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질의 분류법에 대한 동서의학적 문헌고찰 및 새로운 제안
A Critical Review on the Epilepsy-related Classification Systems Delineated in the Literatures both Western and East Asian Medicine : A Suggestion to Develope a New Classification 원문보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v.14 no.2, 2010년, pp.135 - 148  

손광현 (자연인 한의원 인천점) ,  김문주 (자연인 한의원 홍대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assification of epileptic seizure types and epilepsy described in the literatures of both Western and East Asian medicine, especially based on the two criteria- a theoretical and a practical aspect of the classification systems. Currently, the 198...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나아가 지금까지의 분류법이 실제 임상진료, 특히 1차 진료기관에서의 유용성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고 실제 임상시 사용하기 용이한 분류법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 내원 환자의 간질 발작의 분류법과 증후군에 의한 분류법에 따른 진단과는 상관없이 각각의 환자에게서 신체 대사의 이상 징후가 나타나는가 아닌가에 따라 대사성 간질과 기질적 간질로 분류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 두 가지 측면에서 기존의 동양의학에서 논의된 분류법과 ILAE에서 제안된 분류법의 내용을 비교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나아가 지금까지의 분류법이 실제 임상진료, 특히 1차 진료기관에서의 유용성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고 실제 임상시 사용하기 용이한 분류법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 이러한 분류법에 따른 간질의 치료법과 예후를 간략히 고찰해 보고자 한다. 대사성 간질은 환자의 나이와 상관없이 한방적인 치료법으로 수면 불량, 월경 주기 그리고 장관의 이상과 같은 대사성 징후를 치료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여진다.
  • 25) 즉 내원한 간질 환자의 65% 정도가 분류가 불가능하였다는 것으로, 뇌파검사나 MRI와 같은 검사소견서 없이 한의원이나 한방병원에 내원하는 간질 환자의 경우는 더욱 분류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질 발작의 국제 분류법과 간질 및 간질증후군의 국제 분류법보다 상위 개념의 분류법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첫 번째는 발작의 형태와 뇌파가 일대일로 대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같은 유형의 발작이라도 다른 뇌파 소견을 보일 수 있으며 여러 종류의 다른 간질증후군에도 같은 유형의 발작이 나타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질의 원인을 선천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으로 따로 분리하여 분류하는 것은 간질에 대한 올바른 이해라 볼 수 없는 이유는? 첫 번째는 간질의 원인을 선천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으로 따로 분리하여 분류하는 것은 간질에 대한 올바른 이해라 볼 수 없다. 胎癎을 예로 들면, 태아기의 선천적인 문제로 인한 경우 생후 1년 이내에 간질 발작이 일어나는 경우도 있으나 소아기나 청소년기가 지나야 간질 발작이 일어나는 경우도 흔하다. 또한 양성 롤랜딕 간질, 소아 소발작 간질, 청소년 소발작 간질 및 청소년 근간대 간질의 경우처럼 간질의 종류에 따라서는 간질 발작이 선천적인 요인과 후천적인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현되는 것으로 보고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12)
동양의학에서는 간질을 어떻게 분류하는가? 동양의학에서는 간질의 분류를 병의 원인에 따라 胎癎, 風癎, 驚癎, 食癎, 痰癎, 瘀血癎, 虛癎 등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발작시 나타나는 증상과 발성을 동물에 비유하여 五臟癎, 즉 肝癎, 心癎, 脾癎, 肺癎, 腎癎으로 분류하였다.
간질이 인류역사와 함께 했다고 볼 수 있는 근거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가장 오래된 의학 서적에서 간질에 대한 서술을 찾아 볼 수 있을 만큼 간질은 인류역사와 함께 했다. 중의학을 중심으로 한 동양의학에서는 동양 最古의 원전인 『黃帝內經』에서부터 18세기에 이르기까지 주로 간질의 병인 병리에 대한 논의와 그 치법에 관한 내용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현대 중의학에서도 18세기까지의 병인 병리에 대한 논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이한철, 박은정, 채중원, 김덕곤. 소아간질의 병인병리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1990 : 4(1) : 41-49. 

  2. 相見三郞. 漢方の心身醫學. 大阪:創元社. 昭和51年: 184-198. 

  3. 구병수, 김근우, 주승균 공역. 전간치료영험방. 서울:정담. 2003. 

  4. 조형준, 신동길, 이진용, 김덕곤. 지속적 간질이후에 발생한 일측대뇌반구위축증(Cerebral hemiatropy)이 의심되는 환아 1례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2 : 16(1) :75-80. 

  5. 김윤희, 한재경, 김윤희. 항경련제 복용을 중단한 특발성 간질 환아 치험 1례. 대한한방소아과 학회지. 2004 : 18(2) : 263-271. 

  6. 나원경, 한경훈, 이해자, 박은정. 가미곽향 정기산 투여로 호전된 소아 간질 환자 2례.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4 : 18(1) : 131-138. 

  7. 김윤영, 민상연, 김장현. 수면 중 간질발작을 주소로 하는 증후성 간질 환아 증례 보고.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9 : 23(1) : 85-93. 

  8. 이정호. 뇌졸중 후유증으로 나타나는 간질환자 치험 1례.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2006 :1(1) : 27-33. 

  9. 김덕곤. 소아간질 치험례.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1993 : 7(1) : 143. 

  10. 우영종. 간질 및 간질증후군의 분류:현행ILAE 분류법에 대한 고찰. 대한간질학회지. 199 : 3(2) : 230-236. 

  11. 조홍건. 실용 한방정신의학. 서울:유진문화사. 2002 : 617-619. 

  12. 대한 간질학회. 임상간질학. 서울:이퍼블릭. 2009 : 48-49, 103-106, 211-214, 427-429. 

  13. 김상호. 간질발작의 분류. 대한간질학회지. 1999 : 3(2) : 213-222. 

  14. Gastaut H. Clinical and eletroencephalographic classification of epileptic seizures. Epilepsia. 1970:11:102-113. 

  15. Commission on Classification and Terminology of the International League Against Epilepsy. Proposal for a revised clinical and eletroencephalographic classification of epileptic seizures. Epilepsia. 1981 : 22 :489-501. 

  16. 홍승봉, 이향운. 증상에 따른 간질 발작의 분류. 대한간질학회지. 1999 : 3(2) : 223-229. 

  17. Lders HO, Burgess R, Noachtar S. Expanding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eizures to provide localization information. Neurology. 1993 : 43 : 1650-1655. 

  18. Lders HO, Acharya J, Baumgartner C. Semiological Seizure Classification. Epilepsia. 1998 : 39(9) : 1006-1013. 

  19. Engel J Jr. A proposed diagnostic scheme for people with epileptic seizures and with epilepsy : report of the ILAE Task Force on Classification and Terminology. Epilepsia. 2001 : 42(6) : 796-803. 

  20. Engel J Jr. Report of the ILAE classification core group. Epilepsia. 2006 : 47(9) : 1558-1568 

  21. Commission on Classification and Terminology of the International League Against Epilepsy. Proposal for classification of epilepsy and epileptic syndromes. Epilepsia. 1985 : 26 : 268-278. 

  22. Commission on Classification and Terminology of the International League Against Epilepsy. Proposal for revised classification of epilepsy and epileptic syndromes. Epilepsia. 1989:30:389-399. 

  23. Watanabe K. Recent advances and some problems in the delineation of epileptic syndromes in children. Brain Dev.. 1996 : 18(6) : 423-437. 

  24. Aicardi J. Syndromic classification in the management of childhood epilepsy. J Child Neurol.. 1994:9 Suppl 2 : 14-18. 

  25. Manford M, Hart YM, Sander JW, Shorvon SD. The national general practice study of epilepsy. The syndromic classification of the International League Against Epilepsy applied to epilepsy in a general population. Arch Neurol.. 1992: 49(8) : 801-808. 

  26. 김윤영. Kainic acid 유발 간질 생쥐 모델에서 소부혈 침치료의 해마신경세포 보호효과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8. 

  27. Liu J, Cheng J. Changes of amino acids release in rat's hippocampus during kainic acid induced epilepsy and acupuncture. Acupuncture Research. 1995 : 20(3) : 50-54. 

  28. Jin HB, Li B, Gu J, Cheng JS, Yang R. Electro-acupuncture improves epileptic seizures induced by kainic acid in taurinedepletion rats. Acupuncture Electrotherapy Research. 2005 : 30 : 207-217. 

  29. 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교수 공편저. 본초학. 서울:영림사. 1999 : 489-490.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