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출현적 문해 발달과 가정문해환경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mergent Literacy Development and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4 no.1, 2013년, pp.1 - 20  

김길숙 ,  박찬화 (한국무역보험공사 Kids-sure 어린이집)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mergent literacy development of children and the effects of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on it. 861 pairs each-consisting of a mother and a child aged from three to six years old were asked to complete the early literacy parent questionnaire (Boudreau, 2005) and the home 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앞에서 언급된 출현적 문해에 관한 구성요소적 관점, 유아 및 환경적 영향의 관점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반영하여 연구설계를 하였다. 구성요소적 관점에서 출현적 문해의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유아 및 환경적 관점에서 유아의 성과 연령에 따른 출현적 문해 발달의 차이와 가정문해환경의 영향을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동안 관심을 크게 받지 못했던 출현적 문해 개념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게 되는 계기를 제공하고 출현적 문해 발달을 위한 가정문해환경의 여러 측면을 환기시킴으로써 다문화 가정이나 저소득 가정의 조기 문해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일반적으로 출현적 문해, 초기 문해와 관례적 문해 간에 분명히 정해진 시작 지점과 종료점이 구분되어 있지 않으나 유아기는 출현적 문해단계로 유아들이 다양한 출현적 문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기간이다. 다음으로 출현적 문해발달과 중요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가정문해환경의 여러 측면이 출현적 문해 발달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만 3∼6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출현적 문해 기술의 다양한 영역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만 3~6세 유아를 대상으로 성과 연령에 따라 유아의 출현적 문해 발달을 부모의 보고에 의해 살펴보고 출현적 문해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문해환경의 영향력을 규명하였다.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국내 유아의 출현적 문해능력을 살펴보고 출현적 문해능력의 각 하위범주를 예측하는 가정문해환경의 요소들을 제시하여 유아의 출현적 문해 발달을 증진시키는 방안모색에 일조를 한 점에 그 의의를 둔다.

가설 설정

  • 출현적 문해에 대한 관점은 발달적 관점, 구성요소적 관점, 유아와 환경의 영향에 관한 관점으로 변화되어 왔다(Rhyner, Haebig, & West, 2009). 발달적 관점은 가장 초기의 접근법으로 인쇄된 활자와 의미간의 관련성에 대한 이해가 먼저 이루어진 다음 활자의 형태에 대한 이해를 한다는 것이 기본 가정이다. 이 관점의 대표적인 학자인 Goodman(1986)은 출현적 문해를 ‘문해의 뿌리(root of literacy)’로 지칭하고 출현적 문해 발달에 필요한 유아의 지식과 기술을 5가지 영역에서 설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asik과 Hendrickson(2004)에서의 유아의 특성은 무엇인가? 부모의 특성은 문화와 인종, 부모신념, 사회경제적 지위 등을 의미한다. 유아의 특성은 언어유창성, 인지능력, 발달적 성취, 동기, 주의력과 건강조건 뿐 아니라 문해 관련 활동에서 유아의 참여와 사회적 상호작용의 수준을 말한다. 가정문해환경은 부모와 유아간의 책 공유하기, 부모가 유아와 함께 소리 내어 읽기, 유아에게 인쇄물 자료 제공하기와 문해 활동에 대한 부모의 긍정적 태도가 포함된다.
유아기에 출현적 문해 기술을 제대로 습득하지 못하면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유아기에는 관례적 읽기와 쓰기를 위해 필수적인 기술, 지식과 태도인 출현적 문해 기술이 발달하는데(Sulzby, 1989; Teal & Sulzby, 1986) 이 시기에 이러한 기술을 습득한 유아는 이후 학령기에 글을 잘 읽게 되며 학업성취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여준다. 반면에 유아기에 출현적 문해 기술을 제대로 습득하지 못하면 학령기까지 읽기와 쓰기에서 지속적으로 어려움을 겪게 된다(Adams, 1990; Sénéchal & LeFevre, 2002; Storch & Whitehurst, 2002; Whitehurst et al., 1999).
형식적 읽기 단계 이전의 유아를 위한 적절한 문해환경을 형성하여 많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실천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Goodman과 Goodman(1979)은 유아가 생활하는 사회, 문화적 환경 속에서 자연스럽게 글자와 글을 인식하고 그 기능과 구조나 형태, 관례 등을 습득하게 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형식적 읽기 단계 이전의 유아를 위한 적절한 문해환경을 형성하여 많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다(Whitehurst & Lognigan,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Adams, M. (1990). Beginning to read : Thinking and learning about print. Cambridge, MA : MIT Press. 

  2. Ahn, S., Kim, M., & Kim, Y. (2009). Sex, age and its effects on phonological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11(3), 1-17. 

  3. Aulis, M. W., & Sollars, V. (2003). The differential influence of the home environment on the reading ability of children entering grade one. Reading Improvement, 40(4), 164-177. 

  4. Baker, L., & Scher, D. (2002). Beginning reader's motivation for reading in relation to parental beliefs and home reading experiences, Reading Psychology, 23(4), 239-269. 

  5. Baker, L., Sonnenschein, S., Serpell, R., & Scher, D. (1996). Early literacy at home : Children's experiences and parents' perspectives. The Reading Teachers, 50(1), 70-72. 

  6. Barnett, W. S. (1995). Long-term effects of early childhood programs on cognitive and school outcomes. The Future of Children, 5(3), 25-50. 

  7. Boudreau, D. (2005). Use of a parent questionnaire in emergent and early literacy assessment of preschool children.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 in Schools, 36, 33-47. 

  8. Britto, P. R. (2001). Family literacy environments and young children's emerging literacy skills. Reading Research Quarterly, 36(4), 346-347. 

  9. Burman, D. D., Bitan, T., & Booth, J. R. (2008). Sex differences in neural processing of language among children. Neuropsychologia, 46(5), 1349-1362. 

  10. Bus, A. G., Van IJzendoorn, M. H., & Pellegrini, A. D. (1995). Joint book reading makes for success in learning to read : A meta-analysis on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literacy.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5(1), 1-21. 

  11. Choi, E., & Lee, J. (2010). The effects of early literacy skills on young children's word reading : Analysis based on children's age and their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4(5), 235-260. 

  12. Clay, M. M. (1966). Emergent reading behaviou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ukland, New Zealand. 

  13. Clay, M. M. (1991). Becoming literate : The construction of inner control. Portsmouth, NH : Heinemann Educational Books. 

  14. DeBaryshe, B. D. (1995). Maternal belief systems : Linchpin in the home reading proces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6, 1-20. 

  15. DeJong, P. F., & Leseman, P. P. M. (2001). Lasting effects of home literacy on reading achievement in school.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9, 389-414. 

  16. Dickinson, D. K., & DeTemple, J. (1998). Putting parents in the picture : Maternal reports of preschoolers' literacy as a predictor of early reading.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3(2), 241-261. 

  17. Drinkwater, L. C., & Martin, F. (2003, 8). Sex differences in phonological awareness in beginning readers. Supplement of Australian Journal of Psychology, 55, p. 78. 

  18. Edyburn, D. L. (2002). Born digital : Technology in life of students starting kindergarten, high school, and college.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Practice, 4(4), 48. 

  19. Fernandez-Fain, S., & Baker, L. (1997). Rhyme and alliteration sensitivity and relevant experiences in preschoolers from diverse backgrounds, Journal of Literacy Research, 29, 433-459. 

  20. Fields, M. V., & Spangler, K. L. (2000). Let's begin reading right : A developmental approach to emergent literacy. Columbus, OH : Merrill. 

  21. Foster, M. A., Lambert, R., Abbott-Shim, M., McCarty, F., & Franze, S. (2005). A model of home learning environment and social risk factors in relation to children's emergent literacy and social outcom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0, 13-36. 

  22. Foy, J. G., & Mann, V.(2003).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phonological awareness in preschool children : Differential effects for rhyme and phoneme awareness. Applied Psycholinguistics, 24, 59-88. 

  23. Goodman, K. S., & Goodman, Y. M. (1979). Learning to read is natural. In L. B. Resnick & P. Weaver (Eds.), Theory and practice of early reading. Hillsdale, NJ : Erlbaum 

  24. Goodman, Y. M. (1986). Children coming to know literacy. In W. H. Teal & E. Sulzby (Eds.), Emergent literacy : Writing and reading. Norwood, NJ : Ablex. 

  25. Gunn, B. K., Simmons, D. C., & Kame'enui, E. J. (1995). Emergent literacy : A synthesis of the research. [Electronic version]. Eugene, OR : The National Center to Improve the Tools of Educators. 

  26. Hoff, E., & Naigles, L. (2002). How children use input to acquire a lexicon. Child Development, 73(2), 418-433. 

  27. Huttenlocher, J., Haight, W., Bryk, A., Seltzer, M., & Lyons, T. (1991). Early vocabulary growth : Relation to language input and gender. Developmental Psychology, 27, 236-248. 

  28. Jo, H. S., Kim, S. O., & Jeong, J. H. (2006). The effects of children's phon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ability on the writing ability : A short-term longitudinal approach,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9(4), 137-155. 

  29. Justice, L. M. (2006). Emergent literacy : Development, domains, and intervention approaches. In L. M. Justice (Ed.), Clinical approaches to emergent literacy intervention. San Diego : Plural. 

  30. Kim, S. (2004). The relationships between print concepts and language ability in 4-to 6 year old Korean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31. Lee, C. (1995). Searching for effective teaching approaches to improve literacy of young childre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5(2), 135-152. 

  32. Lee, C. (2004). Language arts for young children. Seoul : Hakjisa 

  33. McGee, L. M., Richgels, D. J. (1996). Literacy's beginnings : Supporting young readers & writers. Boston : Allyn & Bacon. 

  34. Murray, B. A., Stahl, S. A., & Ivey, M. G. (1996). Developing phoneme awareness through alphabet books. Reading and Writing, 8, 307-322 

  35. Neuman, S. B., & Roskos, K. (1993). Language and literacy in the early years : An integrated approach. Fort Worth, TX : Harcourt, Brace, Jovanovich. 

  36. Newswire (2009, February 24). Best reading instruction through the voice of the parents. Newswire. Retrieved October 27, 2012, from http://www.newswire.co.kr/newsRead.php?no389288 

  37. Park, C. H., & Kim, G. S. (2008).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rating scal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6(9), 87-97. 

  38. Pellegrini, A. D., Brody, G. H., & Sigel, I. E. (1985). Parent's book-reading habits with their childre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7, 332-340. 

  39. Raz, I. S., & Bryant, P. (1990). Social background, phonological awareness and children's reading.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8, 209-225. 

  40. Reese, E. (1995). Predicting children's literacy from mother-child conversations. Cognitive Development, 10, 381-405. 

  41. Rhyner, P. M., Haebig, E. K., & West, K. M. (2009). Understanding frameworks for the emergent literacy stage. In P. E. Rhyner (Ed.), Emergent literacy and language development : Promoting learning in early childhood. New York : The Guilford Press. 

  42. Roberts, J., Jurgens, J., & Burchinal, M. (2005). The role of home literacy practices in preschool children's language and emergent literacy skill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8, 345-359. 

  43. Senechal, M., LeFevre, J. (2002). Parental involvement in development of children's reading : A five-year longitudinal study. Child Development, 73(2), 445-461. 

  44. Senechal, M., LeFevre, J., Thomas, E. M., & Daley, K.(1998). Differential effects of home literacy experiences on the development of oral and written language. Reading Research Quarterly, 33(1), 96-116. 

  45. Snow, C. E. (1983). Literacy and language : Relationships during the preschool years. Harvard Educational Review, 53, 165-189. 

  46. Son, S. H. (2012). Children's reading ability of environmental print : Development of the scale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children's age and parents' literacy interaction typ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47. Storch, S. A., & Whitehurst, G. J. (2002). Oral language and code-related precursors to reading : Evidence from a longitudinal structural model. Developmental Psychology, 38, 934-947. 

  48. Sulzby, E. (1986). Writing and reading : Signs of oral and written language organization in the young child. In W. H. Teale & E. Sulzby (Eds.), Emergent literacy : Reading and writing. Norwood, NJ : Abex. 

  49. Sulzby, E. (1989). Assesment of writing and of children's language while writing. In Morrow & J. Smith (Eds.), The role of assessment and measurement in early literacy instruction.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50. Teale, W. H. (1986). Home background and young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 In W. H. Teal & E. Sulzby (Eds.), Emergent literacy : Writing and reading. Norwood, NJ : Ablex. 

  51. Teale. W. H., & Sulzby, E. (1986). Emergent literacy as a perspective for examining how young children become writers and readers. In W. H. Teal & E. Sulzby (Eds.), Emergent literacy : Writing and reading. Norwood, NJ : Ablex. 

  52. Van Kleeck, A. (1998). Preliteracy domains and stages : Laying the foundations for beginning reading. Journal of Children's Communication Development, 20, 33-51. 

  53. Wasik, B. H., & Hendrickson, J. S. (2004). Family literacy practices. In C. A. Stones, E. R. Silliman, B. J. Ehren, & K. Apel (Eds.), Handbook of language and literacy : Development and disorders. New York : Guilford Press. 

  54. Weigel, D. J., Martins. S., & Bennett, K. K. (2005). Ecological influences of the home and the child-care center on preschool-age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 Reading Research Quarterly, 40(2), 204-233. 

  55. Whitehurst, G. J., & Lognigan, C. J. (1998). Child development and emergent literacy. Child Development, 69(3), 848-872. 

  56. Whitehurst, G. J., Zevenbergen, A. A., Crone, D. A., Schultz, M. D., Velting, O. N., & Fishcel, J. E. (1999). Outcomes of an emergent literacy intervention from Head Start through second grad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2), 261-272. 

  57. Yoon, H. (1997). A study on the Hangul reading develop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usan University, Busan, Kore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