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라비카 생두 등급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의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Espresso Coffee in Relation to the Classification of Green Arabica Coffee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6 no.3, 2010년, pp.300 - 306  

최유미 (경희대학교 대학원 조리외식경영학과) ,  윤혜현 (경희대학교 조리.서비스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rabica coffee has been classified for trading according to the New York Board of Trade (NYBOT) green coffee classification.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valuate the physiochemical and sensorial characteristics of coffees classified by NYBOT as NY2 (specialty coffee), NY3/4 and NY4/5 (commer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라비카 커피 등급에 따른 생두와 추출된 커피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해 보고, 커피 등급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의 관능적 특성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으며, 커피 등급에 따른 소비자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아라비카 커피 등급에 따라 이화학적 특성 및 에스프레소 커피의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브라질 커피의 스페셜티(NY2), 프리미엄(NY3/4), 상업용(NY4/5) 등급의 커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훈련된 패널들로 에스프레소의 관능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스페셜티 커피는 과일향미, 단맛과 산미가 풍부하고 마신 후후미가 오래 지속되는 반면, 등급이 낮아질수록 풋내, 발효한, 시큼한 맛, 떫은 맛 등이 증가하여 전반적인 기호도 또한 등급이 낮아질수록 낮아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결점두란 무엇인가? 아라비카 커피의 등급은 New York Board of Trade (NYBOT)의 기준에 따라 생두 샘플 안에 결점두 함량으로 측정된다(ISO 2004). 결점두란 농장에서 커피 가공시잘못된 방법으로 인해 생두의 색깔 또는 모양이 불규칙한 생두와 커피체리 껍질, 나뭇가지, 돌 등과 같은 외부 물질 등을 모두 결점두로 분류한다(ISO 2004). 커피 생산자는 생산된 생두 커피 샘플 300 g안의 결점두 함량에 따라 NYBOT의 등급 시스템을 적용하여 NY2 등급부터 NY8 등급으로 구분하여 구매자에게 NYBOT 가격을 적용하여 판매하게 된다.
New York Board of Trade기준에 따라 에스프레소 등급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결점두란 농장에서 커피 가공시잘못된 방법으로 인해 생두의 색깔 또는 모양이 불규칙한 생두와 커피체리 껍질, 나뭇가지, 돌 등과 같은 외부 물질 등을 모두 결점두로 분류한다(ISO 2004). 커피 생산자는 생산된 생두 커피 샘플 300 g안의 결점두 함량에 따라 NYBOT의 등급 시스템을 적용하여 NY2 등급부터 NY8 등급으로 구분하여 구매자에게 NYBOT 가격을 적용하여 판매하게 된다.
에스프레소는 다른 추출방법에 비해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가? 에스프레소 커피는 이태리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전통적인 커피 추출 방법으로, 전 세계적으로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는 인기 음료이다(Maeztu L 등 2008).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의 하나인 에스프레소는 압력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방법으로 다른 추출방법에 비해 향기, 맛, 색깔, 바디감등의 특성을 더 강하게 느낄 수 있으며 (Andueza S 등 2002), 이렇게 추출한 에스프레소 커피는 그대로 마시거나 또는 물, 우유, 시럽, 생크림 등을 희석 하여 아메리카노, 카페라떼, 카푸치노, 카페모카 등의 다양한 메뉴를 제조하게 된다(Illy A와 Viani R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월간커피. 2009. 통계치로 본 2009 커피시장. pp.63-65. In: 월간 커피 9월호. (주)아이비라인. 서울 

  2. 농수축산신문. 2008. 제12장 커피. 376-384. In: 한국식품연감, 2008-2009. 한국 

  3. Alejandro M, Feria-Morales AM. 2002. Examining the case of green coffee to illustrate the limitations of grading systems/ expert tasters in sensory evaluation for quality control. Food Qual Prefer 13(6): 355-367 

  4. Andueza S, Maeztu B, Dean B, De Pena MP, Bello J, Cid C. 2002. Influence of Water Pressure on the Final Quality of Arabica Espresso Coffee. Application of Multivariate Analysis. J. Agric. Food Chem. 50(25):7426-7431 

  5. Farah A, Monteiro MC, Calado V, Franca AS, Trugo LC. 2006. Correlation between cup quality and chemical attributes of Brazilian coffee. Food Chem 98(2):373-380 

  6. Franca AS, Mendonca JCR, Oliveira SD. 2005. Composition of green and roasted coffees of different cup qualities. Lebensmittel-Wissenschaft und-Technologie 38(7):709-715 

  7. Illy A, Viani R. 2005. Espresso Coffee: The Science of Quality, Second Edition, Elsevier Academic press. San Diego, CA, USA. pp 91-108, 290-315 

  8. ISO(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2004. Green coffeedefect reference chart. ISO 10470/2004. Prepared by Technical Committee ISO/TC 34, Agricultural food products. Switzerland 

  9. Kim KO, Kim H, Lee HS, Shin JY. 2007. Sensory properties and consumer acceptability of coffee drinks contained surculose and acesulfame-K. Korean J. Food Sci. Technol. 39(5):527- 533 

  10. Maeztu L, Andueza S, Ibanez C, De Pena MP, Bello J, Cid C. 2008. Multivariate Methods for Character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Espresso Coffees from Different Botanical Varieties and Types of Roast by Foam, Taste, and Mouthfeel. J. Agric. Food Chem. 49(10):4743-4747 

  11. Mazzafera P. 1999. Chemical composition of defective coffee beans. Food Chemistry 64(4):547-554 

  12. Odello L, Odello C. 2002. Espresso Italiano Tasting. International Institute of Coffee Tasters. Centro Studi E Formazione Assaggiatori. pp 22-40 

  13. SCAA. SCAA Standard Green Coffee Quality. Available from: http://www.scaa.org/PDF/ST%20-%20GREEN%20COFFEE %20QUALITY%20V.21NOV2009A.pdf 

  14. Seo HS, Lee SY, Hwang IK, Park MH. 2007. Sensory characteristics of diluted espresso(americano) in Relation to Dilution Rat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6):839-847 

  15. Yoon HH, Choi YM. 2009. Content of defective beans and cup quality in relation to the grade and processing methods of green coffee. Korean J. Food Cookery Sci 25(6):703-711 

  16. Yoo KM, Hwang IK, Ji EJ. 2009. Comparative Composition of Organic and Inorganic Arabica Beans and their antioxidant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Cookery Sci 25(4):421-4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