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학농민혁명 기념공원 설계공모에 나타난 메모리얼 설계 경향
A Study on the Design of Memorial in the Design Competition for Donghak Peasant Revolution Memorial Park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3, 2017년, pp.66 - 79  

이진욱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성종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손용훈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념성을 구현하기 위한 형태와 기법들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가운데 지난 2014년 동학농민혁명 기념공원 설계 공모가 진행되었다. 이는 집단의 기억을 강요하던 기념(記念) 사업에 대한 재고의 과정이며, 현재 우리나라에서 계획하고 있는 메모리얼 설계에 대한 동시대 설계가들의 인식을 고찰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소재이다. 본 연구는 동일한 대상지에서 이뤄졌던 동학기념사업들에 대해 시계열적으로 그 형성 배경을 살펴보고, 기존의 문헌 연구 등을 통해 설계공모를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해, 과거 정치적 목적의 수단으로써 조성되던 기념물이 공개공모를 통해 다양한 의견 수렴과 형태를 모색하는 방향으로 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다층적 분석을 통해 마련된 분석의 틀은 일상성, 상호작용 및 자발성, 추상성, 임시성, 장소성, 통합성 그리고 조화성이다. 이를 통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 속에서 기념성을 전달하기 위해 기존의 특수성을 갖는 산재한 기념공간들을 일상적 활동 프로그램과 연계하였다. 둘째, 기념물과의 상호작용을 위하여 직접적인 참여와 감성적인 체험 방법을 사용하였다. 셋째, 추상적 재현을 위해 색상, 수직요소, 군집화, 공원의 틀 조작 등의 기법을 사용하였다. 넷째, 임시성과 변화성을 추구하기 위하여 식물을 이용한 애도의 방식과 물리적 변화가 가능한 건축물과 구조물들을 도입하였다. 다섯째, 대상지를 장소성이 있는 공간으로 만들기 위하여 과거 지형을 복원하고, 현장의 모습을 재현하였다. 여섯째, 기존 기념물들과의 연계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순환동선과 축선 조작 기법을 사용하였다. 일곱째, 주변과의 조화를 위하여 지형에 순응하는 동선과 건물을 배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2014, a Donghak Peasant Revolution Memorial Park design competition was held with various forms and techniques to convey mourning. This is a process of the reconsideration of memorial projects that are used to stimulate the collective memory and it is a meaningful resource for examining the cons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모리얼의 개념은? 메모리얼은 역사상 중요한 인물, 사건 또는 희생자들을 오래도록 기억하고 추모하기 위한 것으로, 공적 영역에서 공동의 기억을 위해 조성되어 왔고(Laura, 1997; Lee, 2001), 많은 경우, 정치적 목적의 수단으로써 만들어져 왔다(Ivy, 2002). 이를 위해 과거의 기념공간들은 공간을 압도하기 위한 스케일과 수 직성을 띠는 기념비가 주로 도입되어 큰 감흥을 이끌어 내는 장치로 사용되었고(Kim, 2004), 동상, 조각, 명판과 같은 기념물들이 주로 도입되어 왔다.
메모리얼 조성이 의도되고 획일적인 추모 방식에서 어떻게 변화하나? 따라서 현대인에게 과거와 같은 의도되고 획일적인 추모 방식은 망자와의 소통을 단절시키고, 공감을 잃어가고 있다(Won, 2007). 이에 1980년대 후반부터 등장하는 메모리얼들은 직설적이며 고정되고, 일방적인 접근방법에서 벗어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기념비와 같은 단일한 기념물보다는 조경설계를 통한 기념공간으로 조성되고 있다(Lee, 2001). 따라서 메모리얼의 용어는 추모를 위한 오브제를 의미하는 것뿐만이 아닌, 망자에 대한 추모의식이 이루어지는 공간 모두를 내포하여 사용되고 있다.
메모리얼의 용어는 추모를 위한 오브제를 의미하는 것뿐만이 아닌 확대된 의미는? 이에 1980년대 후반부터 등장하는 메모리얼들은 직설적이며 고정되고, 일방적인 접근방법에서 벗어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기념비와 같은 단일한 기념물보다는 조경설계를 통한 기념공간으로 조성되고 있다(Lee, 2001). 따라서 메모리얼의 용어는 추모를 위한 오브제를 의미하는 것뿐만이 아닌, 망자에 대한 추모의식이 이루어지는 공간 모두를 내포하여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aik, Y. J.(2008) Embodiment of memory: Memorial design.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9(5): 225-237. 

  2. Forty, A.(2000) Words and Buildings: A Vocabulary of Modern Architecture, New York: Thames & Hudson. 

  3. Furlong, J. L.(2002) Knight and Simon Slocombe. 'They shall grow not old': An analysis of trends in memorialisation based on information held by the UK national inventory of war memorials. Cultural Trends 12(45): 1-42. 

  4. Han, G. S. and H. K. Park(2003) A study on the expressive way of monumentality i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Proceeding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3(2): 295-298. 

  5. Ivy, R.(2002) Memorials, Monuments and Meaning. Architectural Record Vol. 190 Issue 7. 

  6. Joo, H. Y. and Y. H. Jeon(2013) A study on the contemporary memorial architectur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9(3): 163-172. 

  7. Kang, Y. J., J. H. Kim and J. H. Pae(2008) Design strategies for urban parks as urban infrastruc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5): 42-54. 

  8. Khang, H. and Y. S. Chung(2003) A study on the crisis of monumentality.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12(1): 7-24. 

  9. Kim, A. Y.(2005) Bridge park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and its implications on contemporary landscape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3(5): 15-30. 

  10. Kim, A. Y., S. K. Yoo and H. S. Oh(2006a) Landscape design for the national athlete training camp.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3(6): 109-126. 

  11. Kim, A. Y., M. J. Koh and H. S. Oh(2006b) Re-reading Chuncheon G5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from a viewpoint of landscape urbanis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3): 120-138. 

  12. Kim, I. D.(2013) Looking around Gabo Donghak revolution monument in Hwangtohyun and symbolized monuments for Donghak revolution. Journal of the Historical Studies on Korean National Movement 77: 109-142. 

  13. Kim, J. Y(2004) Chi-chi earthquake memorial park, Taiwan: Approach and design proces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5): 129-136. 

  14. Kim, S. Y.(2000) An Exploration on the Analysis of Landscape Architectural Works: In the Case of Youido Park Competition Plans. Master Thesis, University of Seoul, Korea. 

  15. Laura, B.(1997) Monuments. New York: Todtri Production Ltd. 

  16. Lee, K. H.(2007) For the memory and sublimation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rough its monuments. Journal of Human Contents 10: 187-209. 

  17. Lee, S. M. and C. S. Cho(2004) A critical review of the Seoul forest park design competi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6): 15-27. 

  18. Lee, S. S.(2001)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details for memorializ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9(5): 71-83. 

  19. Lee, S. S.(2011) A study on commemoration culture of Vietnam war memorials in Vietna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3): 26-38. 

  20. Lin, M.(2000) Boundaries. New York: Simon & Schuster. 

  21. Miles, M(1997) Art, Space and the City: Public Art and Urban Futures: Psychology Press. 

  22. Moon, E. M.(2008) A study on the modes of representaion of memorial design in present-day.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9(6): 199-207. 

  23. Pae, J. H.(2002) New strategies for contemporary landscape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9(6): 62-71. 

  24. Park, J. H., Y. H. Son, and K. Tsuge(2011)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for the utilization of the military relocation site- The case of the idea competition for the Fukaya communication site in Yokoham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3): 10-25. 

  25. Park, K. H. and J. H. Pae(2008) Design strategies of large park in the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for central open space in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5): 13-15. 

  26. Seo, J. W.(2008) Formation of Design Concept between Korean and Western Designers in the International Urban Ideas Competition,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7. So, J., J. S. Sung, and J. H. Pae(2013) An analysis of processoriented design in the invited entries of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the master plan of the Yongsan Park.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2): 11-26. 

  28. Wasserman, J.(1998) To trace the shifting sands: Community, ritual, and the memorial landscape. Landscape Journal 17(1): 42-61. 

  29. Wasserman, J.(2002) Memory embedded. Landscape Journal 21(1): 190-200. 

  30. Wasserman, J.(2003) Retail or Re-Tell?: The case of the Salem tercentenary memorial. Landscape Journal 22(1): 1-11. 

  31. Wi, J. S.(2001) A Study on Korean Contemporary Park Design Trends.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32. Won, D. Y.(2007) A study on social character and memorial space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commemoration. Local History and Culture 10(1): 261-288. 

  33. Yoo, B. R.(1996) Some issues on mouumentality in park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3(4): 40-49. 

  34. Yoo, H. J.(2011) My Cultural Heritage Exploration Record II, Chang-bi. 

  35. Zoh, K. J. and C. H. Kim(2001) Characteristics of representing traditional gardens in landscape design through analyzing the entry plans of Seoul Park in Pari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8(6): 84-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