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결정 위상 : 척도 없는 거듭제곱 법칙 망
Recrystallization Topology : a Scale-free Power-law Network 원문보기

정보과학회논문지. Journal of KIISE. 정보통신, v.37 no.3, 2010년, pp.167 - 174  

박재현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에 비 구조적 피어투피어 시스템을 위해 분산적으로 재결정위상을 구성하는 위상 제어 프로토콜이 제안되었다[1]. 본 논문에서는 재결정위상이라고 불리는 이러한 계층적 위상이 척도 없는 거듭제곱 법칙 망임을 보인다. 우리는 재결정 위상의 분산된 구성을 위한 알고리즘의 프로세스를 모형화 하고, 평균 장 점근법(Mean field Approximation)과 연속체 이론(Continuum theory)에 근거를 두고 분석하여, 구성된 재결정 망이 척도 없는 망임을 보였다. 위상제어 알고리즘을 따르는 각 노드는 더 선호하는 노드에 대한 연결을 추가하고, 가장 비선호하는 노드에 대한 연결을 제거한다. 다시 말해, 알고리즘에 따라, 각 피어는 자신이 알고 있는 피어들 중에서 최고의 적중률(또는 검색 능력 혹은 선호도)을 가지고 있는 노드들과 연결을 추가하고, 최저의 적중률을 가진 노드들과의 연결을 끊는다. 이것은 비구조적 피어투피어 망에서 재결정 위상을 구성하기 위한 지역적인 프로세스를 실제적으로 표현한다. 우리는 차수의 분포를 분석적으로 유도한다. 분석 결과, 만들어지는 재결정 위상은 척도 없는 망이며, 이것의 거듭제곱 법칙의 지수$\gamma$는 3 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distributed topology control algorithm for constructing the Recrystallization Topology in the unstructured peer-to-peer network was proposed. In this paper, we prove that such a hierarchical topology is a scale-free power-law network. We present a model of a construction process of the ...

주제어

참고문헌 (9)

  1. Jae-Hyun Park, "Distributed Construction of the Recrystallization Topology and Efficient Searching in the Unstructured Peer-to-Peer Network,"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Information Networking, vol.35, no.4, pp.251-267, 2008. (In Korean) 

  2. R. Matei, A.Iamnitchi, and P.Foster, "Mapping the Gnutella network," IEEE Internet Computing, vol.6, no.1, pp.50-57, 2002. 

  3. Lada A. Adamic, Rajan M. Lukose, Amit R. Puniyani, and Bernardo A. Huberman, "Search in power-law networks," Physical Review E, vol.64, no.4, pp.046135, 2001. 

  4. Saurabh Tewari and Leonard Kleinrock, "Optimal search performance in unstructured peer-to-peer networks with clustered demands," IEEE Journal on Selected Areas in Communications, vol.25,no.1, pp.84-95, 2007. 

  5. Alexander Loser, Steffen Staab, and Christoph Tempich, "Semantic social overlay networks," IEEE Journal on Selected Areas in Communications, vol.25, no.1, pp.5-14, 2007. 

  6. R. Cohen and S. Havlin, "Scale-free networks are ultrasmall," Physical Review Letters, 90:058701, 2003. 

  7. P. Dasgupta, "A Multi-agent Mechanism for Topology Balancing in Unstructured P2P Networks," Proceedings of the IEEE/WIC/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Agent Technology, IAT 2006, Washington DC, pp.389-392, 2006. 

  8. Albert-Laszlo Barabasi and Reka Albert, "Meanfield theory for scale-free random networks," Physica A, vol.272, pp.173-187, 1999. 

  9. Qinghua Chen and Dinghua Shi, "The modeling of scale-free networks," Physica A, vol.335, pp.240- 248,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