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동남부 지역의 토지 이용과 기후 패턴 변화 분석
Land Use Changes and Climate Patterns in Southeast Korea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6 no.2, 2013년, pp.47 - 64  

박선엽 (부산대학교 지리교육과) ,  탁한명 (부산대학교 지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위성 자료를 기반으로 생성된 토지피복 정보를 시계열적인 분석을 통해 지난 30년간 부산 경남 지역의 경관 구조 변화를 추적하고 해당 지역 기온 변화와의 상관성을 파악하였다. 토지 피복 자료의 기하학적 구조를 정량화하기 위해 경관구조 분석 프로그램인 FRAGSTATS를 사용하여 토지피복별 경관지수를 산출하였다. 이를 통해 주요 토지이용의 변화상과 개발에 따른 경관의 분절화 과정을 확인하였다. 부산과 경남 지역의 10개 측후소 자료에 따르면, 부산의 평균 기온은 1980년대 $14.1^{\circ}C$에서 2000년대 $14.8^{\circ}C$로 증가하였고, 경남 지역의 평균 기온은 1980년대 $13.2^{\circ}C$에서 2000년대 $13.9^{\circ}C$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장기 기온 변화패턴은 도시화와 같은 우리나라 동남부의 전형적인 경관구조 변화와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부산시 분석 자료에 의하면, 지난 30년간 도시역은 전체 면적의 9.7%에서 26.8%로 증가하였고, 산림과 농경지는 각각 58%에서 48.4%로, 28.3%에서 13.4%로 감소하였다. 해당 기간별 기온자료와 비교해보면, 도시역이 증가하고 산림과 농경지 면적이 꾸준히 감소함에 따라 부산의 평균기온이 1990년대 이후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경남지역의 도시역 면적은 12배 이상 증가해 매우 빠른 도시화를 겪었다. 도시화에 따른 기온 변화는 지역적으로 구분되었는데, 경남 해안지역은 기온상승의 폭이 가장 낮았고 중부경남에 이어 내륙 산악지역에서 가장 높은 기온증가율이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ndscape structure changes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re determined with land use and land cover(LULC) map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mean air temperature time series were the analyzed for the Busan metropolitan area and South Kyeongsang Province, Korea. The geometric structures of the LUL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지역의 토지이용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추적하여, 지난 30년 간 나타난 경관의 구조변화를 정량화하고 지역적인 기온 변화상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관생태학의 기능은 무엇인가? 토지이용변화의 결과로 재구성되는 경관의 구조변화는 지역 내 경관의 분포와 패턴을 파악하기 위하여 1930년대 이후 발달한 경관생태학적 방법론에 뿌리를 두고 있다. 경관생태학은 경관을 구성하는 구조적 패턴의 단위를 등질적인 속성을 가진 기하학적 도형으로 설정하고, 기하학적 속성 및 분포, 주변패치와의 연계성 등을 정량화하여 경관 구조변화를 설명한다(Gustafson, 1998). 본 연구에서는 경관구조 분석 프로그램인 FRAGSTATS 3.
FRAGSTATS가 제공하는 경관매트릭스 중 토지이용별 패치 매트릭스가 지니는 단점은 무엇인가? 즉, 개별 패치별, 토지이용 구분별(또는 클래스별), 그리고 연구지역 전체를 단위로 연구자가 선택하는 경관지수를 통계적으로 산출해 낸다. 토지이용별 패치 매트릭스는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경관구조 변화를 정량적으로 나타내지만, 지리적으로 시각화하기 어려운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ERDAS IMAGINE 9.
FRAGSTATS란 무엇인가? 3을 사용하여 경관구조특성을 나타내는 지표 또는 매트릭스를 산출하였다. FRAGSTATS는 경관생태학 연구를 위한 분석도구로서, 이질적인 경관 구성요소들의 구조를 다양한 지표로 쉽게 정량화할 수 있도록 미내무성과 오레곤 주립대학교의 공동 연구로 개발된 공간분석 프로그램이다(McGarigal and Marks, 1995). 경관을 구성하는 일차적 단위는 주위 환경과 구분되는, 외형 및 특성이 등질적으로 연속된 지표의 영역에 해당하는데 경관구조분석에서는 이를‘patch’라 부르며, 이질적이고 다양한 patch들이 전체를 이루며 결합되어 있는 대상을 경관‘모자이크’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J.S., J.D. Hwang, M.H. Park and Y.S. Suh. 2012. Estimation of urban heat island potential based on land cover type in Busan using Landsat-7 ETM+ and AWS dat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4):65-77 (안지숙, 황재동, 박명희, 서영상. 2012. Landsat-7 ETM+ 영상과 AWS 자료를 이용한 부산의 토지피복에 따른 여름철 도시열섬포텐셜 산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4):65-77). 

  2. Brownstein, J.S., D.K. Skelly, T.R. Holford and D. Fish. 2005. Forest fragmentation predicts local scale heterogeneity of Lyme disease risk. Oecologia 146(3): 469-475. 

  3. Busan Metropoitan City. 2011. Gangseo-Gu statistical yearbook. Busan Metropolitan City (부산광역시. 2011. 강서구 통계연보. 부산광역시). 

  4. Buyantuyev, A. and J. Wu. 2007. Effects of thematic resolution on landscape pattern analysis. Landscape Ecology 22(1):7-13. 

  5. Feddema, J.J., K.W. Oleson, G.B. Bonan, L.O. Mearns, L.E. Buja, G.A. Meehl and W.M. Washington. 2005. The importance of land-cover change in simulating future climates. Science 310(5754): 1674-1678. 

  6. Graham, A.J., F.M. Danson, P. Giraudoux and P.S. Craig. 2004. Ecological epidemiology: landscape metrics and human alveolar echinococossis. Acta Tropica 91(3):267-278. 

  7. Gustafson, E.J. 1998. Quantifying landscape spatial patterns: what is the state of the art? Ecosystems 1(2):143-156. 

  8. Hong, S.K. and C.S. Lee. 1997. Development and roles of landscape ecology as an emerging opportunity for ecology. The Korean Journal of Ecological Sciences 20(3):217-227 (홍선기, 이창석. 1997. 생태학의 새로운 분야로서 경관생태학의 발전과 역할. 한국생태학회지 20(3):217-227). 

  9. Jung, S.K., J.H. Oh and K.H. Park. 2005. A temporal structure analysis of forest landscape patterns using landscape indices in the Nakdong river basi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8(2): 145-156 (정성관, 오정학, 박경훈. 2005. 경관지수를 활용한 낙동강 유역 산림경관의 시계열적 패턴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2):145-156). 

  10. Kim, J.H. 2012. Landscape fragmentation of circular greenspace in Cheongju and requirements for a sustainable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7(1):79-97 (김재한. 2012. 청주시 환상녹지의 경관 파편화 실태와 지속가능한 녹지관리 방안 모색. 대한지리학회지 47(1):79-97). 

  11. Kown, H,J. 1995. Goegraphy of Korea(General introduction). Bobmunsa, Seoul. pp.511-516 (권혁재. 1995. 한국지리. 법문사, 서울. 511-516쪽). 

  12. Krummel, J.R., R.H. Gardner, G. Sugihara, R.V. O'Neill and P.R. Coleman. 1987. Landscape patterns in a disturbed environment. Oikos 48(3):321-324. 

  13. Lee, D.W., H.J. Jang and S.K. Kang. 2000. Fractal approaches to ecological and limnological phenomena.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3(2):69-79 (이도원, 장현정, 강신규. 2000. 생태학적.육수학적 현상들에 대한 프랙탈의 적용. 한국하천호수학회 지 33(2):69-79). 

  14. McGarigal, K. and B. Marks. 1995. FRAGSTATS: Spatial Analysis Program for Quantifying Landscape Structure. USDA Forest Service. 

  15. Moody, A. and D.M. Johnson. 2001. Land-surface phenologies from AVHRR using the discrete fourier transform.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75(3): 305-323. 

  16. Oh, J.H., Y.K. Kim and J.O. Kwon. 2007. An analysis of landcover change and temporal landscape structure in the main ridge area of the Baekdu Daegan mountain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3):49-57 (오정학, 김영걸, 권진오. 2007. 백두대간 마루금 지역의 시계열적 토지피복 변화 및 경관구조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3):49-57). 

  17. Overgaard, H.J., B. Ekbom, W. Suwonkerd and M. Takagi. 2003. Effect of landscape structure on anopheline mosquito density and diversity in northern Thailand: implication for malaria transmission and control. Landscape Ecology 18(6):605-619. 

  18. Park, K.H., S.K. Jung, H.T. Lee, J.H. Oh and K.T. Kim. 2004. An analysis on landscape ecological pattern of the Geumho river watershed fores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7(3):22-34 (박경훈, 정성관, 이현택, 오정학, 김경태. 2004. 금호강 유역 산림의 경관생태학적 패턴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3):22-34). 

  19. Park, S. and S.L. Egbert. 2008. Remote sensing-measured impacts of the Conservation Reserve Program (CRP) on landscape structure in southwest Kansas, USA. GIScience and Remote Sensing 45(1):83-108. 

  20. Park, S.Y. and S.L. Egbert. 2003. Spatial analysis of landscape structure changes caused by the US conservation reserve program in the central high plai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9(4):519-533 (박선엽 and S.L. Egbert. 2003. 미중부지역 농지보전 프로그램에 의한 경관구조 변화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4):519-533). 

  21. Pielke, R.A., G. Marland, R.A. Betts, T.N. Chase, J.L. Eastman, J.O. Niles, D.S. Niyogi and S.W. Running. 2002. The influence of land-use change and landscape dynamics on the climate system: relevance to climate-change policy beyond the radiative effect of greenhouse gase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A 360(1797):1705-1719. 

  22. Seto, K.C. and M. Fragkias. 2005. Quantifying spatiotemporal patterns of urban land-use change in four cities of China with time series landscape metrics. Landscape Ecology 20(7):871-888. 

  23. Son, J.W., S.W. Jeon and C.U. Choi. 2009. GIS and statistical techniques used in Korea urban expansion trend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7(4): 13-22 (손정우, 전성우, 최철웅. 2009. GIS와 통계기법을 이용한 대한민국 도시확장 패턴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7 (4):13-22). 

  24. Uuemaa, E., M. Antrop, J. Roosaare, R, Marja and U. Mander. 2009. Landscape metrics and indices: an overview of their use in landscape research. Living Review in Landscape Research 3(1): 1-28. 

  25. Wu, J., W. Shen, W. Sun and P.T. Tueller. 2002. Empirical patterns of the effects of changing scale on landscape metrics. Landscape Ecology 17(8):761-782. 

  26. Zhang, L., J. Wu, Y., Zhen and J. Shu. 2004. A GIS-based gradient analysis of urban landscape pattern of Shanghai metropolitan area, Chin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9(1):1-16. 

  27. http://kosis.kr. 

  28. http://egis.me.go.kr. 

  29. http://www.wamis.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