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홀로코스트 강제수용소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적 경관
A Study on Commemorative Landscape in Holocaust Concentration Camp Memorials of Germany and Poland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6, 2017년, pp.98 - 114  

이상석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홀로코스트 강제수용소 메모리얼을 대상으로 하여 역사적 경관의 특성, 장소 및 유적의 특성, 그리고 기념적 모뉴멘트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홀로코스트 메모리얼의 기념적 경관에 나타난 의미를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폴란드에 있는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절멸수용소 메모리얼, 마이다네크 절멸수용소 메모리얼, 벨젝 절멸수용소 메모리얼, 소비보르 절멸수용소 메모리얼, 트레블링카 절멸수용소 메모리얼, 헤움노 절멸수용소 메모리얼 6개소와 독일에 있는 다하우 강제수용소 메모리얼 및 베르겐-벨젠 강제수용소 메모리얼 2개소를 포함하여 전체 8개소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2015년 9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독일에 있는 홀로코스트 메모리얼을 대상으로 1차 현지조사와 2016년 4월 19일부터 4월 28일까지 폴란드에 있는 절멸수용소 메모리얼에 대한 2차 현지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하우, 아우슈비츠, 마이다네크 수용소 메모리얼에서는 미국이나 러시아 등 연합군에 의해 수용소 시설 및 공간 구조가 유지된 상태로 해방되었기 때문에 수용소 경관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정치사회적 담론을 유발했던 모뉴멘트와 메모리얼이 제한적으로 설치되었다. 그러나 벨젝, 소비보르, 트레블링카, 헤움노 수용소 등 절멸수용소에서는 시설이 완전히 파괴된 후 인공적으로 조림이 되었기 때문에 자연경관이 지배적이었으며, 발굴된 유해와 유적을 보호하고, 기억의 장소에 모뉴멘트를 세웠다. 둘째, 가스실 및 화장장, 유해 및 공동묘지, 경비초소 및 전기울타리, 철로 및 램프, 수용소 막사, 배수로는 수용소 구조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시설로 나타났다. 특히, 가스실 및 화장장과 수용소에 버려진 유해 및 대규모 공동묘지는 수용소의 참혹한 역사를 잘 나타내고 있고, 수감자들이 이송되어 도착한 철로 및 램프도 강한 장소적 의미를 갖고 있었다. 이러한 수용소 유적은 폐허 속에서 사건과 장소의 기억을 강하게 불러일으키는 상징적 요소가 되었다. 셋째, 기념의 내용에 있어서는 희생자를 추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홀로코스트의 기억을 되살리기 위해 노력하였다. 특징적으로 다하우 수용소 메모리얼에서는 종교적 화해와 평화를 나타내었으며, 트레블링카 및 벨젝 수용소 메모리얼에서는 유대인 공동체와 유대교에 근거하여 집단적 정체성을 강하게 나타내었다. 넷째, 모뉴멘트는 반추상 및 추상적 조각이나 상징적이고 은유적으로 홀로코스트를 표현하였으며,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수용소 메모리얼과 베르겐-벨젠 수용소 메모리얼에서는 지나친 추상성이나 기억의 경관을 훼손한다는 문제로 심각한 갈등을 빚기도 하였다. 다섯째, 사건 및 장소적 기억을 만들어내는 수용소 유적과 홀로코스트에 대한 공공의 기억을 위한 상징적 모뉴멘트가 병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관계에서 홀로코스트 사건 및 장소를 기억하며 수용소 부지의 진정성을 살리는 것과 사건을 의도적으로 기념하기 위한 시도가 대립되었다. 본 연구는 독일과 폴란드에 있는 대표적인 홀로코스트 강제수용소 메모리얼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함으로서 메모리얼을 구성하는 다양한 기념물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못하였다는 한계를 갖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기념공간에 나타난 기념적 경관에 대한 비교 분석이 미흡하므로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commemorative landscapes of eight Holocaust concentration camp memorials(HCCM) of Germany and Poland from a landscape architecture point of view including historical landscape, places and remains, and monuments. A site survey was conducted at Dahau concentration camp memori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수용소 메모리얼에 있는 고고학적 유적과 역사적 랜드마크, 그리고 자연의 숲과 초지를 적절히 유지하기 위해서는 경관적 측면에서의 담론이 필요하다(Milton, 2001: 26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극적인 홀로코스트 현장으로서 기억의 중심지인 독일과 폴란드에 위치한 홀로코스트 강제수용소 메모리얼을 대상으로 기념적 경관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세부적으로는 강제수용소 메모리얼의 역사적 경관의 특성, 장소 및 유적의 특성, 그리고 기념적 모뉴멘트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홀로코스트 메모리얼의 기념적 경관에 나타난 의미를 규명하는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극적인 홀로코스트 현장으로서 기억의 중심지인 독일과 폴란드에 위치한 홀로코스트 강제수용소 메모리얼을 대상으로 기념적 경관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세부적으로는 강제수용소 메모리얼의 역사적 경관의 특성, 장소 및 유적의 특성, 그리고 기념적 모뉴멘트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홀로코스트 메모리얼의 기념적 경관에 나타난 의미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럽의 홀로코스트 메모리얼은 어떤 곳들이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홀로코스트 강제수용소 메모리얼을 대상으로 하여 역사적 경관의 특성, 장소 및 유적의 특성, 그리고 기념적 모뉴멘트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홀로코스트 메모리얼의 기념적 경관에 나타난 의미를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폴란드에 있는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절멸수용소 메모리얼, 마이다네크 절멸수용소 메모리얼, 벨젝 절멸수용소 메모리얼, 소비보르 절멸수용소 메모리얼, 트레블링카 절멸수용소 메모리얼, 헤움노 절멸수용소 메모리얼 6개소와 독일에 있는 다하우 강제수용소 메모리얼 및 베르겐-벨젠 강제수용소 메모리얼 2개소를 포함하여 전체 8개소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2015년 9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독일에 있는 홀로코스트 메모리얼을 대상으로 1차 현지조사와 2016년 4월 19일부터 4월 28일까지 폴란드에 있는 절멸수용소 메모리얼에 대한 2차 현지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홀로코스트에 대하여 국가별로 강조하는 점은 어떠한가? 홀로코스트에 대하여 이스라엘에서는 'Shoah', 독일에서는 'Nazi-Zeit', 폴란드에서는 'National martyrdom'으로 부르는 것처럼(Young, 1994: 21), 독일에서는 국가적인 정신적 외상 및 유대인 실종, 이스라엘에서는 국가설립의 근거, 미국에서는 수용소의 해방, 소련에서는 공산주의의 나치 진압을 강조하고 있어서(Huyssen, 1994: 15-17), 국가별로 사건을 달리 회상하고 있다.
기억의 역할은? 기억(memory)은 비극적 사건과 장소를 연결하고, 역사적인 과거의 느낌을 부지에 불어넣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Young,1993: 19), 강제수용소 메모리얼에서 사건 및 장소에 대한 기억은 중요하다. 그러나 지나치게 사건 및 장소에만 의존하는 메모리얼은 감정적이고 직설적일 수 있으며(Lee, 2011:31-32), 홀로코스트 현장으로서 파괴된 장소는 과거 발생한 사건의 환영에 사로 잡혀 기억될 뿐이다(Young, 1993: 1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Bem, M.(2014) Sobibor. In Jacek Lachendro ed., German Places of Extermination in Poland. Pilsudskiego: Wydawnictwo Parma press. pp. 46-57. 

  2. Bleakney, J.(2006) Revisiting Vietnam. New York: Routledge. 

  3. Brands, G.(2001) FromWorldWar I Cemeteries to the Nazi Fortresses of the Dead: Architecture, Heroic Landscape, and the Quest for National Identity in Germany. In Joachim Wolschke-Bulmahn eds., Places of Commemoration: Search for Identity and Landscape Design. Washington D. C.: Dumbarton Oaks Research Library and Collection. pp. 215-256. 

  4. Choi, H. K.(2009) Spatial representation of the holocaust: A study of representative memorial museums in Germany, Israel, and U. S. America. Korean Journal of German Studies 18: 47-78. 

  5. Choi, K. S. and Y. M. Koo(2011) A study on the sensuous representation of the sence of place latent in holocaust memorial. 2011 AIK Autumn Annual Conference Planning 31(2): 119-120. 

  6. Choi, S. H.(2010) Silent monument: Memorial for the murdered jews of Europ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Art History Education 24: 229-258. 

  7. Comite International de Dachau; Barbara Distel, Dachau Concentration Camp Memorial Site(2005) The Dachau Concentration Camp, 1933 to 1945. Munich: Edition Lipp Verlagsgesellschaft mbH. 

  8. Han, S. H.(2008) The study on the politics of memory and the collective identity - Focusing on the monument of Geochang massacre. Society and History 78: 35-63. 

  9. Huyssen, A.(1994) Monument and Memory in a Postmodern Age. In James E. Young ed., The Art of Memory: Holocaust Memorials in History. Munich and New York: Prestel-Verlag. pp. 9-17. 

  10. Joniec, J. and E. Koper(2016) The Museum-Memorial Site in Belzec (brochure). 

  11. Kamila C. and T. Kranz(2016) The State Museum At Majdanek. Majdanku. 

  12. Kielborn, J.(2014) Majdanek. In Jacek Lachendro ed., German Places of Extermination in Poland. Pilsudskiego: Wydawnictwo Parma Press. pp. 70-83. 

  13. Kopowka, E.(2014a) Treblinka. In Jacek Lachendro ed., German Places of Extermination in Poland. Pilsudskiego: Wydawnictwo Parma Press. pp. 58-69. 

  14. Kopowka, E.(2014b) Plan Kamieni Symbolicznych. Treblinka: Museum of Fighting and Martyrdom. 

  15. Kopowka, E.(2015) The Museum of Fight and Martyrdom in Treblinka. Treblinka: The Head of the Museum of Fight and Martyrdom( brochure). 

  16. Kowalczyk-Nowak, Agnieszka ed.(2014) Majdanek Memorial and Museum. Lublin: Panstwowe Museum na Majdanku. 

  17. Kuwalek, R.(2014) Belzec. In Jacek Lachendro ed., German Places of Extermination in Poland. Pilsudskiego: Wydawnictwo Parma press. pp. 36-37. 

  18. Kuwalek, R.(2011) From Lublin to Belzec(Traces of Jewish Presence and the Holocaust in South-Eastern Part of the Lublin Region). Lublin: AD REM. 

  19. Kuwalek, R. and K. Skwirowski(2016) Death Camp in Sobibor. (Brochure). 

  20. Lachendro, J.(2014) Auschwitx. In Jacek Lachendro ed., German Places of Extermination in Poland. Pilsudskiego : Wydawnictwo Parma press. pp. 6-35. 

  21. Lee, S. S.(2015) A study on commemoration characteristics of Vietnam war memorial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1): 1-15. 

  22. Lee, S. S.(2001)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details for memorializ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9(5): 71-83. 

  23. Lee, S. S.(2010) A study on design characteristics of Korean war memorial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3): 12-24. 

  24. Lee, S. S.(2011) A study on commemoration culture of Vietnam war memorials in Vietna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3): 26-38. 

  25. Milton, S.(2001) Perilous Landscapes: Concentration Camp Memorials between Commemoration and Amnesia. In JoachimWolschke-Bulmahn eds., Places of Commemoration: Search for Identity and Landscape Design. Washington D.C.: Dumbarton Oaks Research Library and Collection. pp. 257-268. 

  26. Museum-Miejsce Pamieci w Belzcu, Belzec Death Camp (phamplet). 

  27. Museum of the Former Extermination Camp in Chelmno-on Ner (2014) Kulmhof am Ner. In Jacek Lachendro ed., German Places of Extermination in Poland. Pilsudskiego: Wydawnictwo Parma press. p. 94. 

  28. Pawlicka-Nowak, Lucja(2014) Kulmhof am Ner. In Jacek Lachendro ed., German Places of Extermination in Poland. Pilsudskiego : Wydawnictwo Parma press. pp. 84-95. 

  29. Potteiger, M. and J. Purinton(1998) Landscape Narratives(Design Practices for Telling Stories). New York: John Wiley & Sons. p. 11. 

  30. Stern, M. A.(2001) The National Cemetery System: Politics, Places, and Comtemporary Cemetery Design. In Joachim Wolschke-Bulmahn eds., Places of Commemoration: Search for Identity and Landscape Design. Washington D. C.: Dumbarton Oaks Research Library and Collection. pp. 107-130. 

  31. Swiebocka, Teresa, Jadwiga Pinderska-Lech, Jarko Mensfelt, translated by Adam Czasak(2016) Auschwitz-Birkenau the past and the present. Oswiecim: Museum Auschwitz-Birkenau State Museum. 

  32. Wasserman, J. R.(1998) To trace the shifting sands: Community, ritual, and the memorial landscape. Landscape Journal 17: 42-61. 

  33. Wolfgang Benz 'Places of Remembrance, Culture of Remembrance, In Comite International de Dachau; Barbara Distel, Dachau Concentration Camp Memorial Site(2005) The Dachau Concentration Camp, 1933 to 1945. Munich: Edition Lipp Verlagsgesellschaft mbH. pp. 30-34. 

  34. Wolschke-Bulmahn, Joachim(2001) The Landscape Design of the Bergen-Belsen Concentration Camp Memorials. In Joachim Wolschke-Bulmahn eds., Places of Commemoration: Search for Identity and Landscape Design. Washington D.C.: Dumbarton Oaks Research Library and Collection. p. 1, pp. 269-300. 

  35. Yoo, B. R.(1996) Some issues on monumentality in park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3(4): 40-49. 

  36. Young, J. E.(1993) The Texture of Memory: Holocaust Memorials and Meaning.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37. Young, J. E.(1994) The Art of Memory. In James E. Young ed., The Art of Memory: Holocaust Memorials in History. Munich and New York: Prestel-Verlag. pp. 19-38. 

  38. Zamecnik, S.(2005) The Dachau Concentration Camp in the System of the National Socialist Dictatorship, In Comite International de Dachau; Barbara Distel, Dachau Concentration Camp Memorial Site(2005) The Dachau Concentration Camp, 1933 to 1945. Munich: Edition Lipp Verlagsgesellschaft mbH. pp. 17-24. 

  39. http://www.deathcamps.org/occupation/pic/bigchelmnomap.jpg 

  40. http://www.doopedia.co.kr(doopedia)-Drittes Reich. 

  41. http://www.doopedia.co.kr(doopedia)-ghetto. 

  42. http://www.doopedia.co.kr(doopedia)-Janusz Korczak.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