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문해환경과 교실문해환경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the Home and the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 on Preschool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1 no.2, 2010년, pp.119 - 133  

김길숙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김명순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home and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 affect preschool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The subjects were 213 pairs of children (aged 4-5) and their mothers, and 107 classrooms.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Rating Scale (Park & Kim, 2008), Classro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이야기 이해력의 차이를 살펴보고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관련된 중요한 두 문해환경인 가정문해환경과 교실문해환경이 유아의 이해력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가정과 기관에서의 바람직한 문해환경조성 및 효과적인 가정과 기관의 연계전략을 모색해 볼 수 있으며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관한 중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두 문해환경을 동시에 고려하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이야기 이해력의 차이를 살펴보고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관련된 중요한 두 문해환경인 가정문해환경과 교실문해환경이 유아의 이해력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그러나 교사 혼자서 운영되고 있는 교실에서 자유놀이 활동 시 교사가 유아들과 소집단으로 책읽기 활동을 실시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에 유아에게 전자 동화나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동화 읽기는 교사와 유아가 같이 책을 읽을 수 없는 상황이나 혼자서 책을 읽을 수 없는 유아에게 책에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증진시킬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해준다. 정재후와 김명순(2003)의 연구에서는 유아 혼자서 인쇄 동화를 읽은 집단보다 전자 동화를 접한 집단에서 이야기 이해력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현은자 외(2008)도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지능형 로봇 집단이 멀티미디어 집단보다 이야기 이해력의 점수가 더 높았다.

가설 설정

  •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은 조용한 독립된 공간에서 개별적으로 검사되었다. 가 정문해환경지는 담임 교사를 통하여 대상 가정으로 배부되었다. 세 번째 방문은 가정문해환경지를 회수하기 위해서 이루어졌으며 방문 시 회수되지 않은 설문지는 우편을 통해 회수되었다.
  •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 발달에 있어 생의 초기부터 밀접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문해환경은 가정이다. 많은 연구들은 이러한 가정의 문해환경이 풍부할수록 유아의 문해 발달은 더 촉진된다고 밝히고 있다(Aulls, 2003; Bell, 1999; Brabham, 1996; Britch, 1990; Corcoran & Diane, 1990; Whitehurst & Lonigan, 199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실문해환경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문해환경으로 교실문해환경을 들 수 있다. 최근에 맞벌이 가정의 증가 및 핵가족화로 인해 유아가 교육 및 보육기관에서 보내는 시간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집에서 보내는 시간보다 더 길어지며 기관에 가는 연령이 하향화되면서 교실문해환경은 그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김명순․김길숙․임양미․이유진, 2008; Smith & Dickinson, 2002). 교실문해환경은 유아의 문해 발달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유아가 스스로 문해 자료에 접근하는 것의 용이로운 정도와 문해 자료 및 관련 활동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시간 및 읽기와 쓰기가 교실의 활동과 통합되는 정도라고 정의될 수 있다(Sulzby & Barnhart, 1992).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이야기 이해력의 차이를 살펴보고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관련된 중요한 두 문해환경인 가정문해환경과 교실문해환경이 유아의 이해력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살펴 본 결과와 그 결과를 토대로 논의 한 내용은 무엇인가? 첫째, 연령 및 성에 따른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은 만 5세 유아가 만 4세 유아보다 더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성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Lee와 Kim(2006)의 연구결과에서 이야기 이해력이 유아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 만 4세보다 만 5세가 우수하였으나 성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는 결과와 일치하고 Christian 외(1998)의 연구에서 성에 따른 유아의 언어능력이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결과와도 맥을 같이한다. 또한 유아의 내용이해 능력이 유아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달되었으며 성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는 황윤세(2007)의 연구와도 일치한다. 위와 같이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령에 따른 이야기 이해력에 관한 결과는 많은 연구들에 의해서 입증되고 있다. 한편, 문해환경이 유아의 언어 능력에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들을 고려해 볼 때, 본 연구결과가 단지 생물학적인 차이에 의해서 나타난 결과인지, 문해환경에 따른 영향인지 논의해 볼 필요가 있다. 언어학자들은 유아의 언어 습득을 환경의 영향 또는 생득적으로 언어 습득 기제를 타고났다고 보는 유전적인 입장에서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만 5세 유아가 만 4세보다 이야기 이해력이 더 높게 나타난 결과는 이야기 이해력 발달이 생물학적 발달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았다고 성급한 판단을 내릴 소지가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에서도 거론되었듯이 이야기 이해력은 이야기 자체의 구조적 특성, 이야기에 대한 개념, 이야기 구조에 대한 지식 및 선행 지식의 여부와도 연관이 있다. 즉, 이러한 이야기 구조, 개념 및 선행 지식은 책읽기 경험에 의해 발달될 수 있으며 따라서 책읽기 빈도 및 책읽기 관련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의 성취를 예언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Wells, 1985). 따라서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유아의 연령에 따라 이야기 이해력이 차이를 보인 결과가 생물학적인 발달에 더 영향을 받았는지 혹은 책읽기와 같은 환경적인 측면에 더 영향을 받았는지 밝히기 위해 추후 연구에서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가정문해환경및 교실문해환경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가정에서는 ‘책읽기’, ‘부모의 읽기행동 및 모델링’과 ‘문해학습’을 많이 할수록, 교실에서는 교실문해 환경을 풍부하게 할수록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정에서는 ‘책읽기’관련 활동, ‘부모의 읽기행동 및 모델링’과 ‘문해학습’을 많이 할수록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이 높았고, 교실에서는 문해와 관련된 공간 구성과 자료를 잘 구비해 주고 읽기활동과 쓰기활동을 자주 해 줄수록, 그리고 교실에 대한 물리적 환경 및 전반적인 교실 운영과 구어와 문해 관련 교육과정 간의 통합운영 및 평가가 잘 이루어질수록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가정문해환경과 교실문해환경으로 나누어 논의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이 가정문해환경의 하위 범주와 상관이 유의하게 나온 결과는 가정에서 부모와 함께 한 책읽기 활동 및 빈도가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와 일관된 결과(Brabham, 1996; Corcoran & Diane, 1990; Wells, 1985)이며 부모가 자녀의 읽기 및 쓰기 활동을 지도해주고 늘 책을 찾아 읽는 독서습관을 갖는 경향을 보이는 등 부모의 올바른 독서태도를 함양하도록 만드는 부모의 읽기행동 모델의 역할이 자녀의 언어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윤초희, 2006; 장서연, 2008)와도 맥을 같이한다. 따라서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은 부모와 자녀가 함께 책을 읽는 지속 시간 및 횟수, 유아의 책읽기 활동에 대한 요구 빈도, 성인의 문해활동 모델링, 읽기․쓰기와 관련된 활동 및 교육용 미디어에 대한 노출 빈도 등과 관련됨을 알 수 있다. 둘째, 교실문해환경과 관련하여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은 ‘문해환경’을 풍부하게 해 주고 ‘문해활동’을 많이 하며 ‘전반적 교실환경’이 잘 조성되어 있을수록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이 증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배성연(2007)의 연구에서 교실문해환경의 질이 높을수록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는 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한애향과 안선희(2006)의 연구에서 교실문해환경 수준이 높은 반의 유아가 낮은 반의 유아보다 만 4세의 경우 이야기 이해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결과와도 일관된다. 이러한 결과들은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교실문해환경 측정 도구를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해석해 볼 수 있다. ‘문해환경’은 Morrow(1982)의 연구에서 도서 영역의 물리적 환경을 바람직하게 구성해주자 유아의 문해활동이 증가하였다는 결과에 비춰볼 때 문해와 관련된 공간 구성을 잘 해 주고 자료를 풍부하게 구비해주는 것이 유아의 문해 사용을 바람직하게 높여 문해발달과 높은 상관을 나타내게 된다고 논의되어진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문해환경’을 바람직하게 구성해주는 것이 유아의 문해활동의 빈도를 증가시켜서 이를 통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이 증진될 수 있음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문해환경’에서는 장․단기적으로 교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문해활동의 증거를 볼 수 있는 교사․유아의 쓰기 결과물의 전시 등이 평가된다. 많은 선행 연구들은 단순히 책을 읽는 활동만이 아니라 책과 관련된 상호작용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을 증진시킨다고 밝히고 있다(Dickinson & Smith, 1994; Isbell et al., 2004; Roser & Martinez, 1995). 이러한 결과들은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들과 일관된 결과이다. 따라서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도서환경을 바람직하게 구성해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림책을 읽고 그림책과 관련된 활동들을 진행하며 그러한 결과들을 유아가 볼 수 있도록 전시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문해활동’도 대집단으로 책을 읽어주는 횟수 및 시간, 책의 수, 소집단으로 책을 읽어주는지의 여부, 읽혀진 책의 수, 책을 읽을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고 있는가를 평가한다. 따라서 책읽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밀접한 연관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들에(Corcoran & Diane, 1990; Wells, 1985) 비춰볼 때 교실에서의 ‘문해 활동’ 중 대․소집단의 책읽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송희(2002)의 연구에서 거론된 바와 같이 교실에서 실시되고 있는 책읽기 활동이 대부분 대집단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소집단으로 거의 실시되고 있지 않았다. 소집단으로 책을 읽어주는 활동은 대집단으로 실시되는 것보다 유아의 개별적인 반응을 더 많이 수용할 수 있으며 이야기 이해력과도 상관이 높다(Morrow & Smith, 1990). 그러나 교사 혼자서 운영되고 있는 교실에서 자유놀이 활동 시 교사가 유아들과 소집단으로 책읽기 활동을 실시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에 유아에게 전자 동화나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동화 읽기는 교사와 유아가 같이 책을 읽을 수 없는 상황이나 혼자서 책을 읽을 수 없는 유아에게 책에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증진시킬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해준다. 정재후와 김명순(2003)의 연구에서는 유아 혼자서 인쇄 동화를 읽은 집단보다 전자 동화를 접한 집단에서 이야기 이해력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현은자 외(2008)도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지능형 로봇 집단이 멀티미디어 집단보다 이야기 이해력의 점수가 더 높았다. 따라서 이야기 이해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책읽기 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교사가 유아와 함께 책읽기를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실시하기 어려운 경우 유아가 소집단이나 개별적으로 책읽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시청각적 매체를 활용하거나 시간제교사나 부모자원봉사를 실시하는 등 유아의 책읽기 활동을 촉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전반적 교실환경’과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이 정적인 상관이 있다는 결과도 다음과 같이 해석된다. 즉, ‘전반적 교실환경’은 교실에 대한 물리적 환경 및 전반적인 교실 운영과 구어와 문해 관련 교육과정 간의 통합운영 및 평가를 측정한다. ‘전반적 교실환경’에서도 유아와 교사가 함께 책읽기 활동을 실시하는지에 대한 여부와 책을 읽은 후 토론하는지를 평가하는 문항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책읽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밀접한 관련 변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은 앞에서 거론되었듯이 책읽기와 관련된 유아와 교사와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들에서 책을 읽은 후 토의하기, 이야기 꾸미기 등의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을 증진시킨다는 연구들(황윤세, 2007; Conlon, 1992; Dickinson & Smith, 1994; Isbell et al., 2004; Roser & Martinez, 1995)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 또한 교육과정 간의 통합운영도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은 Newman과 Roskos(1990)의 연구에서 극화놀이 영역에 의미 있는 문해환경을 제공하였을 때 유아의 문해활동이 점점 더 복잡해지는 양상을 보였다는 결과와 강인구와 현은자(1995)의 연구에서 극놀이 영역에 주제의 개입이 유아의 읽기, 쓰기 등 문해행동의 빈도를 증가시켰다는 결과에 의해 지지된다. 즉, 교육과정 간의 통합운영이 유아에게 의미 있는 놀이 활동을 제공함으로써 유아의 문해활동을 촉진시키고 맥락화된 경험 속에서 자연스럽게 문자의 의미를 깨닫고 문해를 습득하도록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여 지며 이러한 과정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을 발달시키는데 밑바탕이 된다고 해석될 수 있다. 셋째, 가정문해환경과 교실문해환경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교실문해환경이 풍부할수록, 가정에서 부모와 유아가 책읽기 활동을 많이 할수록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실에서 책과 관련된 물리적 환경 구성뿐만 아니라 책읽기 활동과 그림책을 읽은 후 토의하기, 극놀이로 표현해보기 등 책읽기 관련 활동의 실시 여부가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 증진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가정에서 유아용 도서 소장정도, 부모와 함께 책을 읽는 빈도 및 시간, 책을 읽은 후의 활동 등의 ‘책읽기’ 관련 활동이 부모가 유아에게 읽는 모습을 보여주는 ‘부모의 읽기행동 및 모델링’과 유아용 학습지의 구독이나 단어 읽기, 쓰기를 가르치는 ‘문해학습’보다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을 증진시키는데 영향을 준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책읽기 활동이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선행연구들과 일관된 결과이다(Brabham, 1996; Isbell et al., 2004; Lee & Kim, 2006). 이러한 결과는 단지 유아와 책읽기만을 실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을 더 효과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책과 관련된 상호작용 활동의 실시 여부가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특히, 가정과 기관 모두에서 일관되게 책읽기와 관련된 문해활동을 자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활동은 유아가 글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을 자세하게 회상하도록 하고 사건의 인과관계를 추리하도록 함으로써 글에 표면적으로 표현되어 있지 않은 함축적인 정보를 끌어낼 수 있는 능력, 즉, 이야기 이해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은 가정과 교실의 문해환경이 모두 풍부하게 제공될 때 높아진다. 특히, 부모가 자녀에게 책을 많이 읽어주고 교실에서의 문해환경 및 활동이 풍부하게 제공되는 것이 이야기 이해력 증진에 중요하다. 따라서 부모들을 대상으로 책읽기 활동과 관련된 부모 교육 프로그램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실문해환경을 질적으로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야기를 이해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야기를 이해한다는 것은 글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을 자세하게 회상해내고 원인과 결과 관계를 파악하며 정보를 분류하고 함축되어 있는 정보를 끌어낼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Morrow, 1985; Stein & Glenn, 1979). 이러한 능력은 직접적이고 형식적인 지도를 통해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아주 어린 시기부터 다양한 문해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연속적으로 발달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강인구 . 현은자(1995). 극놀이 영역의 환경구성 및 교사의 역할이 유아의 문해행동에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16(1), 167-181. 

  2. 김명순(1997). 교실 내 문해환경이 만 4-5세 유아의 책이야기 꾸미기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17(2), 77-95. 

  3. 김명순(1999). 4-5세 아동의 읽기.쓰기 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과 가정문해환경에 대한 연구. 생활과학논집, 13, 120-131. 

  4. 김명순 . 김길숙 . 임양미 . 이유진(2008). 만 3-5세 유아를 위한 교실 내 언어 및 문해환경 평가척도 (ELLCO)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28(6), 27-45. 

  5. 김정화(1996). 극화놀이 영역에서 문식성 자료와 교사의 개입이 유아의 문식성 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6. 김정화 . 이문정(2007). 유아교실의 문식성 환경에 대한 연구. 아동학회지, 28(3), 101-113. 

  7. 김효영 . 이순형(2005). 이야기 구조에 따른 만 2, 3세 유아의 이야기 이해. 아동학회지, 26(1), 15-29. 

  8. 마송희(2002). 소집단 읽어주기 상황에서 연령, 집단 구성, 그리고 반복읽기가 유아의 반응과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2(4), 51-72. 

  9. 박찬화 . 김길숙(2008). 유아를 위한 가정분해환경 명 정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6(9), 87-97. 

  10. 배성연(2007). 어린이집의 교실문해환경과 유아의 언어능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1. 윤초희(2006). 언어영재의 문식성 환경, 독서태도, 지각된 언어능력 및 언어표현선호도가 쓰기수행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7(6), 53-68. 

  12. 장서연(2008). 가정 문해 활동과 아동의 이야기 구성 능력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3. 정재후 . 김명순(2003). 전자동화 및 인쇄동화 유형과 읽기 이해 수준에 따른 아동의 이야기 이해 차이. 아동학회지, 24(5), 15-26. 

  14. 한애향 . 안선희(2006). 유아교육기관의 문해환경 수준에 따른 유아의 문해 능력 차이. 유아교육학논집, 10(4), 279-294. 

  15. 현은자 . 김소연 . 장시경(2008).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8(5), 175-196. 

  16. 황윤세(2007). 내러티브 발달 : 유아의 이야기 내용이해 및 꾸미기 능력간의 관계 분석. 아동학회지, 28(2), 39-53. 

  17. Aulls, M. W. (2003). The differential influence of the home environment on the reading ability of children entering grade one. Reading Improvement, 40(4), 164-178. 

  18. Bell, M. A. (1999). Shared book reading in kindergarten : Nature and outcom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uelph, Canada. 

  19. Brabham, E. G. (1996). Effects of teachers' reading aloud styles on vocabulary acquisition and comprehension of primary studen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Florida State. 

  20. Britch, B. M. (1990). Walking around inside stories : How children make meaning from narratives discour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oledo, OH. 

  21. Bryant, D. M., Burchinal, M., Lau, L. B., & Sparling, J. J. (1994). Family and classroom correlates of Head Start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9, 289-310. 

  22. Burgess, S. R., Hecht, S. A., & Lonigan, C. J. (2002). Relations of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to the development of reading-related abilities one-year longitudinal study. Reading Research Quarterly, 37(4), 408-426. 

  23. Christian, K., Morrison, F. J., & Bryant, F. B. (1998). Prediction kindergarten academic skills : Interactions among child care, maternal education, and family literacy environment.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3(3), 501-521. 

  24. Cochran-Smith, M. (1984). The making of a reader. Norwood, NJ : Ablex. 

  25. Conlon, A. (1992). Giving Mrs. Jones a hand : Making group storytime more pleasurable and meaningful for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 47(3), 14-18. 

  26. Corcoran, N., & Diane, E. (1990). The effects of four approaches to group storybook reading in kindergarten on story comprehension, story structure knowledge, and concepts about pri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27. DeBeryshe, B. D. (1993). Joint picture-book reading correlations of early oral language skill. Journal of Child Language, 20, 455-461. 

  28. Dickinson, D. K., & Smith, M. W. (1994). Long-term effects of preschool teachers book readings on low-income children's vocabulary and story comprehension. Reading Research Quarterly, 29, 105-122. 

  29. Dickinson, D. K., & Snow, C. E. (1987). Interrelationships among prereading and oral-language skills in kindergarten from two social class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 1-25. 

  30. Foy, J. G., & Mann, V. (2003).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phonological awareness in preschool children : Differential effects for rhyme and phoneme awarness. Applied Psycholinguistics, 24, 59-88. 

  31. Isbell, R., Sobol, J., Lindauer, L., & Lowrance, A. (2004). The effects of storytelling reading on the oral language complexity and Story comprehension of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2(3), 157-163. 

  32. Lee, K. Y., & Kim, M. S. (2006). Mother-child interactions in picture-book reading and children's language ability among low-income. Journal of ARAHE, 13(1), 39-49. 

  33. Leslie, N. (1993). A developmental-interactive approach to reading assessment. Reading and Writing Quarterly, 90, 5-30. 

  34. McGee, L. M., & Richgels, D. J. (2000). 영유아의 문해 발달 및 교육. 김명순.신유림(공역). 서울 : 학지사(1996년 원저 발간). 

  35. Morrow, L. M. (1982). Relationships between literature programs, library corner design, and children's use of literatur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75(6), 339-344. 

  36. Morrow, L. M. (1985). Retelling stories : A strategy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comprehension, concept of story structure, and oral language complexity.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85(5), 647-661. 

  37. Morrow, L. M. (1990). Preparing the classroom environment to promote literacy during pla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5, 537-554. 

  38. Morrow, L. M., & Smith, J. K. (1990). The effects of group size on interactive storybook reading. Reading Research Quarterly, 25, 213-231. 

  39. Neuman, S. B. (2004). The effect of print-rich classroom environment on early literacy growth. The Reading Teacher, 58(1), 89-91. 

  40. Neuman, S. B., & Roskos, K. (1990). Play, print and purpose : Enriching play environments for literacy development. The Reading Teacher, 44(3), 214-221. 

  41. Roser, N. L., & Martinez, M. (1995). Roles adults play in preschooler's response to literature. Language Arts, 62, 485-490. 

  42. Scarborought, H. S. & Dobrich, W. (1994). On the efficacy of reading to preschoolers. Developmental Review, 14, 245-302. 

  43. Smith, M. W., & Dickinson, D. K. (2002). User's guide to the early language & literacy classroom observation toolkit research edition. Baltimore, MD : Brookes. 

  44. Stein, N. L., & Glenn, C. G. (1979). An analysis of story comprehensio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R. O. Freedle (Ed.), New directions in discourse processing (2nd ed.) (pp.53-120). Norwood, NJ : Ablex, 

  45. Sulzby, E., & Barnhart, J. (1992). The development of academic competence : All our children emerge as writers and readers. In J. Irwin & M. Doyle (Eds.), Reading/writing connection : Learning from research (pp.120-143). Newark, DE :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46. Teale, W. H., & Sulzby, E. (1986). "Emergent literacy as a perspective for examining how young children become writer and readers". In W. H. Teale & E. Sulzby (Eds.), Emergent literacy : Writing and reading (pp.vii-xxv). Norwood, NJ : Ablex. 

  47. Wells, G. (1985). Language development in the preschool years. New York, NY : Cambridge University Press. 

  48. Weigel, D. J., Martin, S. S., & Bennett, K. K. (2005). Ecological influences of the home and the child-care center on preschool-age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 Reading Research Quarterly, 40(2), 204-233. 

  49. Whitehurst, G. J., & Lonigan, C. J. (1998). Child development and emergent literacy. Child Development, 69, 848-872. 

  50. Yvetta, G., & Barbara, S. (1986). An investigation of imposed-induced imagery methods on kindergarten children's recall of prose content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s No. ED 27897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