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엽채류 19종 407건, 과실류 5종 68건, 과채류 3종 32건, 근채류 4종 34건 및 버섯류 3종 10건의 질산염 함량 분석결과를 보면 엽채류에서의 질산염 함량은 무잎이 평균 4875.8 mg/kg으로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다음이 아욱(4711.8 mg/kg), 쑥갓(4546.9 mg/kg), 비타민(4239.5 mg/kg) 순으로 나타났다. 비타민, 상추, 그리고 깻잎의 질산염 함량은 443.3~6746.5 mg/kg, 583.2~4189.5 mg/kg, 73.0~3405.3 mg/kg으로 시료간의 개체 차이가 9~15배 정도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과실류에서의 질산염 함량은 딸기가 최저 12.8 mg/kg, 최고 35.2 mg/kg, 평균 24.0 mg/kg으로 나타났으며, 바나나 최저 423.6 mg/kg, 최고 453.2 mg/kg, 평균 438.5 mg/kg으로 나타났다. 딸기와 바나나를 제외하고는 다른 과실류에서는 질산염이 검출되지 않았다. 과채류에서는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평균 1,000 mg/kg 이하의 낮은 함량분포를 보였다. 근채류와 버섯류에서의 질산염 함량은 마늘에서는 질산염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양파, 연근 그리고 적환의 평균 질산염 함량은 253.4 mg/kg, 352.4 mg/kg, 2849.0 mg/kg으로 나타났으며, 버섯류에서 새송이버섯과 느타리버섯의 평균 질산염 함량은 55.3 mg/kg, 98.2 mg/kg이며, 팽이버섯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total of 550 samples were analysed for nitrate contents using HPLC-UV. Nitrate contents of leaf vegetables were higher than those of root vegetables and fruit vegetables. The average nitrate content of the radish leaves (4875.8 mg/kg) was the highest, followed by marsh mallow (4711.7 mg/kg), crow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Kamn 등의 방법을 개선한 Oh 등(6)의 방법에 따라 일정량의 시료에 탈이온수를 가하여 혼합ㆍ마쇄하여 100 mL로 정용하고 80oC의 항온수조에 20분간 방치한 후 membrane filter (0.25 μm)로 여과한 여액을 HPLC에 주입하여 Table 1과 같은 조건에서 질산염을 분석하였으며, 표준용액의 크로마토그램과 시료에서의 크로마토그램은 Fig. 1, 2와 같다.
  • 질산염 표준품은 Cica-Reagent(Kanto chemical, Tokyo, Japan)를 사용하였고 증류수는 재증류 후 이온을 제거시킨탈이온수를 사용하였다. 균질기는 Omni Macro Homogenizer(Omni International, Marrieta, USA)를 사용하였고 측정기기는 HPLC(Waters, Milford, US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질산염분석법에 대한 회수율을 알고자 질산염이 검출되지 않는 샘플 10 g에 시험농약을 50 μg/mL 수준으로 첨가하여 시료의 분석방법과 동일하게 실험하여 3회 반복 처리하여 회수율을 측정하였으며, 측정결과는 Table 2와 같다.
  • 채소류의 질산염 함량 측정 시 전하를 띄는 물질의 검출을 위해서는 이온크로마토그래피(IC) 시스템을 필요로 하나, 본 연구에서는 HPLC 검출기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자외선 검출기를 사용하여 채소류의 질산염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2009년 10~12월중 서울강남지역 대형마트와 가락농수산물도매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각기 다른 산지에서 재배된 농산물 550여 건을 대상으로 질산염 분석을 하였다.
  • 질산염 표준품은 Cica-Reagent(Kanto chemical, Tokyo, Japan)를 사용하였고 증류수는 재증류 후 이온을 제거시킨탈이온수를 사용하였다. 균질기는 Omni Macro Homogenizer(Omni International, Marrieta, USA)를 사용하였고 측정기기는 HPLC(Waters, Milford, US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Walker R. 1996. The metabolism of dietary nitrites and nitrates. Bioactive Components of Food 24: 780-785. 

  2. Sohn SM. 2000. The reduction technology of nitrate content in vegetable. Ministry Agriculture and Forestry Report. 

  3.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04. Drinking-water guideline quality. 

  4. Ysart G, Miller P, Barrett G, Farrington D, Lawrances P, Harrison N. 1999. Dietary exposures to nitrate in the UK. Food Addit Contam 16: 521-532. 

  5. The EFSA Journal. 2008. Nitrate in vegetables. p 1-79. 

  6. Oh MC, Oh CK, Kim SY. 1996. Rapid analytical method of nitrate and nitrate in fish by ion chromatography. J Food Sci Nutr 1: 1-5. 

  7. Kim BY, Yoon S. 2003. Analysis of nitrate contents of Korean common fo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79-784. 

  8. Lee JY, Park YH, Jang BC, Kim SC, Kim PJ, Ryu SN. 2005. Variation of nitrate contents on distributed vegetables in Korea. Korean J Crop Sci 50: 231-238. 

  9. Lee EH, Kim SK, Jeon JK, Chung SH, Cha YJ. 1982. Nitrate and nitrite content of some fermented sea foods and vegetables. Bull Korean Fish Soc 15: 147-153. 

  10. Walker R. 1990. A review of the occurrence in food and diet and the toxicological implications. Food Addit Contam 7: 717-768. 

  11. Sohn SM, Kim YH, Yoon JY. 1999. Nitrate contents in vegetables cultivated by organic farming in Korea. Korean J Organic Agriculture 7: 125-151. 

  12. Sohn SM, Oh KS. 1993. Influence of nitrogen level on the accumulation of NO3 - on edible parts of Chinese cabbage, radish and cucumber. J Korean Soc Soil Sci 26: 10-19. 

  13. Sohn SM, Oh KS. 1993. Study on utility of nitrate content in edible parts of crops as an indicator of simplified judgment for superior agricultural products by low nitrogen input. Korean J Organic Agriculture 2: 2-15. 

  14. Sohn SM, Oh KS, Lee JS. 1995. Effects of shading and nitrogen fertilization on yield and accumulation of $NO_3^-$ in edible parts of Chinese cabbage. J Korean Soc Soil Sci Fert 28: 154-159. 

  15. Lee GJ, Kang BG, Kim HJ, Min KB. 2000. Effect of shading and nitrogen level on the accumulation of $NO_3^-$ in leaf of lettuce. Korean J Environ Agric 19: 294-299. 

  16. Lee YJ, Chung JB. 2006. Comparison of nitrate accumulation in lettuce grown under chemical fertilizer or compost applications. Korean J Environ Agric 25: 339-345. 

  17. Choi IH, Kim SW, Nahm KH. 1996. A study on the nitrate contents in vegetables. Kor J Anim Nutr Feed 22: 49-54. 

  18. Yang YJ, Lee KA, Kim KJ. 2000. Effect of pre- and postharvest on factors on nitrate contents of radish and Chinese cabbage. J Kor Soc Hort Sci 41: 365-3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