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적 유능성에 형제유무와 정서지능이 미치는 영향 :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The Influences of Sibling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Social Competence : Conflict Solving Strategies as Mediator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1 no.3, 2010년, pp.199 - 214  

김윤희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강민주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iblings, emotional intelligence (E.I.), and conflict solving strategies (integrating-compromising strategy/ dominating strategy)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s were 421 6th graders (231 boys, 190 girls) in Seoul. The children filled out questionna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른 각 변인들의 차이와 함께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형제유무와 정서지능이 미치는 영향에 있어 갈등 해결전략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검증하고,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변인을 규명함에 따라 아동의 건전하고 전인적인 발달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와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아동기 후반에 빈번히 발생하는 갈등에서 사용하는 해결전략이 형제유무 및 정서지능과 사회적 유능성을 부분적으로 매개한다는 것을 경로를 탐색함으로써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발달하는 경로에 대한 이해를 보다 넓혔다. 또한, 아동의 정서와 사회적 능력 사이에 실제 갈등상황에서 사용하는 해결전략에 따른 관계의 방향성을 알아보았으며, 이러한 요소를 아동의 성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학령기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을 체계적이고 포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아동의 형제유무가 갈등해결전략을 통해 사회적 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형제유무는 절충 및 협력전략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형제유무, 정서지능, 갈등해결전략, 그리고 사회적 유능성의 일반적 경향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각 변인들이 사회적 유능성에 어떠한 경로를 통해 영향을 미치는지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확인하였다.
  • 또한, 본 연구와 같은 척도로 초등학교 5학년의 사회적 유능성을 측정한 김지형과 박경자 (2010)은 여아가 남아보다 좌절에 대한 인내심이 높고 원만하다는 결과를 보인 것에 반해,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다는 연구(송지혜황혜신,2009)도 나타나 일관되지 않는 결과를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성별에 따른 연구변인들의 차이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러한 점에서 외동아는 형제가 있는 아동에 비해 친구와의 갈등에 있어 지배전략을 통해 해결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박미진김광웅, 2002). 또한, 아동의 정서지능도 갈등해결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가정된다. Lemerise와 Arsenio(2000)에 따르면, 아동은 갈등상황에 직면하면 상대방의 정서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고, 이를 통해 인지과정에서 행동의 방향을 제시한다고 주장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 유능성은 어떻게 정의할 수 있나? 이는 또래가 아동에게 일시적인 상호작용의 대상을 뛰어 넘어 바람직한 사회 구성원이 되는 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중요한 사회적 관계라는 것을 시사한다. 이처럼 대인과의 바람직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고 관계를 유지하는 능력, 개인의 사회적 목표를 효과적으로 성취하는 능력을 통합적으로 사회적 유능성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Waters & Sroufe, 1983).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사회적 유능성이 잘 발달할수록 또래와의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며(Howes, 1987), 또래 사이에 잘 수용되고 책임감을 발달시키기 때문에 사회적 목표를 보다 유능하게 획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Yeates & Selman, 1989).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주는 개인 내적 요인 중 아동이 미리 사회적 경험을 하도록 돕는 매우 중요한 변인으로 보고되는 것은?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주는 개인 내적 요인 중 형제유무는 아동이 미리 사회적 경험을 하도록 돕는 매우 중요한 변인으로 보고되어왔다. 이에 대해 Dunn(1983)은 아동기의 형제간 상호작용은 또래관계와 비슷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형제와의 관계적 경험을 기반으로 대인관계 형성에 대한 인지적 정서적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고, 이는 곧 사회적 능력과 밀접하게 관련된다고 강조하였다.
정서지능을 정의하면? 이처럼 사회적 관계 및 성공적인 삶을 위해 필요한 요소로써 정서적 측면이 강조됨에 따라 Salovey와 Mayer(1990)는 정서적 능력의 하위요소들을 통합적으로 함축하고 있는 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다. 이를 정의하면, 정서를 인식, 표현, 활용, 그리고 조절하는 능력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정서지능은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고려한 원만한 상호작용을 돕기 때문에 경험적 연구에서도 건설적인 사회화를 위한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고 있다(Mavroveli, Petrides, Rieffe, & Backer,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김지형.박경자(2010). 아동의 또래 인정욕구가 우울과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아동학회지, 31(1), 83-99. 

  2. 박미진.김광웅(2002). 형제의 지위변인 및 형제관계와 아동의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과의 관계. 아동연구, 15(2). 

  3. 배병렬(2009). Amos 7에 의한 구조방정식모델링 : 원리와 실제. 서울 : 도서출판 청람. 

  4. 배선영.이은해(2000). 아동의 친구관계의 질과 갈등해결전략과의 관계. 연세생활과학논집, 15, 80-88. 

  5. 송나리.박성연(1993). 외동이의 사회적 능력 및 인지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14(1), 91-106. 

  6. 송지혜.황혜신(2009). 아동의 또래친밀도에 따른 정서조절전략과 사회적 능력. 한국생활과학지, 18(1), 29-39. 

  7. 심혜숙.왕정희(2001).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 및 대인문제해결력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13(1), 163-175. 

  8. 우수경(2008). 유아의 성, 기질, 정서능력 및 사회적 능력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259-280. 

  9. 이민영.김광웅.조유진(2006). 아동이 지각한 부모 행동통제특성과 정서지능 및 친구 간 갈등해결 전략. 아동학회지, 27(6), 149-175. 

  10. 이은해.고윤주.오원정(2000). 청소년기 친구에 대한 만족감과 친구의 지원 및 갈등해결.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13(39), 105-121. 

  11. 이주리(2002). 아동의 정서지능과 관련된 변인들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3(3), 65-78. 

  12. 이현정.조성연(2002). 형제 자매관계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능력. 아동학회지, 23(3), 139-148. 

  13. 장미선.문혁준(2006). 아동의 정서지능에 관련된 생태학적 변인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4), 11-21. 

  14. 전정미.유미숙(2006). 어머니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아동의 정서지능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7(3), 225-240. 

  15. 정옥분(2006). 사회정서발달. 학지사. 

  16. 정현희(2002). 한국판 교사용-아동평정척도(T-CRS)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심리학회 : 발달, 15(2), 73-88. 

  17. 통계청(2009). 2008년 출생통계. http : //www.index.go.kr에서 2009년 10월 15일 인출. 

  18. 하지원(2004). 아동이 지각한 가족관계 및 정서조절능력이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9. 홍선표(2008).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과 정서지능이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 Dunn, J. (1983). Sibling relationships in early childhood. Child Development, 54, 787-811. 

  21. Fassinger, R. E. (1987). Us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Journal Counseling Psychology, 34(4), 425-436. 

  22. Fonzi, S., Schneider, B. H., Tani, F., & Tomada, G. (1997). Predicting children's friendship status from their dyadic interaction in structured situations of potential conflict. Child Development, 68, 496-506. 

  23. Gini, G. (2006). Social cognition and moral cognition in bullying : What's wrong? Aggressive Behavior, 32(6), 528-539. 

  24.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 Bantom Books. 

  25. Harter, S., & Buddin, B. (1987).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simultaneity of two emotions : A five stage developmental sequences. Development Psychology, 23, 388-399. 

  26. Hartup, W. W. (1989). Social relationships and their development significance. American Psychologist, 44, 120-126. 

  27. Hartup, W. W., French, D. C., Laurens, B., Johnston, M. K., & Ogawa, J. R. (1993). Conflict and friendship relations in middle childhood : behavior in a closed-field situation. Child Development, 64(2), 445-454. 

  28. Howes, C. (1987). Social competence with peers in young children : developmental sequences. Developmental Review, 7, 252-272. 

  29. Jiao, S., Ji, G., & Jing, Q. (1986). Comparative study of behavior qualities of only children and sibli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57(2), 357-361. 

  30. Keltikangas-Jarvinen, L. (2001). Aggressive behavior and social problem-solving strategies : a review of the finding of a seven-year follow-up from childhood to late adolescence. Criminal Behavior and Mental Health, 11, 236-250. 

  31. Laursen, B., & Collins, W. A. (1994). Interpersonal conflict during adolescence. Psychological Bulletin, 115(2), 197-209. 

  32. Lemerise, E., & Arsenio, W. (2000). An integrated model of emotion processes and cognition i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Child Development, 71, 107-118. 

  33. Mavroveli, S., Petrides, K. V., Rieffe, C., & Backer, F. (2007).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eer-rated social competence in adolescence. Journal of Development Psychology, 25, 263-275. 

  34. Mayer, J. D., & Salovey, P. (1997).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P. Salovey & D. Sluyter (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educators (pp.3-31). New York : Basic Books. 

  35. Pettit, G. S., Dodge, K. A, & Brown, M. M. (1988). Early family experience, social problem solving pattern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59, 107-120. 

  36. Piaget, J. (1964). Six Psychological Studies. New York : Vintage. 

  37. Rabinowitz, F. E., & Cochran, S. V. (1994). Man alive : A primer of men's issues : Who am I? Everyman in every man. Pacific Grove, CA : Brooks/ Cole. 

  38. Rose-Krasnor, L. (1997). The nature of social competence : A theoretical review. Social Development, 6, 111-135. 

  39.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40. Shaffer, D. R. (2005).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5th ed.). Belmont, CA : Wadsworth/Thompson Learning. 

  41. Shure, M. B., & Spivack, G. T.(1972). Means-ends thinking, adjustment and social class among elementary school aged childre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8(3), 348-353. 

  42. Sutton. J., Smith. P. K., & Swettenham J. (1999). Social cognition and bullying : Social inadequacy or skilled manipulatio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7(3), 435-450. 

  43. Waters, E., & Sroufe, L. A. (1983). Social competence as a developmental construct.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3, 79-97. 

  44. Yeates, K. O., & Selman, R. L. (1989). Social competence in the schools : Toward an integrative developmental model for intervention. Developmental Review, 9, 64-1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