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과학수업에서 지구와 달의 운동 개념변화를 위한 수업모듈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structional Module for the Conceptual Change of the Earth and Moon's Movement in the Elementary Science Class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34 no.1, 2010년, pp.58 - 71  

손준호 (서일초등학교) ,  김종희 (전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달이 한 쪽 면만 보이는 현상에 대해 초등과학 영재학생들이 갖고 있는 선개념을 확인하여 유형별로 분류하고, 개발한 수업 모듈을 적용해 봄으로써 지구와 달의 운동 개념이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 확인해 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J대학교 초등과학영재 1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질문지법과 면담법, 역할극을 활용하여 선개념을 조사한 후 지구과학교육 전문가와 2명의 박사과정 대학원생과 함께 분석하였다. 또한 수업 모듈을 개발하여 사전 모의수업을 통해 보완한 후, 동영상 촬영을 하면서 실제 수업을 녹화하였다. 녹화한 동영상을 토대로 프로토콜을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가 나왔다. 첫째, 달이 한 쪽 면만 보이는 현상에 대한 초등과학 영재학생들의 선개념은 달이 한 쪽 면만 보이는 이유에 대해 달이 지구주위를 돌기 때문이라는 막연한 개념의 '가' 유형, 달이 지구주위를 한 쪽 면만 쳐다보기 때문이라는 현상적 개념의 '나' 유형, 달의 자전과 공전주기가 같기 때문이라는 암기 개념의 '다' 유형으로 크게 3가지로 분류되었다. 둘째, 달이 한 쪽 면만 보이는 현상에 대해 역할극으로 표현했을 때 나타난 선개념은 달의 회전 방향에 대해 잘못된 개념을 갖고 있는 A 유형, 달의 자전과 공전이 동시에 나타나도록 표현하지 못한 잘못된 개념을 갖고 있는 B 유형, 지구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한 C 유형으로 크게 3가지로 분류되었다. 여기에 좀 더 세분화시키면 A 유형은 달의 자전과 공전의 방향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움직임을 표현한 A-1 유형과 달의 움직임 자체를 역할극으로 표현하지 못한 A-2 유형으로, C 유형은 지구가 움직이되 달만 쳐다보고 움직이는 C-1 유형과 지구와 달이 정량적으로 움직이지 않게 표현한 C-2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선개념을 수정하기 위해 본 연구자가 개발한 수업 모듈을 통해 A 유형의 경우는 1단계(달만 공전)과 2단계(달만 자전)의 수업단계에서, B 유형의 경우는 3단계(달의 자전과 공전)의 수업단계에서, C-1 유형의 경우는 4단계(달의 자전과 공전 주기 관련 표현하기)와 5단계(지구의 자전을 고려한 달의 움직임 생각하기)에서, C-2 유형의 경우는 6단계(지구와 달의 움직임과의 관계 조작하기) 수업을 통해 긍정적인 개념 변화가 가능했다. 본 연구는 지구와 달의 운동 개념 변화를 위해서는 역할극과 함께 탐구자료 제작 및 단계별 탐구활동을 동시에 실시하면 보다 효과적인 개념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preconceived notions by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about the reason why only one side of the moon is visible and develop an instructional module to correct these notions scientifically. The effectiveness of these modules will then be tested. The p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영재들을 대상으로 하여 달의 동주기 자전을 학습함에 있어 역할극을 사용할 때 그 학생들이 표현하는 지구와 달의 운동 관련 오개념을 조사하고, 이 오개념을 과학 개념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수업 모듈을 개발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수업 모듈을 초등학교 과학영재들에게 투입할 때 나타나는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개념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 그러므로 달의 동주기 자전을 이해하기 위해 역할극을 활용할 때 발생하는 오개념을 조사하고 이 오개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영재들을 대상으로 하여 달의 동주기 자전을 학습함에 있어 역할극을 사용할 때 그 학생들이 표현하는 지구와 달의 운동 관련 오개념을 조사하고, 이 오개념을 과학 개념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수업 모듈을 개발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수업 모듈을 초등학교 과학영재들에게 투입할 때 나타나는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개념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달의 동주기 자전을 설명함에 있어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오개념 형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수업모듈을 개발하고자 한다. 지구와 달의 운동을 학습함에 있어 말이나 글 보다는 그림, 구체적 조작물, 영상, 자료 매체 등 공간 속에서 정신적인 아이디어를 조작하고 이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물이 있으면 보다 높은 성취를 기대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Callison & Wright, 1993)를 토대로 자료를 제작하고 역할극을 활용하여 단계별 절차를 밟는 수업이 효율적일 것이다.
  • 하지만 항성월과 같은 중학교 이상의 개념이 도입될 수밖에 없는 부분이기에 교사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구의 회전을 반드시 고려하여 달이 움직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었기에 아주 정확한 수량적인 계산보다는 이와 비슷한 수량적인 움직임만을 보여도 만족했다고 생각한다. 특히 달의 한 달을 28일로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자발적인 정량화의 움직임이 가능했다고 생각한다.

가설 설정

  • 교사 : 너무 복잡할 수 있으니까 이번에는 달이 지구를 중심으로 90도만 움직인다고 가정하고 생각해 주세요.
  • 물론 제작한 탐구 자료를 활용하여 표현하는 모둠도 있고,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달이 90°만 움직인다고 가정하고 지구와 달의 궤도를 4등분하여 표현한 모둠도 있었다.
  • 학생들에게 소수점이 나오는 항성월을 제시하기엔 다소 무리가 따른다고 판단하여 28일이라 가정하고 지구와 달의 움직임을 생각해 보도록 지도하였으며, 이에 모든 학생들이 회전수를 수량적으로 계산하여 정확하게 움직였다. 어떤 팀은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작도를 하여 계산하는 발전적인 모습을 아래와 같이 보여 주기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7차 초등교육과정에서 학습해야 하는 달과 관련된 내용과 탐구요소는 무엇인가? 제7차 초등교육과정에서 학습해야 하는 달과 관련된 내용과 탐구요소는 달의 물리적 상태와 지구의 자전 및 달의 공전 정도이며, 9학년의 경우는 달의 크기와 공전 및 자전, 달의 공전궤도 기울기와 기조력이다(김 혁, 2006). 지구의 자전과 달의 공전에 대한 개념이 초등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지만, 달의 운동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달의 자전에 대한 현상을 중학교 교육과정으로 옮겨 초등교육과정을 축소한 것은 학문의 구조적 측면에서 문제가 있어 보인다(최숙희, 2000).
제7차 초등교육과정에서 9학년이 학습해야 하는 달과 관련된 내용과 탐구요소는 무엇인가? 제7차 초등교육과정에서 학습해야 하는 달과 관련된 내용과 탐구요소는 달의 물리적 상태와 지구의 자전 및 달의 공전 정도이며, 9학년의 경우는 달의 크기와 공전 및 자전, 달의 공전궤도 기울기와 기조력이다(김 혁, 2006). 지구의 자전과 달의 공전에 대한 개념이 초등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지만, 달의 운동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달의 자전에 대한 현상을 중학교 교육과정으로 옮겨 초등교육과정을 축소한 것은 학문의 구조적 측면에서 문제가 있어 보인다(최숙희, 2000).
연구 대상이 답한 내용을 달이 한 쪽 면만 보이도록 표현한 역할극에서 어떻게 분류하였나요? A 유형은 달의 회전 방향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학생들의 선개념을 의미한다. 특히 A-1은 달의 자전과 공전 방향이 바르지 못한 경우이고, A-2의 경우는 달의 움직임을 역할극으로 표현 자체를 못한 경우에 해당한다. B 유형은 달의 자전과 공전이 동시에 일어나지 않고 자전을 한 후 한참 후에 공전을 하는 것 혹은 공전을 하다가 자전을 하여 맞추는 식의 표현을 하였다. 다시 말해 달이 공전하면서도 자전을 하지 않다가 정해놓은 일정 도착점에 도착했을 때에 비로소 지구 쪽을 향해 바라보도록 표현하는 학생의 경우를 말한다. C 유형은 달의 동주기 자전개념을 이해는 하지만 지구와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은 선개념을 보여주는 유형에 해당된다. C-1 유형은 달이 한 바퀴 움직일 때 지구가 달의 한 쪽 면만을 보며 따라감으로써 결국 1바퀴 회전하도록 표현한 경우로 가장 많은 학생들이 여기에 해당되었다. C-2 유형은 C-1 유형보다는 좀 더 발전되어 달이 한 바퀴 움직일 때 지구가 회전하는 것으로 표현했지만, 지구와 달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은 정확하지 않은 회전주기를 표현한 경우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