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경역동적 기법과 자가 신경 운동법이 수근관증후군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eurodynamic Technique and Self Management Exercise for Carpal Tunnel Syndrom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thopedic manual therapy, v.16 no.2, 2010년, pp.48 - 52  

박현식 (연세미소의원 물리치료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scrive the effect of neurodynamic technique and self management exercise for carpal tunnel syndrome patients(CTS) Method: 13 patients with 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from 18 to 70 years old and mean age was 25.3. In the evalutaion, gripping with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도에서 중등도에 달하는 수근관증후군 환자에게 활주/긴장테크닉을 포함한 신경역동적기법과 자가 신경운동법을 사용하여 신경을 확장하고 신경조직의 가동성을 회복하고자 하였다. 수근관증후군 환자의 악력과 쥐기힘과 통증의 변화를 관찰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서울시내 모 병원에 내원한 18~70세 사이의 환자 중 양쪽 상지 중 한쪽 상지의 정중신경 분포 부위에 통증과 이상감각을 호소하는 자발적 참여를 원하는 환자중 요골과 수근골에 골절의 기왕력이 없는 환자를 대상으로 EMG 검사와 팔렌 검사(phalen test)와 정중신경긴장검사(upper limb neurodynamic test 1)에서 양성을 나타낸 환자 13명을 대상으로 주 3회씩 걸쳐 시행 하여 손의 기능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표 1).
  • (김덕수, 2001). 사회적인, 직업적인 환경요인으로 인해 증가하고 있는 누적손상증후군의 대표적인 질환인 수근관증후군 환자들에 대한 정상기능 회복을 목적으로 신경역동적 기법(neurodyna mic technique)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경역동이란 무엇인가? 최근의 물리치료사에 의한 검사는 말초신경의 촉진을 포함한 신경역동적 검사(neurodynamic test)가 평가의 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elvey, 1986; butler, 2000) 신경가동기법은 신경계의 가동성이라는 개념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운동범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신경계도 적절히 신장 및 수축이 되어야 한다는 이론으로 신경계의 가동성을 다른 표현으로 신경역동성이라 하며(shacklock, 1995), 신경역동(neurodynamics)이란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 말초신경계에 기계적인 효과와, 중추신경계에 영향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말하며, 신경계의 역학적 그리고 생리학적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과학이다(butler, 2000).
신경역동학적치료 기법이 포함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이 치료법은 신경조직에 대한 신장기법과 신경가동술이 포함된다.(butler and slater, 1995) 여러 원인들로 인하여 신경계가 손상을 받으면 신경계의 고유특성인 신경전도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이는 곧 감각장애나 운동장애를 유발하게 된다(Davies, 1994).
신경역동학적치료 기법이란 무엇인가? 신경역동학적치료 기법은 도수치료의 한 형태로, 다관절(multiple joints)의 움직임과 위치를 통해 신경구조물(neural structure)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치료기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