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실습교육이 피하주사 간호수행능력,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eaching Method using Standardized Patients on Nursing Competence in Subcutaneous Injecti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0 no.2, 2010년, pp.151 - 160  

엄미란 (목포대학교 간호학과) ,  김현숙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  김은경 (목포대학교 간호학과) ,  성가연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eaching method using Standardized Patients (SPs) on nursing competenc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problem solving ability-focusing on subcutaneous insulin injection. Methods: This research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아직 국내에서 표준화환자를 활용하여 연구되지 않은 간호수행능력 중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투약관련 간호(Sung, Kwon, Hwang, & Kim, 2005)를 선택하여, 그 중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인슐린피하주사 및 교육 상황을 설정하여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교육 후 그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그러므로 본 연구는 아직 국내에서 표준화환자를 활용하여 연구되지 않은 간호수행능력 중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투약관련 간호(Sung, Kwon, Hwang, & Kim, 2005)를 선택하여, 그 중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인슐린피하주사 및 교육 상황을 설정하여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교육 후 그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팀은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실습 교육이 피하주사 간호수행능력,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및 문제해결능력의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 연구팀의 훈련자는 표준화환자를 상대로 학생 역할을 하면서 표준화환자들이 연기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표준화환자들끼리 서로의 연기를 관찰하게 함으로써 표준화환자역할에 대한 시나리오를 수정∙보완하였다. 또한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을 모의 학생으로 선발하여 표준화환자가 학생의 수행능력의 다양성에 대처할 수 있도록 수행을 잘하는 학생과 못하는 학생의 경우를 둘 다 경험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최종 리허설을 하고, 실제 상황과 똑 같아졌는지 점검하는 모의시험(Mock CPX)을 실시하여 표준화하였다.
  • 또한 본 연구는 연구 대상자들의 동의하에 실시되었지만, 거의 대다수의 학생들이 참여하였으므로 대조군에게도 표준화환자를 이용한 실습교육에의 경험을 균등하게 하기 위한 노력으로 연구 종료 후 실험군과 유사하게 다른 실습 종목에서 동료 표준화환자를 이용한 실습교육 기회를 부여하였다.
  • 본 연구는 두 종류의 인슐린 혼합 피하주사를 중심으로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실습교육이 간호대학 2학년 학생의 임상간호수행능력,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실제상황을 실습실에서 재연하여 학생들이 반복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사례중심의 통합적인 실습교육방법을 개발한 것으로 간호학 실습교육의 발전에 의미가 있는 연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학 실습교육의 발전과 이를 통한 학생들의 역량강화를 위해서는 간호교육자들이 교육수혜자의 수준에 맞는 학습목표에 따라 사례 및 학습모듈을 개발하여, 이를 실습교육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수행이 계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 본 연구는 표준화환자를 활용하여 인슐린 피하주사를 시범 보이는 실습교육을 받은 실험군과 모형과 비디오를 활용한 전통적 실습교육을 받은 대조군 사이의 임상간호수행능력,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및 문제해결능력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시차설계를 적용한 유사실험연구(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post-test design)이다. 실험처치가 교육이므로 사전조사로 인해 시험효과(testing effect)를 나타낼 우려가 있는 지식과 관련된 피하주사 간호수행능력의 변수로 인해 사후설계를 디자인하였다.
  • 본 연구는 훈련된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실습교육이 간호대학 학생들의 피하주사 간호수행능력,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시차설계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인슐린 피하주사 실습교육방법은 전통적인 교육방법보다 학생들의 피하주사 관련 간호수행능력,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문제해결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임상현장과 유사한 상황을 시뮬레이션하고 실제 환자와 같이 신체적∙정서적 특성을 그대로 표현하여 연기하도록 훈련된 사람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간호대상자의 문제해결을 해나가는 과정을 경험하도록 하는 교육방법이다(Frejlach & Corcoran, 1971).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 환자로 시나리오에 따라 훈련된 표준화환자 1인이 학생 10명 앞에서 시나리오를 재연하면, 학생들은 대상자에게 필요로 하는 약물준비, 피하주사 방법, 주사관련 무균법, 의사소통 등을 스스로 판단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교육방법을 말한다. 이 교육방법의 절차는 시뮬레이션 교육의 단계에 따라 시나리오 구현과 디브리핑을 하는 방법을 포함하였다.
  •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실습교육이 간호학과 학생들의 피하주사 간호수행능력,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가설 설정

  • 가설 3.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실습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전통적 실습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문제해결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1.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실습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전통적 실습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임상간호수행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2.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실습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전통적 실습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학습방법의 장점은? 북미, 유럽과 아시아 등 전 세계로 확산∙보급된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임상수행평가(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CPX)’ 프로그램은 혁신적 교육평가방법으로 자리잡게 되었다(Lee, 2000). 특히,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학습방법은 학습자가 ‘수동적 관찰자(passive observer)’가 아닌 ‘적극적 참여자(active participant)’가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Wallace, 2007).
훈련된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실습교육이 간호대학 학생들의 피하주사 간호수행능력,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본 결과는? 본 연구는 훈련된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실습교육이 간호대학 학생들의 피하주사 간호수행능력,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시차설계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인슐린 피하주사 실습교육방법은 전통적인 교육방법보다 학생들의 피하주사 관련 간호수행능력,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문제해결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디브리핑(debriefing) 단계에서 분석하는 것은? 이 교육방법은 실제에 근거한 상황학습이므로 이론과 실제의 괴리에서 느끼는 부담과 스트레스를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교육은 시나리오 구현 시 느낀 점이나 적용한 간호과정 및 간호수행에 대해 적합성 여부를 분석하는 디브리핑(debriefing) 단계를 통하여 비판적 사고를 고취시키며, 의사소통 능력 및 임상수행능력과 관련된 지식습득을 향상시킨다. 또 학생들의 실습교육에 대한 만족도 및 자신감 증진, 학습동기 유발 등에 효과가 있다(Kneebone,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lexander, M., & Runciman, P. (2003). ICN Framework of Competencies for the Generalist Nurse. Geneva: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2. Bond, W. F., Deitrick, L. M., Arnold, D. C., Kostenbader, M., Barr, G. C., Kimmel, S. R., et al. (2004). Using simulation to instruct emergency medicine residents in cognition forcing strategies. Academic Medicine, 79, 438-446. 

  3. Bowles, K. (2000). The relationship of critical-thinking skills and clinical judgement skills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39, 373-376. 

  4. Choi, J. Y., Jang, K. S., Choi, S. H., & Hong, M. S. (2008).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usng standardized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83-91. 

  5.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6. Dunn, S. V., & Hansford, B. (1997).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5, 1299-1306. 

  7. Fehring, R. J. (1987). Methods to validate nursing diagnosis. Heart &Lung, 16, 625-629. 

  8. Frejlach, G., & Corcoran, S. (1971). Measuring clinical performance. Nursing Outlook, 19, 270-271. 

  9. Guglielmino, L. M. (1977).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Athens. 

  10. Heppner, P. P., & Peterson, C. H. (1982).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a personal problem-solving inventory.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29, 66-75. 

  11. Hong, Y. P. (2002).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nd its related variab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2. Jeon, S. G. (1995).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rehabilitation of the schizophrenic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Seoul. 

  13. Jung, K. H., Choi, E. H., Bae, J. D., Na, D. Y., Son, I. K., Ko, C. W., et al. (2005). Comparison of professional standardized and amteur standardized patients in OSCE.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17, 97-105. 

  14. Kneebone, R. (2003). Simulation in surgical training: Educational issu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Medical Education, 37, 267-275. 

  15. Ko, J., Yoon, T. Y., & Park, J. (2008). Inter-rater reliability in a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using multiple standardized patients for the same case.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0, 61-72. 

  16. Ko, J. E. (2003). A study is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Bulletin of Dongnam Health College, 21, 97-106. 

  17. Kwon, I. S. (2002). An analysis of research on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 228-235. 

  18. Lee, B. G. (2000). Recent world trend in performance-based assessments and application of the standardized patient program in Korean medic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12, 377-392. 

  19. Oh, W. O. (2002). Factors influencing self-directedness in learning of nursing studne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of Nursing, 32, 684-693. 

  20. Packer, J. L. (1994). Education for clinical practice: An alternative approach.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33, 411-416. 

  21. Patterson, C., Grooks, D., & Lunyk-Child, D. (2002). A new perspective on competencies for self-directed learning.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 25-31. 

  22. Randolph, H. S., Wendy, C. C., Yue, M. H., Rima, M., & Baxter, R. L. (2006). Simulation-based training is superior to problem-based learning for the acquisition of clinical assessment and management skill. Critical Care Medicine, 34, 151-157. 

  23. Sung, Y. H., Kwon, I. G., Hwang, J. W., & Kim, J. Y. (2005). Development of an e-learning program about medication for new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1113-1124. 

  24. Theroux, R., & Pearce, C. (2006). Graduate students' experiences with standardized patients as adjuncts for teaching pelvic examinations. Journal of American Academic Nurse Practice, 18, 429-435. 

  25. Wallace, P. (2007). Coaching standardized patients: For use in the assessment of clinical competence.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26. Yi, Y. J., Lim, N. Y., Lee, E. H., Han, H. J., Kim, J. H., Son, H. M., et al. (2007). Evaluation on the practicum using standardized patients for nursing assessment to articular diseas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4, 137-148. 

  27. Yoo, M. S. (2001). The effectiveness of standardized patient managed instruction for a fundamental nursing cors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7, 94-109. 

  28. Yoo, M. S., & Yoo, I. Y. (2003). Effects of OSCE method on performance of clinical skills of students in fundamentals of nursing co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 228-235. 

  29. Yoo, M. S., Yoo, I. Y., Park, Y. O., & Son, Y. J. (2002). Comparison of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in different instructional methods for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 327-3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