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Jakyaktang(芍藥湯; JYT) exhibits potent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widely intestinal disease, but its mechanism was undisclosed. To elucidate the molecular mechanisms of JYT on pharmacological and biochemical actions in inflammation, we examined the effect of JYT on pro-inflammatory mediators in p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자는 芍藥湯이 임상에서 염증작용에 많이 사용되어 온 점에 착안하여 작약탕의 추출물이 다양한 자극원에 의해 유도된 세포내의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in vitro에서 염증성 매개체들 생성을 억제하는지 조사하였다.
  • COX에는 COX-1과 COX-2가 존재하는데 COX-1은 항상성을 조절하기 위한 prostaglandin 합성에 관여하고 COX-2는 염증반응 부위에서 활성화된 대식세포에 의해 염증반응을 매개하는 prostaglandin 합성에 관여한다37, 38). 본 연구에서는 LPS로 처리된 RAW 264.7 세포에서 JYT는 COX-2 protein의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는 양상을 보였다.
  • 결론적으로, 작약탕 물추출물(JYT)은 세포내의 전염증성 인자들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작약탕이 항염증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현대 과학적으로 증명하는 것이다. 또한, 류마티스성 관절염, 알레르기성 염증 및 만성 염증질환의 치료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芍藥湯이란? 芍藥湯은 금원사대가의 한 사람인 劉完素(AD 1120-1200)의저서 《素問病機氣宜保命集》에 나오는 처방으로, 調和氣血, 淸熱燥濕하는 효능이 있어, 예로부터 濕熱痢疾을 主治로 하였는데 이는 “行血則便膿自愈, 調氣則後重自除”의 이치로 설명할 수 있다1). 腹痛, 便膿血, 赤白相兼, 裏急後重, 肛門灼熱, 小便短赤, 舌苔黃膩, 脈弦數 등의 병증을 치료하는데 널리 사용되었다. 현대에 와서 작약탕은 세균성 이질과 아메바성 이질, 과민성 결장염, 궤양성 대장염, 급성장염 등의 치료에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다2).
작약탕은 현대에는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가? 腹痛, 便膿血, 赤白相兼, 裏急後重, 肛門灼熱, 小便短赤, 舌苔黃膩, 脈弦數 등의 병증을 치료하는데 널리 사용되었다. 현대에 와서 작약탕은 세균성 이질과 아메바성 이질, 과민성 결장염, 궤양성 대장염, 급성장염 등의 치료에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다2).
인간 비만세포주인 HMC-1 세포를 PMA와 A23187로 자극하였을 때 작약탕 물추출물(JYT)의 항염증효능과 설치류의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를 LPS로 자극하였을 때 JYT의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여 얻은 결론은? 7 세포를 LPS로 자극하였을 때 JYT의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JYT는 PMA와 A23187로 자극한 비만세포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IL-8, TNF-α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JYT는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에서 NO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JYT는 LPS로 유도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TNF-α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JYT는 LPS로 유도된 iNOS, COX-2의 단백질 발현을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작약탕 물추출물(JYT)은 비만세포에 작용하여 TNF-α, IL-6, IL-8의 생성을 억제하였고, 대식세포에 작용하여 NO, TNF-α, IL-6의 생성과 iNOS, COX-2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비만세포와 대식세포를 매개로 한 염증반응에 항염증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段富津 主編. 方劑學, 上海科學技術出版社, p 89, 2002. 

  2. 서철훈, 이형호, 최기숙, 임동석, 유형천, 이영수, 최창원, 김희철. 습열리로 변증한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작약탕가미방치험 2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7(4):984-990, 2006. 

  3. Tizard, I.R. Immunology, An introduction inflammation. 2nd ed., Saunders College Publishing, New York, NY, USA, pp 423-441, 1986. 

  4. Willoughby, D.A. Heberden Oration, 1974. Human arthritis applied to animal models. Towards a better therapy. Ann Rheum Dis 34: 471-478, 1975. 

  5. Higuchi, M., Hisgahi, N., Taki, H., Osawa, T. Cytolytic mechanisms of activated macrophages. Tumor necrosis factor and L-argininedependent mechanisms act synergistically as the major cytolytic mechanisms of activated macrophages. J Immunol 144: 1425-1431, 1990. 

  6. Kim, J.A., Kim, D.K., Kang, O.H., Choi, Y.A., Park, H.J., Choi, S.C., Kim, T.H., Yun, K.J., Nah, Y.H., Lee, Y.M. Inhibitory effect of luteolin on TNF-alpha-induced IL-8 production in human colon epithelial cells. Int Immunopharmacol 5(1):209-217, 2005. 

  7. Mahida, Y.R., Ceska, M., Effenberger, F., Kurlak, L., Lindley, I., Hawkey, C.J. Enhanced synthesis of neutrophil-activating peptide-1/interleukin-8 in active ulcerative colitis. Clin Sci (Lond). 82(3):273-275, 1992. 

  8. Izzo, R.S., Witkon, K., Chen, A.I., Hadjiyane, C., Weinstein, M.I., Pellecchia, C. Neutrophil-activating peptide (interleukin-8) in colonic mucosa from patients with Crohn's disease. Scand J Gastroenterol 28(4):296-300, 1993. 

  9. Mitsuyama, K., Toyonaga, A., Sasaki, E., Watanabe, K., Tateishi, H., Nishiyama, T., Saiki, T., Ikeda, H., Tsuruta, O., Tanikawa, K. IL-8 as an important chemoattractant for neutrophils in ulcerative colitis and Crohn's disease. Clin Exp Immunol 96(3):432-436, 1994. 

  10. Janeway, Charles A. Immunobiology. 5th ed., London, Churchill-Livingstone, pp 3-80, 2001. 

  11. Willeaume, V., Kruys, V., Mijatovic, T., Huez, G. Tumor necrosis factor-alpha production induced by viruses and by lipopolysaccharides in macrophag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J Inflamm 46: 1-12, 1995-1996. 

  12. Funk, C.D., Frunk, L.B., Kennedy, M.E., Pong, A.S., Fitzgerald, G.A. Human platelet/erythroleukemia cell prostaglandin G/H synthase: cDNA cloning, expression, and gene chromosomal assignment. FASEB J 5: 2304-2312, 1991. 

  13. McDaniel, M.L., Kwon, G., Hill, J.R., Marshall, C.A., Corbett, J.A. Cytokines and nitric oxide in islet inflammation and diabetes. P Soc Exp Biol Med 211: 24-32, 1996. 

  14. Moncada, S., Palmer, R.M., Higgs, E.A. Nitric oxide: physiology, pathophysiology, and pharmacology. Pharmacol Rev 43: 109-142, 1991. 

  15. 유완소. 소문병기기의보명집, 중국중의약출판사, p 136, 1995. 

  16. 이장훈 역. 동의임상내과학, 서울, 법인문화사, pp 341-361, 1999. 

  17. 김갑성 외. 실용 동서의학 임상총서(일권) pp 632-642, 2001. 

  18. 장희욱. 유완소의 의학사상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5. 

  19. 김상찬 외. 방제학, 서울, 영림사, pp 204-205, 1999. 

  20. 신민교. 임상본초학, 서울, 영림사, pp 172, 173, 236-239, 240-242, 308, 309, 385, 386, 400, 401, 402-404, 461, 462, 464, 465, 511, 512, 585-588, 785, 786, 1997. 

  21. Park, S.J., Song, H.J. Anti-inflammatory effect of extract of Pulsatilla koreana NAKAI in LPS-stimulated Murine peritoneal macrophage. Kor J Herbology 22(1):111-117, 2007. 

  22. 임진호. 감로음의 항염증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 

  23. Bradding, P., Holgate, S.T. Immunopathology and human mast cell cytokines. Crit Rev Oncol Hematol 31(2):119-133, 1999. 

  24. Galli, S.J., Nakae, S., Tsai, M. Mast cells in the development of adaptive immune responses. Nat Immunol 6(2):135-142, 2005. 

  25. Marone, G., Galli, S.J., Kitamura, Y. Probing the roles of mast cells and basophils in natural and acquired immunity, physiology and disease. Trends Immunol 23(9):425-427, 2002. 

  26. Remick, D.G., Strieter, R.M., Eskandari, M.K., Nguyen, D.T., Genord, M.A., Raiford, C.L., Kunkel, S.L. Role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lipopolysaccharide-induced pathologic alterations. Am J Pathol 136(1):49-60, 1990. 

  27. Bhattacharyya, A., Pathak, S., Datta, S., Chattopadhyay, S., Basu, J., Kundu, M.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and nuclear factor-kappa B regulate Helicobacter pylori-mediated interleukin-8 release from macrophages. Biochem J 15;368(Pt 1):121-129, 2002. 

  28. Binetruy, B,. Smeal, T., Karin, M. Ha-Ras augments c-Jun activity and stimulates phosphorylation of its activation domain. Nature 351(6322):122-127, 1991. 

  29. Dos Santos, C.C., Slutsky, A.S. Invited review: mechanism of ventilator-induced lung injury: a perspective.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89: 1645-1655, 1985. 

  30. Marshall, J.C. Inflammation, coagulopathy, and the pathogenesis of multiple organ dysfunction syndrome. Crit Care Med 29(7 Suppl):S99-106, 2001. 

  31. Shen, F.M., Guan, Y.F., Xie, H.H., Su, D.F. Arterial baroreflex function determines the survival time in lipopolysaccharide-induced shock in rats. Shock 21(6):556-560, 2004. 

  32. Weisz, A., Cicatiello, L., Esumi, H. Regulation of the mouse inducible-type nitric oxide synthase gene promoter by interferon-γ, bacterial lipopolysaccharide, and NG-monomethyl-L-arginine. Biochem. J 316: 209-215, 1996. 

  33. Ryu, J.H., Ahn, H., Kim, J.Y., Kim, Y.K. Inhibitory activity of plant extracts on nitric oxide synthesis in LPS-activated macrophage. Phytother Res 17: 485-489, 2003. 

  34. Mu, M.M., Chakravortty, D., Sugiyama, T., Koide, N., Takahashi, K., Mori, I., Yoshida, T., Yokochi, T. The inhibitory action of quercetin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nitric oxide production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J Endotoxin Res 7: 431-438, 2001. 

  35. Tezuka, Y., Irikawa, S., Kaneko, T., Banskota, A.H., Nagaoka, T., Xiong, Q., Hase, K., Kadota, S. Screening of Chinese herbal drug extracts for inhibitory activity on nitric oxide production and identification of an active compound of Zanthoxylum bugeanum. J Ethnopharmacol 77: 209-217, 2001. 

  36. Kim, R.G., Shin, K.M., Chun, S.K., Ji, S.Y., Seo, S.H., Park, H.J., Choi, J.W., Lee, K.T. In vitro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from 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Yakhak Hoeji 46: 343-347, 2002. 

  37. Sarkar, D., Saha, P., Gamre, S., Bhattacharjee, S., Hariharan, C., Ganguly, S., Sen, R., Mandal, G., Chattopadhyay, S., Majumdar, S., Chatterjee, M. Anti-inflammatory effect of allylpyrocatechol in LPS-induced macrophages is mediated by suppression of iNOS and COX-2 via the NF- $\kappa$ B pathway. INt Immunopharmacol 8(9):1264-1291, 2008. 

  38. Wang, M.T., Honn, K.V., Nie, D. Cyclooxygenases, prostanoids and tumor progression. Cancer Metastasis Rev 26: 525-534,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