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뇨(遺尿)와 빈뇨(頻尿)를 동반한 과민성 방광증후군에 대한 동의보감(東醫寶鑑) 가감지황탕(加減地黃湯)을 이용한 치험 1례
A Case Report : A Clinical Study on the Case of Irritable Bladder Syndrome with Enuresis and Frequent Urination Treated with Gagamzihwang-tang 원문보기

大韓韓醫診斷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Diagnostics, v.14 no.1, 2010년, pp.96 - 100  

최진용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진단학교실) ,  서재호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진단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case series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GagamZihwang-tang for enuresis and frequent urination. Method : We prescribed GagamZihwang-tang and provided acupuncture therapy weekly. Results of before and after therapy were evaluated and scored twice a month.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遺尿의 下焦虛寒 증상을 보이는 환자를 대상으로 한방변증을 통한 加減八味湯 투여 및 침구 치료를 통해 유의한 치료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이와 같이 본 증례는 韓醫學的으로 病因이 腎陽虛衰로 인한 脾胃虛寒으로 변증된 환자에 대해 東醫寶鑑 처방의 加減八味湯 처방 및 침구치료를 병행하여 치료기간중 환자의 소변횟수가 감소하는 호전을 보여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가설 설정

  • 4. 가족력 : 특이사항 없음.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遺尿症이란? 遺尿症이란 小便이 자기도 모르게 나오는 것이다. 膀胱이 조여주지 못하면 遺尿가 된다.
遺尿란? 遺尿는 현대의학에서 3세가 지난 소아나 성인에서 자신이 의식하지 못하고 불수의적으로 소변을 보는 것으로 밤에만 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夜間遺尿(Nocturnal enuresis)와 주간에도 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晝間遺尿(Diurnal enuresis)로 구분된다. 발생빈도를 보면 유뇨는 학령기 아동의 8%에서 한 달에 1회 이상 밤에 小便을 누는 夜間遺尿症이 있으며 그에 비하여 밤낮으로 누는 경우는 훨씬 드물다고 한다.
小便頻數, 耳赤熱, 惡寒, 皮膚痒, 手足冷感 등을 主所로 2009년 10월 23일부터 2010년 2월 25일까지 본 한의원에 외래 치료한 遺尿症환자 1명을 대상으로 東醫寶鑑의 加減八味湯 처방 및 침구치료 등의 한방치료 후 환자의 자각증상 변화 등을 관찰하여 얻은 결론은? 1. 腎膀胱虛寒으로 인한 遺尿症, 口臭는 초진시에 비해 대부분 완화되었다. 2. 脾胃虛寒으로 인한 소화기 증상 또한 대부분 완화되는 호전율을 보였다. 3. 全身 惡寒증상은 별다른 호전을 보이지 않았다. 4. 치료 중 약물에 대한 부작용은 없었고 종결 후에도 바람이나 추위에 경미한 오한증은 있었으나 그 이상의 증상으로 발전하지 않았다. 귀가 붉어지는 증상은 크게 호전되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허준. 대역동의보감. 서울, 동의보감출판사, 2009, 354. 

  2. 홍창의. 소아과학.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8, 37-762. 

  3. 송봉근. 유뇨의 치료에 대한 임상적 연구. 원광한의학저널. 1995; 5(1): 170. 

  4. 황의완, 김지혁 편저. 동의정신과학. 현대의학서적사, 1987, 647. 

  5. 허준. 대역동의보감. 서울, 동의보감출판사, 2009, 286. 

  6. 홍창의. 소아과학.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8, 37-762. 

  7. 송봉근. 유뇨의 치료에 대한 임상적 연구. 원광한의학저널. 1995; 5(1): 175. 

  8. 오한균, 원종훈. 유뇨의 병인과 치법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1987; 2(1): 47-54. 

  9. 오한균, 원종훈. 유뇨의 병인과 치법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1987; 2(1): 47-54. 

  10. 진주표편역. 대역만병회춘. 서울, 법인문화사, 2007, 437-97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