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분위기 및 또래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mily Climate, Peer Support and Self-Esteem on Children's Self-Regulation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1 no.1, 2010년, pp.19 - 33  

정희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 ,  박성연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family climate, peer support and self-esteem on children's self-regul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69 children (M=11.78 year) who completed questionnaires regarding family climate, peer support,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Data were analyzed me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99보다큰 것으로 나타나(이학식․임지훈, 2008), 대안 모형보다는 이론모형이 더 나은 모델임이 판명되었다(<표 3>).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가장 적합한 모형인 이론모형의 모수추정치 분석과 인과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가정분위기, 또래지지, 자아존중감과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이들 변인이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탐색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연구변인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이론모형을 설정하고 초등학교 아동 369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수집한 자료에 대한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연구대상 아동의 아버지의 평균연령은 43세, 어머니는 40세이며, 아버지의 교육수준은 전문대졸업 이상이 약 43%를 차지하였고, 어머니는 고등학교 졸업이 약 44%로 가장 많았다. 부모의 교육수준과 직업, 그리고 아동이지각한 경제수준으로 보아 본 연구 대상 가정은 중류층으로 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조절능력이란 무엇인가? 자기조절능력(Self-regulation)이란 타인과 조화롭게 적응하고, 사회적으로 합의된 규칙이나 질서를 잘 지키고 따르기 위해서 외적인 통제 대신 내면화된 규칙에 따라 자신의 행동이나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을 말한다(송혜영, 2006; Kopp, 1982). 행동적 자기조절능력은 자신의 목표를 위해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조화롭고 융통성있는 방식으로 행동을 통제하는 능력을 말하며, 겉으로 표출되는 행동을 어떻게 조율하느냐에 초점을 둔다(Kochanska, Coy, & Murray, 2002).
자기조절능력이 낮은 아동들은 어떤 어려움을 겪게 되는가? 일반적으로 자기조절능력이 높은 아동들은 사회적 관계에서 적절한 목표와 전략을 사용하며, 자신감과 유능감을 가지고 있어 자신을 신뢰한다(Bronson, 2000). 반면에 자신의 행동이나 정서를 스스로 조절하지 못하여 외현적인 문제행동과 내재화된 문제를 보이는 아동들은 사회생활에서 부적응을 보이거나,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Eisenberg, Fabes, Bernzweing, Karbon, Poulin, & Hanish, 1993). 따라서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대한 이해는 아동의 바람직한 행동발달은 물론, 문제행동이나 부적응을 예방하는 차원에서도 필요하다고 본다.
정서적 자기조절능력이란 무엇인가? 행동적 자기조절능력은 자신의 목표를 위해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조화롭고 융통성있는 방식으로 행동을 통제하는 능력을 말하며, 겉으로 표출되는 행동을 어떻게 조율하느냐에 초점을 둔다(Kochanska, Coy, & Murray, 2002). 반면, 정서적 자기조절능력은 자신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정서경험을 통해 사회상황에 맞게 정서를 조절하거나 표현하는 능력으로 내면적으로 느끼는 정서 뿐 아니라 겉으로 표출되는 정서들을 어떻게 조율하느냐에 초점을 둔다고 할 수 있다 (Thompson, 19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강지흔(2004). 남.여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계수(2007). Amos 7.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 한나래출판사. 

  3. 김선자.조옥귀(2003).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자기존중감 및 행동문제와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3(1), 361-385. 

  4. 김승미(1998). 초등학생과 중학생에서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지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애경(2001). 부모와의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2(3), 271-285. 

  6. 김연희(2005). 부모의 개방적 의사소통과 아동의 행동 문제와의 관계- 자아존중감과 자기 통제력을 매개 변인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영희.이정미(2002). 부모간의 갈등이 아동,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놀이 치료연구, 6(1), 95-114. 

  8. 도금혜(2008). 아버지 관련 변인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7(5), 861-872. 

  9. 박지원(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송혜영(2006). 유아의 정서적, 행동적 자기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안차수(2008). 초등청소년의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이 인터넷 중독과 예방프로그램의 효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8(3), 347-380. 

  12. 어은주.유영주(1995).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1), 145-155. 

  13. 이경님(2001). 아동의 자기통제와 관련변인간의 인과관계- 아동의 사려성, 자아개념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9(2), 97-110. 

  14. 이경님(2003).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소통과 자기통제가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1), 77-91. 

  15. 이영주(2007).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발달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연구 : 아동의 자아개념과 부모,교사, 친구의 관계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완정(2003). 청소년이 주변 연장자로부터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의 구조와 기능 및 자아존중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2), 49-60. 

  17. 이학식.임지훈(2008).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7.0. 법문사 : 경기 

  18. 임연진.나유미(2003). 청소년의 부모-자녀 관계 및 자아존중감과 외로움간의 관계 : 고등학교 1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복지연구, 5(2), 61-69. 

  19. 정기원(2006).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관계 : 남학생과 여학생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3(1), 165-190. 

  20. 정은주(2005). 연령, 인지양식에 따른 유아의 행동적.정서적 자기조절능력에 관한 연구. 영유아교육연구, 8, 241-259. 

  21. 통계청(2007). 사망원인통계연보. 

  22. 하영희 & Edwards(2004). 청소년의 공격성과 관련변인간의 인과관계 : 친사회적행동, 감정이입,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지지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5(2), 121-132. 

  23.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7).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24. 한영숙(2006). 아동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 및 부모의 양육태도와 행동문제간의 관계 연구 :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허정경(2003). 학령기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척도 개발과 관련 변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허정철(2008). 가족기능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0(3), 123-147. 

  27. 홍세희(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19(1), 161-177. 

  28. 홍승표, 이희주(2007). 인터넷중독에 따른 초등학생의 비사회행동 연구. 아동학회지, 29(10), 205-216. 

  29. Bagwell, C., Newcomb, A., & Budowaki, W. (1998). Preadolescent friendship and peer rejection as predictors of adult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9(1), 140-153. 

  30. Barber. B. K., & Erickson, L. D. (2001). Adolescent Social Initiative : Antecedents in the Ecology of Social Connections.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6(4), 326-354. 

  31. Barnes, H. L., & Olson, D. H. (1985). Parental-adolescent communication and circumplex model. Child Development, 56, 438-447. 

  32. Bronson, M. B. (2000). Self-regulation in early child-hood : nature and nurture. The Guilford Press. 

  33. Coie, J. D., Dodge, K. A., & Kupersmidt, J. B. (1990). Peer group behavior and social status. In S. R. Asher & J. D. Coie(Eds.), Peer rejection in child-hoo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Demaray, M. K., & Malecki, C. K. (2002). Critical level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ssociated with student adjustment. School Psychology Quarterly, 17, 213-241. 

  35. DuBois, David L., Burk-Braxton, Carol, Swenson, Lance P., Tevendale, Heather D., Lockerd, Erika M., Moran, & Benjamin L. (2002). Getting by with a little help from self and others :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s resources during early adolescence. Developmental Psychology, 38(5), 822-829. 

  36. Eisenberg, N., Fabes, R. A., Bemzweing, J., Karbon, M., Poulin, R., & Hanish, L. (1993). The eslations of emotionality and regulation to preschoolers' social skills and socipmetric atarus. Child Development, 64, 1418-1438. 

  37. Hart, D., Hofmann, V., Edelstein, W., & Keller, M. (1997). The relation of childhood personality types to adolescent behavior and development : A Longitudinal study of Icelandic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33, 195-205. 

  38. Helen P. (1997). Social Self-Regulation : Exploring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Social Relationships, Academic Self-Regulation, and School Performance. Educational Psychologist, 32(4), 209-220. 

  39. James C. Anderson & David W. Gerbing (1998). Structural Equatind Modeling in Practice :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40. Kochanska, G., Coy, K. C., & Murray, K. T. (2002).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in the first four years of life. Child Development, 72, 1091-1111. 

  41. Kopp, C. B. (1982). Regulation of disstress and negative emotions : A development view. Development Psychology, 25(3), 343-354. 

  42. Little, Cunningham, Shahar & Widaman (2002). To parcel or not to parcel : Exploring the question, weighing the merit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2), 151-173. 

  43. Low, C. M. (2003). Self-regulation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elays : Roles of cognition, temperament and parenting.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h. D. 

  44. McMahon, S. D., & Watts, R. J. (2002). Exploring links with self-worth, aggression, and other psychosocial variables. Ethnic identity in urban African youth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0(4), 411-432. 

  45. Michael D., Duncan C., Howard M., Levent K., & Ralph T. (1999). Family and Peer Correlates of Behavioral Self-Regulation in Boys at Risk for Substance Abuse. Am. J. Drug Alcohol Abuse, 25(2), 219-237. 

  46. Moilanen. K. L. (2005). Parenting and self-regulation in adolescence : Associations with adolescent behavior, University of Nebrasks Lincoln. 

  47. Roberts A., Edward S., Sara P., Daniel C., Allen L., Lawrence A., Valkiria D., & JoAnn H. (2000). Perceived Family and Peer Transactions and Self-Esteem among Urban Early Adolescents.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0, 68-92. 

  48.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 Princeton University Press. 

  49. Ryan, R. M., Stiller, J. D., & Lynch, J. H. (1994). Representations of relationships to teachers, parents, and friends as predictors of academic motivat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4, 226-249. 

  50. Shield, A., & Cicchetti. D. (1998). Reactive agression among maltreated children : The contribution of attent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7, 381-395. 

  51. Thompson, R. A. (1994). Emotion regulation : A theme in search of a definitio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