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중.고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식생활 교육 내용 분석
Analysis of Food and Dietary Educational Content i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5 no.4, 2010년, pp.400 - 409  

최정숙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이민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박영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이진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od and dietary educational content i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on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The research objects consisted of 51 kinds of textbooks (15 kinds of pr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초등학교 실과, 국어, 사회 등 교과목 15종,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29종(출판사별),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7종(출판사별)을 대상으로 교과서에 나타난 식생활 교육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교과 과정과 연계한 학교 밖 식생활 관련 체험 공간에서 활용될 수 있는 전통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어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식생활 교육이란 교육활동을 통해 신체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바람직한 식생활 지식과 습관을 습득시키고자 하는 응용과학이며(Lee 등 2000), 일반 교과 교육과는 달리 올바른 영양지식을 실제 식생활에서 스스로 실천하도록 유도하는 행동변화의 실천과정이다(Her 등 2005). 이러한 식생활 교육은 국민의 식생활을 개선하고 전통 식생활 문화의 계승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나아가 농어업 및 식품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고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009년에 제정된 우리나라 ‘식생활교육 지원법’에 어릴 때부터 올바른 식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학교에서의 식생활 교육을 추진토록 명시되어 있다.
  • 따라서 다각적이고 양질의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통해 우리의 전통과 식생활 문화를 올바르게 가르치고 이를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문화로서 인식시키는 것은 중요한 일일 것이다(Ji 2004).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초중고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식생활 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농촌 교육농장과 같은 학교 밖 공간에서, 교과 과정과 연계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제7차 초·중·고 교과과정 중 식생활 교육 중심 교과서를 대상으로 식생활 교육 내용을 분석해 봄으로써 식생활이 교과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진단하고자 하였다.
  • 5%에 해당되었다. 초등학교 교과서 내 전통식생활 관련 내용을 보면 3학년 읽기 교과서에서 유과, 정과, 다식, 엿과 같은 한과류를 소개하였다. 특히 사회 교과에서 우리나라 전통 식생활과 식문화의 우수성을 강조하는 내용들이 많이 다루어졌는데 5학년 사회과 탐구 교과서에 우리 조상들이 즐긴 음식으로 세시음식, 제철음식, 지역 특색음식, 저장발효식품, 기후지역별 김치 및 김치의 상업화와 세계화에 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이라고 하는 것은 어떠한 활동인가? 교육이라 함은 인간의 내재적인 성향과 능력을 인간이 바라는 방향으로 계발 또는 변화시키고자하는 가치 지향적이고 의도적인 활동이며, 교육과정은 이러한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택한 문화 또는 생활 경험을 교육적인 관점에서 편성한 것이다. 교육과정을 어떻게 구성하고, 어떤 방법으로 운영하느냐는 결국 한 나라의 교육을 결정하고 더 나아가 그 나라의 미래를 결정하게 된다(Back 등 2002).
교과서는 무엇인가? 교과서는 교육과정의 내용을 쉽게 가르치고 배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학습방법의 지침이 되는 학생용 도서로서, 교수-학습 과정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교과서는 교사와 학생에게 핵심적인 학습요소, 즉 무엇을 전달할 것인가를 명료하게 밝혀줘야 하므로 그 절차와 방법까지도 체계 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교과서 분석 방법 중 내용분석 방법은 무엇인가? 교과서 분석 방법으로는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방법을 활용하였다. 내용분석이란 내용을 분석하는 자체가 목적으로, 내용을 기술하고 규칙에 따라 내용을 체계적으로 범주화하며, 기록된 정보의 내용을 조사하기 위해 고안된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방법(Krippendorf 1980)으로 정의될 수 있다. 내용분석에 적합한 자료로는 신문이나 문헌 등의 출판물, 테이프 등이며, 이용 가능한 내용에 관한 연구문제에 사용되는 하나의 방법으로 모든 형태의 내용을 분류하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배현석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기획재정부, 교육과학기술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농림수산식품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여성가족부, 농촌진흥청. 2010. 2010-2014 식생활 교육 기본계획 

  2. 모수미, 구재옥, 이정원, 최혜미. 2002. 생활주기영양학. 효일문화사. 서울 

  3. 배현석 역. 2001. 미디어 내용분석 방법론. 커뮤니케이션 북스. 서울 

  4. An GS, Shin DS. 2001. A comparison of the food and nutrient intake of adolescents between urban areas and islands in south kyungnam.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6(3):271-281 

  5. Back NG, Seo SJ, Jo TH, Kim SK, Park KE, Lee KH. 2002.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tent and illustration in the 6th and 7th national curriculum 3rd and 4th grade primary science textbooks.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1(1):61- 70 

  6. Gordano G. 2003. Twentieth-century textbook wars. NY: Peter Lang 

  7. Her ES, Lee SG, Park HJ, Lee KH. 2005. Effect-Evaluation on Nutrition Education in Related Curriculum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cused on Change of Dietary Habit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0(6):795-804 

  8. Ji KH. 2004. Development of practical arts instructional method on the Korean traditional eating habit field. Chung-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p 16-39 

  9. Kang YH, Kim YN. 1999. A study about perception participation on meal management in junior high school. 11(2),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1(2):111- 123 

  10. Kim KA. 2002. A Study on the teaching materials for the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11. Krippendorf K. 1980. Content analysis: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Beverly Hills Sage 

  12. Lee HC, Choi YR. 1998. The content analysis of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the 6th national curriculum.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7(2):55-65 

  13. Lee KH, Kang HJ, Her ES. 2002. Adolescent' internet utilization status of dietary information in kyungnam.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5(1):115-123 

  14. Lee YH, Choi YH, Choi YH, Lee HK, Han JY, Bang JH. 2004. Textbook content analysis based on elaboration theory on practical arts(technology education) subject matter of 7th national curriculum. The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36(2):49-64 

  15. Lee YJ, Kim GM, Chang KJ. 2000. The analysis of effect an nutri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chon.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6(2):86-96 

  16. Park DY, Kim JH, Lee KH. 2008. The content analysis on the food and nutrition fields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08(2):164 

  17. Sim JY, Lee GC. 2006.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educational needs for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among high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technologyhome economic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4):157-17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