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자아존중감 및 조직 유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urses' Self-Leadership,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6 no.2, 2010년, pp.143 - 151  

강윤숙 (적십자간호대학) ,  최윤정 (적십자간호대학) ,  박달이 (강북삼성병원) ,  김인자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fine nurses' level of self-leadership,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above variabl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3 nurses from two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 Ko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7). 본 연구는 간호사의 간호 조직 유효성과 셀프리더십 및 자아존중감의 정도와 이들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임상현장에서 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인식을 강화하고 그 증진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성화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자아존중감 및 조직 유효성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자아존중감 및 조직 유효성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리더십은 한 조직의 비전과 목적을 달성해 나가는 데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전통적으로 리더십은 조직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조직이 환경 변화에 적응하도록 도우며 구성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조직의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간호학 분야에서도 대상자에게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효과적인 리더십 방안이 모색되어 왔으며, 이는 나이팅게일(Nightingale)로 부터 오렘(Orem), 로이(Roy), 로저스(Rogers) 등에 이르기까지 여러 간호 학자들이 효과적인 간호를 위해 제시한 간호이론들의 근거가 되었다(Laurent, 200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적으로 리더십의 목적은? 리더십은 한 조직의 비전과 목적을 달성해 나가는 데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전통적으로 리더십은 조직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조직이 환경 변화에 적응하도록 도우며 구성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조직의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간호학 분야에서도 대상자에게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효과적인 리더십 방안이 모색되어 왔으며, 이는 나이팅게일(Nightingale)로 부터 오렘(Orem), 로이(Roy), 로저스(Rogers) 등에 이르기까지 여러 간호 학자들이 효과적인 간호를 위해 제시한 간호이론들의 근거가 되었다(Laurent, 2000).
위인론이나 특성론과 같은 리더십 이론에서 전제하고 있는 점은? 전통적으로 리더십 이론들은 ‘위인론(Great Man Theory)’ 또는 ‘특성론(Trait Theory)’과 같이 리더십이란 천성적으로 타고난다는 전제로부터 시작되었다. 20세기 후반 들어 조직이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새로운 차원의 리더십이 요구되었다.
20세기 후반부터 새로운 차원의 리더십이 요구되며 등장한 이론의 변화과정은? 20세기 후반 들어 조직이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새로운 차원의 리더십이 요구되었다. 1980년대 중반에는 변혁적 리더십 이론이 등장하였고, 80년대 후반에는 행위 중심적 카리스마적 리더십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그 후 수퍼리더십, 셀프리더십, 팔로워십, 서번트리더십, 스튜어드십, 자기희생적 리더십 등 다양한 리더십 이론들이 대두되었다. 현대의 리더십 이론들에서는 리더십이란 무작위로 생겨나는 것이 아니며, 복잡하고 다면적인 현상으로서 누구나 지니고 있는 잠재력을 학습에 의해 구현할 수 있는 개념으로서 이해되어지고 있다(Grossman & Valiga, 2005). 특히 조직이 네트워크화, 슬림화, 수평화, 사이버 및 버츄얼화 하는 환경 속에서는 조직의 구성원 한 사람 한 사람이 상사의 지시 없이 현장에서 스스로 판단하여 의사결정을 하며 일을 추진해야 하는 상황이 전개되므로 모든 구성원이 스스로를 이끄는 리더의 역량과 자질을 필요로 한다(Choi,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e, K. O. (2007). 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nursing unit manager 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of staf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 Cho, K. H. (2004).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about job-satisfaction and outcome of nursing pract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3. Choi, S. J. (2003). The corre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of staff nurses by leadership styles of head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4. Choi, Y. (2002). A theory of self-leadership. Sci & Tech, 12(0), 917-930. 

  5. Choi, Y. J. (2009). A study on the related 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6. DiLiello, T. C., & Houghton, J. D. (2006). Maximizing organizational leadership capacity for the future. J Manage Psych, 21(4), 319-337. 

  7. Grossman, S. C., & Valiga T. M. (2005). The new leadership challenge creating the future of nursing, 2nded. PA: F. A. Davis Company. 

  8. Jung, T. H. (2005). Effects of self leadership education on college students. J Korean Educ, 32(1), 223-248. 

  9. Kazan, A. L. (2000). Exploring the concept of self-leadership.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Ohio. 

  10. Kim, B. M. (2007). A study of the head nurse's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perceived by staf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11. Kim, H. K. (2004).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 communication skills, creative behaviors and nursing services on self-leadership among nurses in hospitals. J Korean Clin Nurs Res, 13(1), 25-36. 

  12. Kim, I. A., Park, Y. J., Seomun, G. A., & Lim, J. Y. (2006). A review of studies on leadership in nursing organization. J Korean Acad Nurs Admin, 12(2), 311-322. 

  13. Kim, J. Y., & Hong, J. Y. (2007). Self-leadership,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clinical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in, 13(2), 184-190. 

  14. Kim, M. H., Kim, M. S., Chae, S. H., & Kim, Y. S. (2007). Relationship of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and selfleadership among hospital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in, 13(2), 176-183. 

  15. Kim M. K., & Kim K. H. (2009). Moderating effects of followership characteristic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type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Korean J hospitality Admin, 18(2), 277-298. 

  16. Korean Nurses Association (2006). The power of leadership. Korean Nurs, 45(1), 8-21. 

  17. Laurent, C. L. (2000). A nursing theory for nursing leadership. J Nurs Management, 8, 83-87. 

  18. Nelson, A. (2000). Review of mastering self-leadership. J Leadersh Stud, 7(1), 139-140. 

  19. Park, E. J. (2000). Factors associated with the intention to quit by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20. Park, K. N., & Park, M. K. (2008). A study on nurses' self-leadership, p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nursing Performance. J Korean Acad Nurs Admin, 14(1), 63-71. 

  21. Park, M. S., & Cheon S. M. (2009).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self-leadership. Korean J East West Sci, 10(1), 49-64. 

  22. Politis J. D. (2006). Self-leadership behavioural-focused strategies and team performance: The mediating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Leadersh & Organ Development J, 27(3), 203-216. 

  23. Seomun, G. A. Chang, S. O., Cho, K. H., Kim, I. A., & Lee, S. J. (2006). The 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and outcome of nursing practice. J Korean Acad Nurs Admin, 12(1), 151-158. 

  24. Shim, M. Y. (2005). A study on the correlation among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f head nurs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of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dong University, Kangneu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