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생의 수면시간에 따른 식습관 및 체조성에 관한 연구
Effect of Sleep Duration on Dietary Habits and Body Composition of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8 no.5, 2013년, pp.539 - 546  

김경희 (목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희숙 (초당대학교 조리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leep duration on dietary habits and body composition of university students. Sleep duration has recently been added to the list of risk factors for obesity. However, studies on this topic are fairly limited particularly in Korea. We studied th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면시간이 식습관, 체성분과 우울증 평가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대학생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는 영양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시기는 어떤 시기인가? 대학생은 생애주기에서 성인기로 전환하는 과도기로써 기존의 학교급식에서 결정된 식사를 하였던 시기에서 벗어나 본인의 의지에 따라서 매일의 식사메뉴를 결정하는 최초의 시기라 할 수 있다. 이 시기의 건전한 식생활은 이후의 평생 건강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Park 2003).
대학생들이 나쁜 식습관과 생활습관을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 시기의 건전한 식생활은 이후의 평생 건강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Park 2003). 대학생들은 식사시간을 고려하지 않는 수업시간과 늘어난 자유 시간으로 인한 생활 리듬의 변화 등으로 생활이 불규칙해지면서 아침 결식, 흡연, 수면부족 등 매우 나쁜 식습관과 생활습관을 보인다(Cheong 등 2002). 특히 대학생 시기에는 과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므로 식사를 통한 영양섭취의 중요성을 잘 인식하여 식생활에 대한 바른 가치관을 정립해야하는 중요한 시기이다(Lee 1999).
대학생의 식생활 및 건강관련 생활습관에 대한 파악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대학생 시기에는 과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므로 식사를 통한 영양섭취의 중요성을 잘 인식하여 식생활에 대한 바른 가치관을 정립해야하는 중요한 시기이다(Lee 1999). 그러나 대학생들은 자신이 젊고 건강하다는 생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적으며, 균형된 영양섭취의 중요성을 잘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Ko 2007). 따라서 불규칙한 식습관 및 생활습관을 갖기 쉬운 여건에 있는 대학생의 식생활 및 건강관련 생활습관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hn BRM, Park ES. 2009. Perception of body weight control, life styles and dietary habits according to the obesity index of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Human Ecology 18(1): 167-177 

  2. Beck AR. 1978. Cognitive therapy and the emotional disorders.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New York 

  3. Beck AR. 1967.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Harper & Row, New York 

  4. Basner M, Fomberstein KM, Razavi FM, Banks S, William JH, Rosa RRm Dinges DF. 2007. American time use survey: sleep time and its relationship to waking activities. Sleep 30(9):1085-1095 

  5. Bertino M, Beauchamp GK, Engelman K. 1982. Long-term reduction in dietary sodium alters the taste of salt. Am J Clin Nutr 36(6):1134-1144 

  6. Blais CA, Pangvorn RM, Borhani NO, Ferrel MF, Prineas RJ, Laing B. 1986. Effect of dietary sodium restriction on taste responses to sodium chloride, a longitudinal study. Am J clin Nutr 44:232-243 

  7. Cheong SH, Kwon WJ, Chang KJ. 2002.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etary attitudes, dietary behaviors and diet qualities of food and nutrition major and non-maj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Comm Nutr 7(3):293-303 

  8. Chung BS, Kang KO, Lee JK. 1984. Studies on the taste sensitivity and eating habits of Koreans. J Korean Soc Food Nutr 13(1):86-96 

  9. Chyun JH, Woo KJ, Chung KS. 1994. Taste preference and taste perception of Korean elderly. J Korea Home Economics Asso 32(5):143-151 

  10. Crummy F, Piper AJ, Naughton MT. 2008. Obesity and lung: Obesity and sleep-disordered breathing. Thorax 63(6):738-746 

  11. Gottlieb DJ, Redline S, Nieto FJ, Baldwin CM, Newman AB, Resnick HE, Punjabi NM. 2006. Association of usual sleep duration with hypertension: the Sleep Heart Study. Sleep 29(8):1009-1014 

  12. Kim GH, Hwang JH, Song KH, Kim MJ, Lee HM. 2006. The factors affecting sweet taste sensitivity and preference of the Korean middle-aged females. J Community Nutr 8(2):107-113 

  13. Kim HS, Lee L. 1993. The prevalence of obesity and it's related factors of high school girls in the large cities. Korean J Nutr 26(2):182-188 

  14. Kim IS, Yu HH, Han HS. 2002. Effects of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dietary habits and life style on the health of college students in the Chungnam area. Korean J Comm Nutr 7(1):45-57 

  15. Kim J, Kim HM, Kim KM, Kim DJ. 2009. The association of sleep duration and type 2 diabetes in Korean male adults with abdominal obesity: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 Diabetes Res Clin Pract 86(2):34-36 

  16. Kim J, Jo I. 2010. Age-dependent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hypertension in the adult Korean population. Am J Hypertens 23(12):1286-1291 

  17. Kim KH. 2003. A study of the dietary habits,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onvenience food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Gwangju area. Korean J Community 8(2):181-191 

  18. Kim KH, Park MW. 2009. Comparison of UCP2 polymorphism and dietary habits i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24(2):224-235 

  19. Kim KW, Ahn Y, Kim HM. 2004. Fast food consumption and related fact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Korean J Community Nutr 9(1):47-57 

  20. Kim MK, Hur YK, Choi JK. 2004. Interrater and intrater reliability of 'sip and swallow' method for measurement of whole-mouth taste threshold. Korean J Oral Med 29(2):143-151 

  21. Ko MS. 2007. The comparison in daily intake of nutrients and dietary habits of college students in Busan. Korean J Community Nutr 12(3):259-271 

  22. Lee HM. 2006. Effects of lifestyles, dietary habits, food preferences and nutrient intakes on sensitivity to and preference for slaty tastes of Korean women. J Community Nutr 8(4):185-192 

  23. Lee KA. 1999. A comparison of eating and general health practices to the degree of health consciousness in Pusan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3):732-746 

  24. Lee MS, Kwak CS. 2006. The comparison in daily intake of nutrients, quality of diets and dietary habits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age Korean J Community Nutr 11(1):39-51 

  25. Lee SH, Hyun MH. 2001. The effects of obesity, body image satisfaction, and binge eating on depression in middle school girls. Korean J Health Psych 6(1):195-207 

  26. Lee SS. 2001. The effect of taste preference on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nutrient intakes in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6(2):130-138 

  27. Lee YH, Song JY. 1991.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BDI, SDS, and MMPI-D scales. Korean J Clin Psych 10(1):98-113 

  28. Manson JE, Willett WC, Stampfer MJ, Colditz GA, Hunter DJ, Hankinson SE. 1995. Body weight and mortality among women. N Engl J Med 333(11):677-685 

  29. Naska A, Oikonomou E, Trichopoulou A, Psaltopoulou T, Trichopoulos D. 2007. Siesta in healthy adults and coronary mortality in the general population. Arch Intern Med 167(3):296-301 

  30. Park SE, Kim HM, Kim DH, Kim J, Cha BS, Kim DJ. 2009.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general and abdominal obesity in Koreans: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 and 2005. Obesity(Silver Spring) 17(4):767-771 

  31. Patel SR, Hu FB. 2008. Short sleep duration and weight gain: a systematic review. Obesity (Silber Spring) 16(3):643-653 

  32. Patel SR, Malhortra A, White DP, Gottlieb DJ, Hu HB. 2006. Association between reduced sleep and weight gain in women. American J Epidemiology 164(8):947-954 

  33. Saad MF, Riad-Gabriel MG, Khan A, Sharma A, Michael R, Jinagouda SD, Boyadjian R, Steil GM. 1998. Diurnal and ultradian rhythmicity of plasma leptin: Effects of gender and adiposity. J Clin Endocrinol Metab 83(2):453-459 

  34. Shin AS, Woo MH. 1999. A study of drinking behavior among students at Yangsan college.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14(2):131-136 

  35. Shin EK, Lee HJ, Ahn MY, Lee YK. 2008.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validity of salty taste assessment tool. Korean J Nutr 41(2):184-191 

  36. Spiegel K, Tasali E, Penev P, Van Cauter E. 2004. Sleep curtailment in healthy young men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leptin levels, elevated ghrelin levels, and increased hunger and appetite. Ann Intern Med 141(11):846-850 

  37.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 Seoul 

  38. Toiano RP, Frongillo EA, Sobal J, Levitsky DA. 1996.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weight and mortality: a quantitative analysis of combined information from existing studie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1):63-75 

  39. Wren AM, Seal LJ, Cohen MA, Brynes AE, Frost GS, Murphy KG. 2001. Ghrelin enhances appetite and increase food intake in humans. J Clin Endocrinol Metab 86(12):5992 

  40. Yaggi HK, Araujo AB, Mckinlay JB. 2006. Sleep duration as a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9(3):657-661 

  41. Zaregarizi M, Edwards B, George K, Harrison Y, Jones H, Atkins G. 2007. Acute changes in cardiovascular function during the onset period of daytime sleep: comparison to lying awake and standing. J Applied Physiology 103(4):1332-1338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