(5):226-233, 1998. 

  31. Mitsui, Y., Yasuda, N., Furuyama, S., Sugiya, H. Nitric oxide synthase activities in mammalian parotid and submandibular salivary glands. Arch. Oral Biol. 42: 621-624, 1997. 

  32. Dehpour, A.R., Ghafourifar, P., Massoudi, S., Abdollahi, M. Mousavizadeh, K. On the relation of calcium channel blockers to rat parotid and sub-mandibular glands function in vivo. Gen. Pharmacol. 26: 619-622, 1995. 

  33. Baum, B.J. Neurotransmitter control of secretion. J. Dental Res. 66: 628-632, 1987. 

  34. Edgar, W.M. Saliva: its secretion, composition and functions. Br. Dent. J. 172: 305-312, 1992. 

  35. Chang, K.M., Lehrhaupt, N., Lin, L.M., Feng, J., Wu-Wang, C.Y., Wang, S.L. Epidermal growth factor in gingival crevicular fluid and its binding capacity in inflamed and non-inflamed human gingiva. Arch. Oral Biol. 41: 719-724, 1996. 

  36. Koller, M.M., Maeda, N., Scarpace, P.J., Humphreys-Beher, M.G. Desipramine changes salivary gland function, oral microbiota, and oral health in rats. Eur. J. Pharmacol. 408: 91-98, 2000. 

  37. Thulesen, J., Bor, M.V., Thulesen, S., Nexo, E., Poulsen, S.S., Jorgensen, P.E. Altered secretion and processing of epidermal growth factor in adrenergic-induced growth of the rat submandibular gland. Regul. Pept. 106: 105-114, 2002. 

  38. Araujo, C.S., Graner, E., Almeida, O.P., Sauk, J.J., Coletta, R.D. Histomorphometric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and its receptor by epithelial cells of normal gingiva and hereditary gingival fibromatosis. J. Periodontal Res. 38: 237-241, 2003. 

  39. Zakeri, B., Wright, G.D. Chemical biology of tetracycline antibiotics. Bio. Cell. Biol. 86: 124-136, 2008. 

  40. Golub, L.M., McNamara, T.F., Ryan, M.E., Kohut, B., Blieden, T., Payonk, G., Sipos, T., Baron, H.J. Adjunctive treatment with subantimicrobial doses of doxycycline: effects on gingival fluid collagenase activity and attachment loss in adult periodontitis. J Clin Periodontol. 28(2):146-156, 2001. 

  41. Kim, Y.S., Paik, J.W., Kim, C.S., Choi, S.H., Kim, C.K. Clinical effect of the subantimicrobial dose of doxycycline on the chronic periodonitis. J. Korean Acad. Periodontol. 32: 415-425, 200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