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Stanford B형 대동맥 박리로 하행 대동맥 스텐트 도관 삽입술 후 발생한 제I형 Endoleak의 치료에 시행한 Hybrid 혈관내 술식
Hybrid Endovascular Repair for Type I Endoleak after Stent Grafting of Chronic Stanford Type B Aortic Dissection 원문보기

大韓胸部外科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v.43 no.4 = no.297, 2010년, pp.428 - 432  

김관욱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연세의료원 심장혈관병원 심장혈관외과) ,  조상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연세의료원 심장혈관병원 심장혈관외과) ,  심원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연세의료원 심장혈관병원 심장내과) ,  윤영남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연세의료원 심장혈관병원 심장혈관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67세 남자환자가 6개월 전부터 반복되는 배부 동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11년 전 Stanford B형 대동맥 박리로 하행 대동맥 스텐트 도관 삽입술을 시행 받았다. 대동맥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좌 쇄골하동맥 기시부에서 시작되어 복부 대동맥 분지 부위까지 진행된 대동맥 박리, 스텐트 도관 근위부의 제 1형 endoleak 및 하행 대동맥의 낭종성 확장을 관찰하였다. 체외 심폐 순환 하에 무명동맥, 좌 총경동맥, 좌 쇄골하동맥의 탈분지 및 재혈관화술을 시행하고, 수술 후 13일째 대동맥 궁에서 하행대동맥까지 스텐트 도관을 삽입하는 Hybrid 술식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고, 수술 후 시행한 대동맥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제 1형 endoleak의 완전한 소실을 보였으며 퇴원 후 8개월간 특이 합병증 없이 경과 관찰 중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67 years old male patient was admitted with back pain that had recurred from 6 months previously. Eleven years previously, he underwent stent grafting at the descending thoracic aorta for a chronic Stanford type B aortic dissection. The pre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showed aortic dissection f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환자가 고령이며 이미 이전에 대동맥 스텐트도.관 삽입 술 시행 받은 과거력이 있음을 감안할 때, 고식적 대동맥 궁치환술의 위험성이 높으며 대동맥 스텐트도관 삽입술 의 단독 시행이나 흉골절개술 없이 좌총경동맥-좌쇄골하동 맥 우회술 후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하였을 때에는 본환자의 대동맥궁 분지 혈관이 매우 근접해 있어 시술 후 제2형 endoleak의 발생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어, 흉골절개술을 통한 대동맥궁 혈관들의 탈분지 및 재혈관화술을 시행하고, 이차적으로 대동맥궁에 스텐트도관을 삽입하는 hybrid 술식을 시행하기로 결정하였다.
  • 본 증례에서 저자들은 환자의 연령, 과거력, 증상 및 병변의 위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hybrid 술식을 적용하였고 그 수술방법에 있어서 대동맥궁 분지의 탈분지화 및 재혈관화시에 저체온법 및 심폐체외순환기 보조 없이 심장박동 상태에서 좌총경 동맥과 무명동맥의 순차적인 결찰 및 도관 연결을 시행할 수 있었으나, 본 수술이 저자들의 초기 경험이었으며, 좌측 척골동맥의 형성부전으로 인한 뇌후부의 혈류 저하로 발생할 수 있는 뇌손상의 우려로 저체온법과 심폐체외 순환 보조를 사용하였다. 저자들은 수예의 수술 경험이 축적된 후 최근에는, 기타 동시 심장 수술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심폐체외순환기 보조 없이 심장박동 상태에서 대동맥궁 분지의 탈분지화 및 재혈관화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 수술은 정중 흉골절개 하에서 동맥관은 우측액와동맥 에, 정맥관은 우심방이에 삽입하여 체외순환을 시행하고, 4분지형 인조혈관(four branched Hemashield graft 30xlQx 8×8x10 mm, Boston scientific)을 3분지혈관이 연결된 첩포 형태로 미리 준비하였으며, 체외순환 하에서 대동맥궁에서 기시하는 무명동맥, 좌총경 동맥 및 좌쇄골하동맥을 주위 조직으로부터 박리하였다. 상행 대동맥 차단 후 상행 대동맥의 근위부를 타원형으로 절개한 후 이른 준니된 인조 혈관 첩포와 연속 봉합으로 연결하였으며, 상행 대 동맥 차단을 제거하고 경동맥 겸자시 발생 가능한 뇌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29.7도까지 체온을 내린 후, 조}쇄골하 동맥을 대동맥궁 기시 부에서 결찰 후 절단한 다음인조혈 관의 8 mm 분지를 좌쇄골하동맥에 단 단 문합하였으며 인조 혈관의 다른 8 mm 분지를 좌총경동맥에 동일한 방법으로 문합하였다. 이후 우측액와동맥에서 상행대동맥으 로체외 순환을 위한 동맥관을 옮긴 후 무명동맥을 결찰 후 절단한 다음인조혈관의 10 mm 분지를 무명동맥에 단 단 문합하였다(Fig.
  • 수술은 정중 흉골절개 하에서 동맥관은 우측액와동맥 에, 정맥관은 우심방이에 삽입하여 체외순환을 시행하고, 4분지형 인조혈관(four branched Hemashield graft 30xlQx 8×8x10 mm, Boston scientific)을 3분지혈관이 연결된 첩포 형태로 미리 준비하였으며, 체외순환 하에서 대동맥궁에서 기시하는 무명동맥, 좌총경 동맥 및 좌쇄골하동맥을 주위 조직으로부터 박리하였다. 상행 대동맥 차단 후 상행 대동맥의 근위부를 타원형으로 절개한 후 이른 준니된 인조 혈관 첩포와 연속 봉합으로 연결하였으며, 상행 대 동맥 차단을 제거하고 경동맥 겸자시 발생 가능한 뇌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29.

대상 데이터

  • 만성 Stanford B형 대동맥박리로 11년 전 하행 대동맥 스텐트도관 삽입술을 시행받았으며 약 1년 전부터 제1 형 endoleak 소견 보여내과적으로 경과 관찰 중인 과거력 이 있는 67세 남자 환자가 6개월 전부터 반복되는 배부 동 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항고혈압약제를 복용하고 있었으며, 내원시 활력증후는 안정적이었고, 흉부방사선 검사에서는 종격동 확장 및 심장비대소견이 관찰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Moffatt-Bruce SD, Mitchell RS. Endovascular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thoracic aortic aneurysm and dissection. In: Sellke FW, del Nido PJ, Swanson SJ. Sabiston & Spencer Surgery of the chest. 7th ed. Philadelphia: Elsevier Saunders. 2005;1235-46. 

  2. Gorlitzer M, Weiss G, Thalmann M, et al. Combined surgical and endovascular repair of complex aortic pathologies with a new hybrid prosthesis. Ann Thorac Surg 2007;84: 1971-7. 

  3. Eggebrecht H, Nienaber CA, Neuhauser M, Baumgart D, Kische S, Schmermund A. Endovascular stent-graft placement in aortic dissection: a meta-analysis. Eur Heart J 2006; 27:489.98. 

  4. Kato N, Shimono T, Hirano T, et al. Midterm results of stent-graft repair of acute and chronic aortic dissection with descending tear: the complication specific approach. J Thorac Cardiovasc Surg 2002;124:306-12. 

  5. Patel HJ, Williams DM, Upchurch Jr GR, et al. Long-term results from a 12-years experience with endovascular therapy for thoracic aortic disease. Ann Thorac Surg 2006;82: 2147-53. 

  6. Antona C, Vanelli P, Petulla M, et al. Hybrid technique for total arch repair: aortic neck reshaping for endovascular-graft fixation. Ann Thorac Surg 2007;83:1158-6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