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팀 신뢰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rses' Self-leadership and Team Trus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2 no.4, 2016년, pp.353 - 361  

김세영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  김은경 (충북대학교 간호학과) ,  김병수 (인제대학교 통계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elf-leadership, team trus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ethods: The subjects in the study were 296 conveniently selected general nurses at 2 general hosp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간호연구에서 신뢰성은 간호사-환자 신뢰성, 조직에 대한 신뢰성, 동료에 대한 신뢰성으로 구분되는데, 특히 동료에 대한 신뢰성을 조사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12].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들이 인식하는 셀프리더십과 팀 신뢰성을 파악하고,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변수 간 관련성을 확인함으로써 간호조직 인적자원관리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셀프리더십의 정의는 무엇인가? 셀프리더십은 개인이 자기행동에 대하여 스스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과정으로 정의되며[2], 구체적으로는 개인이 특별한 행동전략과 인식전략을 주도적으로 실천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조직에서 셀프리더십을 발휘하는 직원은 스스로 목표를 세우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행동전략을 자발적으로 실천함으로써 직무로부터 높은 성취감을 경험하게 된다[1,4].
최근 들어, 새로운 리더십을 필요로 하게 된 이유는? 전통적으로 의료기관은 위계적인 수직 구조를 바탕으로 상사의 지시와 통제에 의하여 조직을 관리해 왔으나, 이러한 관리방식은 급격한 의료시장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데 많은 한계점을 가진다[1]. 최근 들어, 의료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질 높은 간호서비스의 제공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 간호조직은 관리자의 리더십에 의존하기보다 새로운 리더십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2]. 즉, 조직이 경쟁력을 가지려면 구성원의 자기통제시스템(self-control system)을 활용해야 하며[3], 이를 위하여 조직행동 분야에서 새로운 관리방식으로 셀프리더십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1].
셀프리더십 행동이 동료와 팀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이유는? 그리고 팀에서 개인의 행동은 상호작용에 의하여 다른 개인의 반응을 일으키고 그 반응은 다시 원래의 개인에게 이차적인 상호작용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7]. 따라서 팀에서 구성원들이 셀프리더십을 발휘하여 스스로 목표를 세워서 일하고, 자기관찰과 리허설을 통해서 역량을 개발하고, 긍정적인 대화와 생산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일에 가치를 부여하여 즐겁게 일하는 모습을 보여주게 된다[8]. 이러한 팀 구성원의 셀프리더십 행동은 동료들에게 영향을 주고 팀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n BC, Lim SW, Kim HK, Rhee HS. The influence factors and effects of self-leadership: Focusing on members of the hospitals.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3;23(1):66-77. http://dx.doi.org/10.4332/KJHPA.2013.23.1.066 

  2. Kang YS, Choi YJ, Park DL, Kim IJ. A study on nurses' selfleadership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143-151. 

  3. Manz CC, Sims HP. The new superleadership: Leading others to lead themselves. San Francisco: Berrett-Koehler Publishers; 2001. p. 127-144. 

  4. Song JS, Yang PS. A study on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Quarterly. 2008;10(1):223-246. 

  5. Won HJ, Cho SH. A review of research on self-leadership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382-393.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3.382 

  6. Lee SJ.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eam effectiveness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999. p. 1-95. 

  7. Weick KE.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ing. 2nd ed. NY: McGraw-Hill; 1979. p. 65-87. 

  8. Houghton J, Neck CP, Manz CC. Self-leadership and super leadership: The heart and the art of creating shared leadership in teams. In Pearce CL, Conger JA, editors. Shared leadership: Reframing the hows and whys of leadership.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2003. p. 123-140. 

  9. Konradt U, Andressen P, Ellwart T. Self-leadership in organizational teams: A multilevel analysis of moderators and mediators.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009;18(3):322-346. http://dx.doi.org/10.1080/13594320701693225 

  10. Spence Laschinger HK, Finegan J, Shamian J. The impact of workplace empowerment, organizational trust on staff nurses' work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ealth Care Management Review. 2001;26(3):7-23. 

  11. Cummings LL, Bromiley P. The organizational trust inventory (OTI): Development and validation. In Kramer R, Tyler T, editors. Trust in organizations. Thousand Oaks: Sage; 1996. p. 302-330. 

  12. Hsu CP, Chiang CY, Chang CW, Huang HC, Chen CC. Enhancing the commitment of nurses to the organisation by means of trust and monetary reward.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5;23:567-576. http://dx.doi.org/10.1111/jonm.12180 

  13. Cho YJ, Park H. Exploring the relationships among trust, employee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ublic Management Review. 2011;4:551-573. http://dx.doi.org/10.1080/14719037.2010.525033 

  14. An N. The effects of co-workers trust on group performance: A mediating role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a moderating role of task interdependence [master's thesis]. Busan: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4. p. 1-108. 

  15. Bligh MC, Pearce CL, Kohles JC. The importance of self and shared leadership in team based knowledge work: A mesolevel model of leadership dynamics.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006;21(4):296-318. 

  16. Manz CC. The art of self-leadership: Strategies for personal effectiveness in your life and work.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3. p. 1-115. 

  17. Kim H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teacher [master's thesis]. Seoul: Soongsil University; 2003. p. 1-83. 

  18. Meyer JP, Allen NJ, Smith CA. Commitment to organizations and occupations: Extension and test of a three-component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93;78:538-551. 

  19. Kim IS, Won SA, Kang SJ, Shin SM. The relationship among nurses' perception of super-leadership,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6;22:148-157. http://dx.doi.org/10.11111/jkana.2016.22.2.148 

  20. Han SJ.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0. p. 1-131. 

  21. Park KN, Park MK. A study on nurses' self-leadership,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nursing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8;14:63-71. 

  22. Choi AS, Oh PJ. A study on self-leadership, fall attitude, and nurses' behavior to prevent patient fal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394-403.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3.394 

  23. Han Y, Park Y.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job involvement on clinical competence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462-469.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4.462 

  24. Ugurluoglu O, Saygili M, Ozer O, Santas F. Exploring the impact of personal factors on self-leadership in a hospital setting.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Planning and Management. 2015;30(1):3-13. http://dx.doi.org/10.1002/hpm.2199 

  25. Choi EJ.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the trust among clinical nurses. Department of Nursing Administration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15. p. 1-73. 

  26. De Jong B, Elfring T. How does trust affect the performance of ongoing teams? The mediating role of reflexivity monitoring and effort.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014;53:535-549. http://dx.doi.org/10.5465/AMJ.2010.51468649 

  27. Jung CS. The effects of the self-leadership enhancing program on nursing student [master's thesis].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5. p. 1-45. 

  28. Park EH. Development and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reinforcement program for hospital nurses [dissertation]. Chunche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16. p. 1-114. 

  29. Im MK. The relationship among type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self-leadership and burnout in operating room [master's thesis]. Seoul: Sungkyunkwan University; 2015. p. 1-65. 

  30. Jeong YK, Yi OK.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Korean Review of Management Consulting. 2012;3(2):53-7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