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누룩 및 조 첨가량에 따른 전통발효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Wine Fermented from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Beauvios) and Nuruk at Different Addition Rate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2 no.3 = no.211, 2010년, pp.298 - 303  

우관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이재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고지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송석보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오병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강종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남민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류인수 (사단법인 한국가양주협회) ,  서명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표적인 잡곡 중에 하나인 조의 이용성 제고를 위하여 누룩 및 조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발효주의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알코올 함량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당도는 조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발효주 특유의 단맛을 위해 30% 정도의 조를 첨가하는 것이 양호할 것으로 여겨졌다. pH는 조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SH 업체 누룩을 이용한 발효주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BS 업체 누룩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도는 pH와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탁도는 조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 첨가량에 따라 L 및 b-value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a-value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색차(${\Delta}Eab$)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주의 유기산oxalic acid, lactic acid 및 acetic acid가 주를 이루었고 유리당은 glucose만이 검출되었고 조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결과 조를 첨가할 경우 선호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BS업체 누룩을 이용하여 조를 70% 첨가한 발효주가 가장 양호한 관능적 특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wine fermented from foxtail millet and nuruk at different mixing rates. The alcohol contents of fermented wine ranged from 12.70 to 13.38%. Two kinds of commercial nuruks, SH and BS nuruk, were used.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잡곡 중에 하나인 조의 이용성 제고를 위하여 조를 이용한 발효주를 제조하여 이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1)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 민속주는 어떤 문제점에 처해있는가? 이러한 전통주에 대한 연구로는 대추첨가량에 따른 알코올발효 특성을 연구한 보고(3)와 몇 가지 약초에 대하여 침출주 제조에 관한 연구(4), 약용주의 증류와 품질특성(5), 삼일주(6) 및 백하주(1) 의 증류조건에 따른 성분의 변화에 대한 연구 등 약용주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 전통 민속주는 주류면허 개방에 따른 농업인과 생산자 단체의 주류제조면허 취득허가로 최근 여러 전통주 제조장이 설립되었으나, 제조기능보유자의 노령화와 생산기술 부족으로 주질이 떨어져 경쟁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영세성을 면치 못해 경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7).
곡류를 이용한 전통발효주의 개발은 어떤 측면에서 가치가 있는 일인가? 우리나라는 쌀을 이용하는 방법이 예부터 다양하게 발달되어왔으며, 특히 곡주 문화권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쌀의 이용에 있어서 양조가 차지하는 위치는 매우 중요하다(1). 이러한 측면에서 곡류를 이용한 전통발효주의 개발은 매우 가치 있는 일이며, 이를 통한 전통문화의 계승면에서도 중요하다.
전통주에 대한 연구로 보고된 것들은 무엇이 있는가? 옛날부터 즐겨 마시던 우리나라의 전통주는 그 종류와 양조법이 다양하였다(2). 이러한 전통주에 대한 연구로는 대추첨가량에 따른 알코올발효 특성을 연구한 보고(3)와 몇 가지 약초에 대하여 침출주 제조에 관한 연구(4), 약용주의 증류와 품질특성(5), 삼일주(6) 및 백하주(1) 의 증류조건에 따른 성분의 변화에 대한 연구 등 약용주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 전통 민속주는 주류면허 개방에 따른 농업인과 생산자 단체의 주류제조면허 취득허가로 최근 여러 전통주 제조장이 설립되었으나, 제조기능보유자의 노령화와 생산기술 부족으로 주질이 떨어져 경쟁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영세성을 면치 못해 경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in YK, Yun HS, Jeong HS. Studies on the distillation operation of baikhaju. J. Korean Agric. Chem. Soc. 37: 9-13 (1994) 

  2. Lee CY, Kim TW, Sung CK. Studies on the souring of Hansan sogokju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17-121 (1996) 

  3. Min YK, Lee MK, Jeong HS.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jujube alcoholic beverage from different additional level of jujube fruit. J. Korean Agric. Chem. Soc. 40: 433-437 (1997) 

  4. Min YK, Jeong HS. Manufacture of some Korean medicinal herb liquors by soaking. J. Korean Food Sci. Technol. 27: 210-215 (1996) 

  5. Min YK, Jeong HS, Cho JG. Distill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edicinal herb wines. J. Korean Agric. Chem. Soc. 39: 368-373 (1996) 

  6. Min YK, Yun HS, Jeong HS, Jang YS. Changes in compositions of liquor fractions distilled from samilju with various distillation conditions. J. Korean Food Sci. Technol. 24: 440-446 (1992) 

  7. Park JE, Jeon YJ, Kim JH, Kim SH.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ilamentous fungi from indoor air of a sogokju traditional rice wine factory. Korean J. Mycol. 36: 1-8 (2008) 

  8. Cho NK, Song CK, Kim IS, Cho YI, Oh EK. Effect of number of plants per hill on the major characters, forage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Jeju Italian millet. J. Anim. Sci. Technol. 43: 967-972 (2001) 

  9. Kim NS, Seog HM, Nam YJ.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mestic millet starches. J. Korean Food Sci. Technol. 19: 245-249 (1987) 

  10. Lee MH, Chang HG, Yoo YJ. Effect of the millet and waxy millet on properties of white layer cak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395-402 (2005) 

  11. Ha YD, Lee SP. Characteristic of proteins in Italian millet, sorghum, and common millet. Korean J. Postharv. Sci. Technol. 8: 182-192 (2001) 

  12. Lim HJ, Yum CA. Effect of cereal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noti-II.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lutinous millet noti. J. Korean Soc. Food Sci. 12: 166-177 (1996) 

  13. Lornez K, Dilsaver W. Rheological properties and food applications of proso millet flours. Cereal Chem. 57: 21-24 (1980) 

  14. Badi SM, Hoseney RC. Use of sorghum and pearl millet flours in cockies. Cereal Chem. 53: 733-738 (1976) 

  15. Min YK, Lee MK, Jeong HS.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jujube alcoholic beverage from different additional level of jujube fruit. J. Korean Agric. Chem. Soc. 40: 433-437 (1997) 

  16. Ryu BM, Kim JS, Kim MJ, Lee YS, Moon GS.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ye made with $N_{2}O$ -circulated lowtemperature dry malt and commercial mal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311-315 (2008) 

  17. Kang TS, Woo KS, Lee JS, Jeong HS.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wine using fresh jujube. Food Engin. Prog. 10: 164-171 (2006) 

  18. Bae SK, Lee YC, Kim HW. The browning reaction and inhibition on apple concentrated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6-13 (2001) 

  19. Woo KS, Hwang IG, Lee YR, Lee J, Jeong HS. Characteristics of sucrose thermal degradation with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reatment. Food Sci. Biotechnol. 18: 717-723 (2009) 

  20. Choi YH, Jeong EG, Choung JI, Kim DS, Kim SL, Kim JT, Lee CG, Son JR. Effects of moisture contents of rough rice and storage temperatures on rice grain quality. Korean J. Crop Sci. 51: 12-20 (2006) 

  21. Kim IH, Park WS, Koo YJ. Comparison of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with different input step and treatment of rice and nuruk (Korean-style bran koji). Korean J. Diet. Culture 11: 339-348 (1996) 

  22. Iverson J. Home wine making step by step, A guide to fermenting wine grapes. 3rd ed. Stonemark Publishing Co., Medford, MA, USA. pp. 115-125 (2000) 

  23. Joung EJ, Paek NS, Kim YM. Studies on Korean Takju using the by-product of rice milling. Korean J. Food Nutr. 17: 199-205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