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우울 및 동료교사/원장의 정서적 지지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정서적 지지의 주효과와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Colleagues/supervisor's Emotional Support Levels and Burnout Experienced by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1 no.4, 2010년, pp.1 - 14  

민하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colleagues/ supervisor's emotional support and burnout experienced by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The subjects were 195 teachers who worked in kindergartens or childcare centers in Daegu and Gyeo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구경북지역 유아교육기관 교사 195명의 직무소진에 미치는 교사 개인내적 변인 및 근무환경적 변인을 우울과 동료교사 및 원장으로부터의 정서적 지지 측면에서 접근한 이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소진에 대한 우울의 영향을 파악하면서, 동료 및 원장의 정서적 지지가 교사의 직무소진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주효과를 미치는지 또는 완충효과를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논의 및 결론을 도출하였다.
  •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본다면 영유아 보육 및 교육현장에서 근무하는 교사의 직무소진을 유발하거나 증가시키는 요인을 탐색해 이를 사전에 조정하거나 중재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유아교육기관의 보육과 교육의 질을 확보하는데 기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개인내적 측면과 근무환경적 측면에서 찾아보고 이들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탐색해 보고자 한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장내 대표적 사회적 관계망이라 할 수있는 동료교사와 원장1)(안선희·김지은, 2007;황혜신, 2008)를 중심으로 동료교사와 원장이 제공하는 정서적 지지가 교사 개인의 우울과 함께 직무소진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주효과 모델의 역할을 하는지, 또는 직무소진에 미치는 교사 개인의 우울 영향을 완충시키는 완충효과 모델의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소진에 미치는 개인 내적 변인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소진에 미치는 개인 내적 변인으로 교사의 정서 상태인 우울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소진에 있어 우울을 고려 하는 것은 첫째, 우울은 직무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내적 변인이라는 점(이주일, 2003; Bech, Andersen, Bech-Andersen, Tonnesen, Agnarsdottir, & BorgBech, 2005; Blackmore, Stansfeld, Weller, Munce, Zagorski, & Stewart, 2007; Gilmour & Patten, 2007)과 이러한 우울을 여성들이 남성들에 비해 더 자주 경험할 뿐 아니라 더 강하게 경험한다는 사실(김혜성, 2009; Culbertson, 1997; Hankin, Abramson, Moffitt, McGee, Silva, & Angell, 1998) 때문이다.
대구경북지역 유아교육기관 교사 195명의 직무소진에 미치는 교사 개인내적 변인 및 근무환경적 변인을 우울과 동료교사 및 원장으로부터의 정서적 지지 측면에서 접근한 이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소진에 대한 우울의 영향을 파악하면서, 동료 및 원장의 정서적 지지가 교사의 직무소진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주효과를 미치는지 또는 완충효과를 미치는지 살펴보았다.이에 대한 논의 및 결론은 어떠한가? 첫째,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소진은 교사의 우울에 의해 정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우울이 직무수행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연구결과와 유사한 것(Gilmour & Patten, 2007)이며, 직무소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연구결과(이주일, 2003)와 일치하는 것이다. 한편 <연구문제 2>와 <연구문제 3>의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소진에 대한 우울의 영향은 22%의 설명력을 가질 뿐 아니라 상대적 영향력에 있어 동료교사나 원장의 정서적 지지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소진을 예방하고 관리하는데 있어 개인 내적 변인인 우울에 대해 보다 큰 관심과 주의가 요구됨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주의할 것은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우울이 직무소진을 설명하는 유의한 변인이지만,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우울 평균은 응답범위 0-35점 사이에 7.55(6.56)의 평균값을 갖는다는 것이다. BDI로 측정한 우울 평균이 낮게 나타난 것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강민아·임경희, 2006; 김차희· 이민규, 2006; 정연옥·이민규, 2005)에서 우울 평균값이 7-12정도의 평균값(BDI로 측정)을 보인 것과 매우 유사한 것이다. 이는 대부분의 성인들처럼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대부분도 우울한 감정을 거의 느끼지 않거나 매우 낮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유아교육현장에서는 매우 긍정적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교사가 우울감을 경험하지 않는다해도 우울감의 경험은 그것이 크던 작던 교사로 하여금 직무소진을 높이는 부정적 감정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둘째,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우울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동료교사의 정서적 지지는 주효과 및 상호작용 효과를 갖는다.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우울은 직무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동료교사의 정서적 지지 추가 시 직무소진에 대한 설명력은 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료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교사의 우울과 함께 직무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한편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소진에 미치는 우울과 동료교사의 정서적 지지간에는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교사의 우울이 심하지 않을 경우 동료교사로부터 제공되는 정서적 지지는 우울이 미치는 직무소진의 영향을 보다 많이 완충(조절)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울은 슬픔을 동반하기 때문에 사회적 지원을 호소하게 만든다(Ellsworth & Smith, 1988). 이러한 우울의 정서적 특성을 고려할 때, 우울한 동료에 대한 관심과 지원은 우울로 인해 사회적 지원을 추구하는 사람에게 있어 매우 가치있게 평가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평가는 우울한 당사자로 하여금 우울감에서 벗어날 수 있는 인지적 자원의 토대가 될 수 있다. 셋째,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우울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원장의 정서적 지지는 동료교사의 정서적 지지와 달리 주효과만을 지니고 있음이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우울은 직무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원장의 정서적 지지 추가 시 직무소진에 대한 설명력은 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교사의 정서적 지지 추가 시 설명력이 3% 증가한 것에 비해 증가량이 보다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보육교사의 직무소진에 직장상사의 사회적 지원이 동료 관계의 사회적 지원에 비해 보다 더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한 연구결과(박상희 등, 2006) 및 동료와의 관계보다 원장과의 관계가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그리고 개인적 성취감 저하 등의 직무소진에 더 많이 영향받는다고 보고한 황혜신(2008)의 연구와 유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은 동료교사로부터의 정서적 지지를 원장으로부터의 정서적 지지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지각하고 있지만, 직무소진을 낮추거나 높이는데 있어 좀 더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인사권자인 원장이라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소진에 미치는 우울과 원장의 정서적 지지간에는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처럼 인사권자인 원장의 정서적 지지는 교사의 우울한 마음을 위로하거나 완화함으로써 직무소진을 낮추는 힘이나 효과 면에서 동료교사의 정서적 지지에 비해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동료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상호작용 효과를 갖는 것은 내집단(Tajfel, 1981)으로서의 동질감 때문이라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내집단내 형성되는 동질감으로 인해, 내집단으로부터의 우호적 반응을 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Devine, 1995). 동료교사는 수직적 관계에 있는 원장과 달리 수평적 관계에 있기 때문에 원장에 비해 보다 강한 내집단 의식을 갖게 할 수 있다. 아마도 이러한 내집단 의식이 동료교사로부터의 정서적 지지에 보다 긍정적이고 의미있게 반응하도록 하는 힘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직무소진이란 무엇인가? 유아의 성장과 발달을 촉진하는 교수자, 유아의 문제해결을 돕는 상담자, 보호자, 대리양육자 및 유아교육기관의 업무를 처리해야 하는 행정실무자 등 다양한 역할이 기대되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교사들(송연숙·유수경, 2008; 송정애·장정순, 2008)은 1인 다역의 역할로 역할갈등을 경험할 뿐 아니라 직무소진을 쉽게 경험할 수 있다. 직무소진이란 직장에서의 근무부담으로 인해 나타나는 신체적, 정신적 고갈상태(Weisberg & Sagie, 1999)로 근무 조건이 열악함에도 불구하고 작업 요구가 높은 직종의 근로자에게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심리적 증후군(Bakker & Demerouti, 2007; Maslach, Schaufeli, & Leiter, 2001)이다. 이러한 직무소진은 정서적 고갈, 비인격화 그리고 개인적 성취감 감소의 상태를 동반한다(Maslach & Jackson, 198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강민아 ,임경희 (2006) 성폭력 피해 자녀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 MMPI, BDI, STAI 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4), 419-436. 

  2. 고종옥 ,염영희(2003).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역할. 대한간호학회지, 33(2), 265-274. 

  3. 김차희, 이민규(2006). 성격 양식 및 대인관계 문제해결 능력이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1), 163-175. 

  4. 김혜성(2009). 직무스트레스와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직장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2, 346-373. 

  5. 문채련 ,이소은(2005).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지, 14(3), 387-399. 

  6. 민하영(2008). 부모간 갈등 및 조모/외조모의 심리적 지지와 학령기 아동의 안녕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2), 33-41. 

  7. 박광배(2003). 변량분석과 회귀분석. 서울 : 학지사. 

  8. 박상희 ,문수경 , 이무영(2006). 보육교사의 소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65-84. 

  9. 박지원(1989).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서지영 ,서영숙(2002). 유치원교사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2(4), 229-250. 

  11. 성영혜(1993). 부모의 사회적 지지체계가 아동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송연숙 , 유수경(2008). 유아교사용 역할갈등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유아교육연구, 28(4), 189-213. 

  13. 송정애 ,장정순(2008). 보육교사의 역할갈등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3(4), 229-249. 

  14. 심숙영(1999). 근무여건과 개인적인 특성에 따른 소진이 유아교육 교사의 이직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0(3), 339-349. 

  15. 양병화(2002).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서울 : 학지사. 

  16. 안선희 ,김지은(2007). 영아 및 유아 보육교사의 개인적 특성, 근무여건,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147-164. 

  17. 이용호,송종용(1991). BDl,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98-113. 

  18. 이주일(2003). 조직 장면에서의 분노, 불안, 우울 정서-정서 간 유발 상황과 대처방식의 차이 및 정서의 조절과 심리적 안녕, 직무효과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6(3), 19-58. 

  19. 이진화(2007).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개인 및 기관의 정서변인,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정연옥,이민규(2005). 성인기 애착유형, 부정적 인지왜곡 및 우울수준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4(1), 167-184. 

  21. 조성연(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지, 14(1), 69-79. 

  22. 조성자 , 문수백, 민하영(2008).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지각된 자아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2), 25-32. 

  23. 황혜신(2008). 보육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7(4), 589-600. 

  24. Bakker, A. B., & Demerouti, E. (2007).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 State of the art.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2, 309-328. 

  25. Baruch-Feldman, C., Brondolo, E., Ben-Dayan, D., & Schwartz, J. (2002). Sources of social support and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productivity. Journal of Occupation Health Psychol, 7(1), 84-93. 

  26. Bech, P., Andersen, M. B., Bech-Andersen, G., Tonnesen, S., Agnarsdottir, E., & Borg, V. (2005). Work-related stressor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Danish managers. European Psychiatry, 20, 318-325. 

  27. Beck, A. T., Ward, C. H., Mendelson, M., Mock, J., & Erbaugh, J. (1961).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 561-571. 

  28. Blackmore, E. K. R., Stansfeld, S. A., Weller, I., Munce, S., Zagorski, B. M., & Stewart, D. E. (2007). Major depressive episodes and work Stress : Results from a National Population Surve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7(11), 2088-2094. 

  29.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 300-314. 

  30. Cohen,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 99-125. 

  31.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 310-357. 

  32. Culbertson, F. M. (1997). Depression and gender. American Psychologist, 52. 25-31. 

  33. Devine, P. G. (1995). Prejudice and out-group perception. In A. Tesser (Ed.), Advanced social psyclology (pp. 485-499). New York : McGraw-Hill. 

  34. Dubreuil, P., Laughrea, M. C, Morin, A. J. S., Courcy, F., & Loiselle, O. (2009). Role stressors and burnout :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s.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and Management, 4 (9), 3-16. 

  35. Ellsworth, P. C., & Smith, C. A. (1988). From appraisal to emotion: Differences among unpleasant feelings. Motivation and Emotion. 12, 271-303. 

  36. Gilmour, H., & Patten, S. B. (2007). Depression and Work. Perspectives, Statistics Canada Catalogue no. 75-001 -XIE, 19-31. 

  37. Hankin, B. L., Abramson, L. Y., Moffin, T. E., McGee, R., Silva, P. A., & Angell, K. E. (1998) Development of depression from preadolescence to young adulthood: Emerging gender differences in a 10-year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7, 128-140. 

  38. Jackson, Y., & Warren, J. S. (2000). Appraisal, social support, and life events: Predicting outcome behavior in school-age children. Child Development, 71(1), 1441-1457. 

  39. Jonathon, H., & Ronald, B. M. (2006). Social comparison and burnout : The role of relative burnout and received social support. Anxiety, Stress & Coping, 19(3), 259-278. 

  40. Kahn, R. L., & Antonucci, T. C. (1980). Convoys over the life course : Attachment, roles, and social support. In P. B. Baltes & O. G. Brim (Eds.), Life span development and behavior (Vol. 3, pp. 253-286). San Diego, CA : Academic Press. 

  41. Lazarus, R. S., & Lazarus, B. N. (1994). Passion and reason : Making sense of our emotio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2. Loyd, C., King, R., & Chenowith, L. (2002). Social work, stress, and burnout : A review. Journal of Mental Health, 11, 255-266. 

  43. Maslach, C. (1998). A multidimensional theory of burnout. In C. L. Cooper (Ed.), Theories of organizational stress (pp. 68-85). Oxford, U.K. : Oxford University Press. 

  44. Maslach, C., & Jackson, S. (1986)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Palo AIto, CA :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45.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397-422. 

  46. Tajfel, H. (1981). Human groups and social categori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7. Viswesvaran, C., Sanches, J. I., & Fisher, J. (1999).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process of work stress: A meta-analysi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4, 314-334. 

  48. Weisberg, J., & Sagie, A. (1999). Teachers' physical, mental and emotional burnout : Impact on intention to quit. The Journal of Psychology, 133, 333-3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