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악요법이 말기암 환자의 통증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usic Therapy on Pain and Depression in Terminal Cancer Patients 원문보기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2 no.1, 2010년, pp.48 - 57  

서바른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홍해숙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pain, depression in terminally-ill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44 patients who were admitted in F hospital, located in D city from July 1 to July 31 in 2008. The subjects were di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선호음악을 중심으로 한 감상적 음악요법이 말기암 환자의 통증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선호음악을 중심으로 한 음악요법이 말기암 환자의 통증,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음악요법을 적용하여 말기암 환자의 통증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여 음악요법을 앞으로 간호중재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요법이 말기암 환자의 통증과 우울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말기 암환자를 대상으로 선호도를 고려한 감상을 중심으로 한 음악요법의 중재가 말기암 환자들이 가지는 통증과 우울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말기암 환자들의 남은 여생을 편안하고 가치 있게 살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간호중재로 활용하고자 이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가설 설정

  • 1) 음악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통증점수가 낮을 것이다.
  • 2) 음악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우울점수가 낮을 것이다.
  • 가설 2: 음악요법을 받은 실험군의 우울점수는 대조군의 우울점수보다 낮을 것이다.
  • 가설 1. 음악요법을 받은 실험군의 통증점수는 대조군의 통증점수보다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사람의 사망원인 중 1위를 차지하는 질병은? 은 한국 사람의 사망원인 중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질병으로 1997년 인구 10만 명당 122.7명이던 사망률이 2007년에는 137.
통증은 무엇을 초래하는가? 대부분 암으로 진단을 받고 질병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가장 힘들어하는 증상 중의 하나는 통증으로, 이러한 통증은 환자의 삶의 질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신체증상의 하나로 통증은 환자의 신체적 쇠약, 기능상태 저하, 정서적 파괴, 사회적 불능, 삶의 의미 변화를 초래한다(Choi & Hong, 1995; Suh, Suh, & Lee, 1995).
선호음악을 중심으로 한 음악요법이 말기암 환자의 통증,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의 제언 내용은? 첫째, 말기암 환자의 단계와 정도를 고려하여 음악요법을 실시하여야 하며, 음악치료기법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말기암 환자의 통증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킬 수 있도록 대상을 넓혀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Choi, B. C. (2003). Music therapy. Seoul: Hakjisa. 

  2. Choi, Y. S., & Hong, M. H. (1995). Analysis of termunal care: Pain management in terminal patient.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6, 269-285. 

  3. Good, M., Stanton-Hicks, M., Grass, J. A., Anderson, G. C., Lai, H., Roykulcharoen, V., et al. (2001). Relaxation and music to reduce post surgical pain. J Adv Nurs, 33, 208-215. 

  4. Hartsock, J. (1982). The effects of music levels of depression in orthopaedic patients on prolonged bedrest. Iowa City, IA: University of Iowa. 

  5. Hilliard, R. E. (2005). Music therapy in hospital and palliative care: A review of the empirical data.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 173-178. 

  6. Hong, M. S. (2008).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comfort in terminal canc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7. Hong, Y. H., Moon, D. H., Lee, C. S., Lee, J. L., Lee, J. H., Kim, Y. J., et al. (2007). Hospice palliative care of terminal colorectal cancer patients. The Joural of the Korean Societ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0, 35-42. 

  8. Jang, S. Y. (2007). The effects of aroma hand massage on pain, state anxiety and depression in hospice with terminal canc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9. Kim, E. J. (2008). Research on the effect that music therapy has on the mood state of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10. Kim, H. S. (1998). The effects of informational support for hospital care in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Seoul. 

  11. Kim, M. J. (2007).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the cortisol,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of geriatrics ward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12. Kim. M. S., Kim, J. H., & Lee, D. J. (2004). Effect of intra-and postoperative music on patients of regional anesthesia. Inje J Med, 25, 61-66. 

  13. Kim, M. Y., Kim, A. R., Choi, H. O., Whang, M. S., & Kwon, I. G. (2007). Effects of music therapy on level of pain and ambulation of patients with abdominal surger.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3(3), 81-91. 

  14. Kim, S. H. (2002).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utcome research literat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5. Kim, S. Y., & Han, K. S. (1996).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anxiety in neurotic patients.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26, 889- 902. 

  16.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7). Cause of daeth statistical data. Seoul: Author. 

  17. Kown, I. S. (2003). Effects of music therapy on pain, discomfort and depression for patients with fractured le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18. Lee, D. Y. (2008). The influence of music listening, vocalization with music listening on pain, mood,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of pain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9. Lee, G. M. (2000). The analysis on the nursing need of hospice in the cancer patient and fami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20. Lee, M. H. (2005). The influence of music therapy on anxie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1. Lee, W. Y. (2000). A study of the music therap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1, 245-261. 

  22. Nilsson, U., Rawal, N., & Unosson, M. (2003). A comparison of intraoperative or postoperative exposure to music: A controlled trial of the effects on postoperative pain. Anaesthesia, 58, 699-703. 

  23. Oh, Y. h. (1999). The therapeutic effect of music on depression and serum cholesterol/triglyceride for older peop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4. Park, Y. S. (1995). The effects of systematic group music therapy for the inpatients with depressive mood and psychiatric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Seoul. 

  25. Shin, Y. S. (2007). The effect of mental hospital patient's depress, anxiety and relationships by group music therapy.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26. Song, M. O. (2002). Effect of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on spiritual well-being and depression of the hospice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7. Song, O. H. (1977). A study of the self-rating depression scale on psychiatric out-clinic pati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v Association, 16, 84-93. 

  28. Steven, K. (1990). Patients' perceptions music during surger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5, 1045-1051. 

  29. Suh, S. R., Suh, B. D., & Lee, H. J. (1995). Nurses' knoweledge and attitudes toward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f patients with pai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7, 61-70. 

  30. The Korean Pain Society. (2000). Painmedicine (2nd ed.). Seoul: Koonja. 

  31. Yoon, M. O. (2000). The effect of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on pain and anxiety of the hospice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32. Yoon, M. O., & Park, J. S. (2002). The effect of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on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hospic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4, 337-347. 

  33. Yu, H. S. (2002). How does the listening-centered music intermediation contribute to reducing anxiety of terminal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34. Yu, S. J., & Kim, H. S. (2000). The study of pain and depression in elderly cancer patients. The Joue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 154-166. 

  35. Yun, Y. H., Heo, D. S., Park, H. A., Shin, H. C., Yoo, T. W., & Heo, B. Y. (1999). Development of a cancer pain assessment tool in Korea: A validation study of a Korean version of the brief pain inventory. The Joural of the Korean Societ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 182. 

  36. Zung, W. W. (1965).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2, 63-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