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전업 주부와 직업주부의 식생활, 영양소 섭취상태 및 건강에 대한 관심도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n Interest of Dietary Life Behavior, Nutrient Intake and Health between Full-Time and Working Housewives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5 no.3, 2010년, pp.285 - 295  

신경옥 (삼육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진아 (배화여자대학 식품영양과) ,  이준식 (삼육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근희 (삼육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순남 (삼육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wareness of dietary patterns and health of full-time and employed housewives. The investigation gathered information on general characteristics, dietary lifestyle,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by questionnaire as well a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일부에 거주하는 주부들을 대상으로 전업 주부와 직업주부로 각각 나누어 식생활의 차이 및 건강에 대한 관심도를 비교하여 올바른 개선점을 모색하고, 식생활 향상에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일부 지역에 거주하는 전업 주부와 직업주부를 대상으로 식생활, 영양소 섭취상태 및 건강에 대한 관심도를 비교하여 주부들의 식생활의 차이 및 건강의 문제점 개선 방향과 식생활 향상에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취업 주부는 전업주부와는 달리 직업을 통해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 우리나라는 옛날부터 전해오는 전통적인 사고방식에 따라 직업을 가진 여성이라도 전업주부와 마찬가지로 가정 내에서의 역할이 중시되고 있다(Choi & Chung 2006). 취업 주부들은 전업주부와는 달리 직업을 통해 지위와 소득을 얻을 수 있으며, 직업적인 경력을 통해 자아실현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는 반면에, 주부 역할에 충실하지 못한데서 오는 죄책감과 역할 갈등을 경험하게 된다(Bellante & Foster 1984; Choi 등 2002). 또한 전업주부는 가사 노동에 대한 소득을 획득하지 못하며, 주부의 역할에만 전념하게 되어 고립감이나 소외감 등을 느낄 수 있는 반면에(Choi 등 2002), 가정에서의 일과 아이들 양육에 충실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2007년 기준 통계청 보고에 따르면,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율의 추세는 어떠한가? 직장 근무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주부·아내·엄마 등의 다양한 역할이 뒤따르고 있다. 통계청 보고(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7)에 따르면,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율이 1995년 48.4%에서 2006년 50.3%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하였으며, Choi 등(2002)의 연구에서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은 주로 여성의 고학력화, 혼인·출산 형태의 다양화, 다양한 근로 형태의 확산 등에서 비롯된다고 보고하였다.
주부들에게 올바른 영양지식을 전하기 위한 효과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가정에서 식생활을 담당하는 주부의 식생활 이해와 태도는 가족 전체의 식품의 섭취와 영양소의 섭취 상태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가족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므로 아주 중요하다. 가족의 식생활의 개선과 올바른 식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부의 역할이 중요하며, 주부가 어떤 식품을 선택하고, 어떤 식생활을 하느냐는 가족 전체의 건강을 책임 질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주부들에게 올바른 영양지식을 전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ae YJ, Sung CJ. 2005. A comparison between postmenopausal osteoporotic women and normal women of their nutrient intakes and the evaluation of dietary quality. Korean J. Comm Nutr, 10(2):205-215 

  2. Bellante D, Foster AC. 1984. Working wives and expenditure on services. J. Consumer Research, 11:700-707 

  3. Chang SO. 2006. The amount of sodium in the processed foods, the use of sodium information on the nutrition label and the acceptance of sodium reduced ramen in the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Nutr, 39(6):585-591 

  4. Choi JH, Lee TY, Chung YJ. 2002. Factors influencing a healthpromoting lifestyle among highly educated, married, employed and unemployed women. Korean J. Nutr, 35(10):1089-1103 

  5. Choi JH, Chung YJ. 2006. Evaluation of diet quality according to food consumption between highly educated, married, employed and unemployed women. Korean J. Nutr, 39(3):274-285 

  6. Choi MK, Kim JM, Kim JG. 2003. A study on the dietary habit and health of office workers Seoul. Korean J. Food Culture, 18(1):45-56 

  7. Choi MS. 2009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nd exercise intervention on health and diet quality of middle-aged women Korean J. Nutr, 42(1):48-58 

  8. Computerized Nutrient Analysis Program 3.0. 2006.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Korea. 

  9.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05.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8th Revision, Seoul, Korea 

  10. Eppright ES, Fox HM, Fryer BA, Lamkin GH, Vivian VM. 1970. Nutrition knowledge and attitudes of mothers. J. Home Ec, 62:327-332 

  11. Jang HS. 1991. A study on nutrient intake of rural housewives. J. Korean Soc Food Nutr, 20(5):433-439 

  12. Jang HS, Kwon CS. 1995. A study on the nutritional knowledge, food habits, food preferences and nutrient intakes of rural housewives living in urban area and rural area. J. Korean Soc Food Nutr, 24(5):676-683 

  13. Jung BM, Ahn CB. 2002. A study on the interest in menu and food purchase of some housemakers in Yosu, Chonnam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4):703-712 

  14. Kim WK. 1992. A study on the housemaker's interest in dietary life and the knowledge of cooking principle and method. Korean J. Dietary Culture, 7(2):157-171 

  15. Kim WY, Cho MS, Lee HS. 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ini dietary assessment index for Koreans. Korean J. Nutr, 36:83-92 

  16.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7. 

  17. Kwon CS, Jang HS. 1994. A study on the nutritional knowledge, food habits, food preferences and nutrient intakes of rural housewiv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4(3):31-40 

  18. Lee HG, Shim JS. 199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habits status of the middle-aged adults. Korean J. Home Economics Asso, 37(4):17-27 

  19. Lee JY. 1996. A study on the eating behavior and nutrition status of middle-aged women. Annual Bulletin of Seoul Health Junior College, 16:9-19 

  20. Lee KJ. 1991. A survey on the status of the homemakers's meal management in Jeonbuk area. Korean J. Dietary Culture, 6(4):403-411 

  21. Lee KJ, Chang CJ, Yoo JH, Yi YJ. 2005. Original articles: Factors effe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middle-aged women. J. Korean Acad Nurs, 35(3):494-502 

  22. Lee MY, Kim JS, Lee JH, Cheong SH, Chang KJ. 2001. A study on usage of dietary supplements and related factors in college students attending web class via internet. Korean J. Nutr, 34:946-955 

  23. Lee EJ, Son SM. 2004. Dietary risk factors related to bone mineral density in the postmenopausal women with low bone mineral density. Korean J. Comm Nutr, 9(5):644-653 

  24. Lee MS, Kwak CS. 2006. The comparison in daily intake of nutrients quality of diets and dietary habits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Daejeon. Korean J. Community Nutr, 11(1):39-51 

  25. Lim Y, Oh SY. 2002. Development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preschool children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7:58-66 

  26. Lim YH, Na MI. 2008. A survey on dining-out behaviors and food habits of housewives in Daejon. Korean J. Food Culture, 23(1):1-9 

  27. Lyu ES, Lee DS, Chung SK. 2007. Housewives preference and consumption of commercialized basic side dishes in the Busan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3):312-321 

  28. Min SH, Kim JS. 2004. A study of dietary behavior of middle-aged in Danyang area. Location Culture Study, 3:98-119 

  29. Oh YZ, Hwang IJ, Woo SJ. 1987. Nutrient intake of rural housewives in Yeo-ju area. Korean J. Nutr, 20(5):301-308 

  30. Park KS, Choi YS. 1990. A study on prevalence of obesity and its related factors in housewives residing in apartments in Taegu. Korean J. Nutr, 23(3):170-178 

  31. Park YS. 1994. A study on image and consumption about instant food of homemakers in Ullungdo, Hansando, and Daegu.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4(1):37-47 

  32. Park YS, Myung CO, Lee KW, Nam HW. 2005. A study on the wellbeing related awareness and dietary life pattern in urban housewives. Korean J. Food Culture, 20(5):574-583 

  33. Rhie SG, Lee DT, Kim HN, Kim AJ, Sung CJ. 1990. The comparison mineral intakes with lipids and minerals in some rural housewives. J. Korean Soc Food Nutr, 19(5):411-417 

  34. Seo JH, Hong SM, Yu KH, Hwang HJ, Yeum SK, Kim HJ, Yang JA, Seo YE. 2000. Pro-environmental food consumption behavior : comparison of house keeper and cook. J. Korean Soc Food Nutr, 29(6):1155-1161 

  35. Woo KJ, Chyun JH, Choe EO, Rho JO. 2003. A comparison study of the daily food intake and its related factors of the elderly living in Incho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5):379-390 

  36. Yoon HS. 1988. The nutritional survey of Gapoe-dong in Masan city. Korean J. Nutr, 21(2):122-128 

  37. Yoon YO, Kim ES, Ro HK. 1990. Sodium intakes of some industrial workers. Korean J. Nutr, 23(1):37-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