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riental medical treatment on psoriasis which is a chronic disease. Methods : We applied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to psoriasis patients. The progress of symptom is calculated using PASI(psoriasis area and severity) score and degree of itching is ch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은 아로마 요법을 이용하여 건선치료에 좋은 결과를 얻은 치험례가 보고되었다. 저자는 원광대학교 부속 광주한방병원 안이비인후피부과에 내원한 환자 중침치료 및 한약치료로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앞으로의 건선환자 치료에 보탬이 되고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선이란 무엇인가? 건선은 구진 및 인설을 동반하며,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는 만성 질환으로 치료에 대한 반응이나예 후 또 한 다양하다1 ) . 발생빈도 는 전 인구의 1~3%로 추정되지만 인종, 민족, 지리적 위치에 따라 많은 차이를 나타낸다.
전세계적으로 건선의 발생빈도는 어느정도인가? 건선은 구진 및 인설을 동반하며,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는 만성 질환으로 치료에 대한 반응이나예 후 또 한 다양하다1 ) . 발생빈도 는 전 인구의 1~3%로 추정되지만 인종, 민족, 지리적 위치에 따라 많은 차이를 나타낸다. 우리나라에서는 백인보다 발생빈도가 낮아서 약 1% 내외로 보고되고 있으며, 남녀 간 발생빈도의 차이는 없다.
한의학에서 건선의 이명은 무엇인가? 癢搔之白屑出是也.”라고 처음으로 기재되었고, 白疕, 松皮癬, 疕風, 蛇虱5)로 불리우기도 하였다. 발병원인에 대해서는 크게 外因과 內因으로 나눌 수 있는데, 外因으로는 風․濕․寒․熱이 하나 또는 두 가지 이상의 원인이 피부에 침입하여 氣血의 순환을 막거나 氣血의 불화를 일으킨다고 보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강원형. 피부질환 아틀라스. 서울:한미의학. 2006:145-6. 

  2. 정종영, 한경환. 한국에 흔한 피부질환. 서울: 엠디월드. 2009:168, 176. 

  3. 이선동, 이정석. 건선의 올바른 치료와 관리. 서울:푸른솔. 2005:17-8, 153. 

  4. 巢元方. 諸病源候論. 서울:鼎談. 1985:796-8. 

  5. 尙德俊. 實用中醫外科學. 山東:山東科學技術出版社. 1986:529-31. 

  6. 이선동. 건선의 한방치료. 서울:푸른솔. 1999:71-2. 

  7. 朴允熹, 申鉉大. 乾癬의 節食療法에 관한 臨床的 硏究. 서울: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 

  8. 吳恩英, 池鮮渶, 具德謨. 慢性皮膚疾患者에 대한 節食療法 治驗例. 대한외관과학회지. 2001;14(1):94-104. 

  9. 吳恩英, 朴惠善, 具德謨, 池鮮渶. 乾癬患者 臨床報告. 대한외관과학회지. 2001;14(2):278-85. 

  10. 김수경, 최규동. 乾癬 治驗 1例 報告. 동서의학회지. 1997;22(2):54-64. 

  11. 윤화정, 감철우. 향기요법을 사용한 乾癬환자의 치험 1례.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18(3):935-8. 

  12. 박수연, 김대수, 최정화, 김종한. 全身性 乾癬治驗 1例.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7;20(3):251-9. 

  13. Fredriksson T, Pettersson U. Severe psoriasis-oral therapy with a new retinoid. Dermatologica 1978;157(4):238-44. 

  14. 윤재일. 건선. 서울:고려의학. 1996:9,12,29-54. 

  15. 윤재일. 윤재일박사의 건선클리닉. 서울:사계절. 1998:12,22-3,81-3. 

  16. 대한피부과학회교과서 편찬위원회. 피부과학. 서울:여문각. 2002:163-4,221-30. 

  17. 陣實功. 外科正宗.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83:257. 

  18. 祁坤. 外科大成. 台北:文光圓書有限公司. 1979:337. 

  19. 吳謙. 醫宗金鑑.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82:127, 152, 399-401, 1951-3. 

  20. 吳克潛. 病源辭典. 天津:天津市古籍書店影印. 1988:140-1, 532. 

  21. 金南權, 黃忠淵, 林圭庠. 乾癬에 대한 東西醫文獻的硏究. 대한외관과학회지. 1999;12(1):171-5. 

  22. 김관우. 舍岩鍼法隨想錄. 대전:초락당. 2007:320-1. 

  23. Gupta MA, Gupta AK. Psychodermatology. An update. J Am Acad Dermatol. 1996;34:1030-46. 

  24. Finlay AY.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 dermatology. Smin Cut Med Surg. 1998;17:291-6. 

  25. Grinsburg IH. The psychosocial impact of skin disease. Dermatol Clinics. 1996;14:473-84. 

  26. Harlow D, Poyner T, Finlay AY, Dykes PJ. Impaired quality of life of adults with skin desease in primary care. Br J Dermatol. 2000;143:979-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