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셀프리더십에 관한 문헌분석
A Review of Research on Self-leadership in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9 no.3, 2013년, pp.382 - 393  

원효진 (김천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조성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journal articles, master's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on self-leadership in nurses in order to identify overall trends in nursing self-leadership and to suggest strategies to improve self-leadership. Methods: Twenty-six papers on self-leaders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국내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셀프리더십에 관한 연구문헌을 충분히 탐색하여 기존 연구의 현주소를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동일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이고 향후 연구의 과제를 찾아내고자 한다. 또한, 간호사들이 개인의 능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능동성, 자율성, 창의성을 강화시킴으로써 개인의 지속적인 성장을 통해 조직의 성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셀프리더십에 대한 관심이 학문적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임상실무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근 10년간 발표된 간호사 셀프리더십 관련 연구들을 고찰하여 간호사 셀프리더십 함양의 필요성을 제고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간호사를 대상으로 실시된 셀프리더십 관련 연구들을 정리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발표된 간호사 셀프리더십 연구논문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국내 임상현장에서 간호사의 셀프리더십에 대한 관심과 추후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기 위한 연구이다. 따라서 외국에서 발표된 연구결과를 포함시키지 못하였으며, 결과의 해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연구 대상자의 규모나 통계분석방법 등 연구방법의 적절성은 검증하지 못한 제한점을 가진다.
  • 이에 본 연구는 국내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셀프리더십에 관한 연구문헌을 충분히 탐색하여 기존 연구의 현주소를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동일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이고 향후 연구의 과제를 찾아내고자 한다. 또한, 간호사들이 개인의 능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능동성, 자율성, 창의성을 강화시킴으로써 개인의 지속적인 성장을 통해 조직의 성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셀프리더십에 대한 관심이 학문적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임상실무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셀프리더십이란 무엇인가? 셀프리더십은 1980년대 조직 환경의 급속한 변화와 구성원의 가치관 변화 등으로 종전의 전통적인 리더십으로는 더이상 조직의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는 인식이 고조되면서 자기관리의 확대로 Manz가 최초로 제안한 개념이다. 셀프리더십은 스스로 자기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기 위한 과정으로, 자기영향력(self-influence)을 행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고 및 행동 전략을 통틀어 일컫는다. 여기서 셀프(self)의 의미는 ‘자아’의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이는 인간 내부의 기본적인 성향인 ‘자율성’을 강조한 것으로써 타율 지향적인 리더십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Manz & Sims, 1989).
일반적 특성과 관련하여 연령이 증가할수록, 경력이 길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그리고 기혼 간호사가 미혼 간호사보다 셀프리더십 정도가 높게 나온 이유는 무엇인가? 일반적 특성과 관련해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경력이 길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그리고 기혼 간호사가 미혼 간호사보다 셀프리더십 정도가 높았다. 이는 간호사의 연령이 높아지면서 결혼할 확률이 높아지고 경력이 많아지며 자아발전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계속 학습할 가능성도 높아져 간호사 스스로 영향력 있는 전문가가 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일 것이다. 그에 따라 일반적으로 연령이 높은 간호사 집단이 성과를 올릴 수 있는 자율적인 힘이 생겨서 그 영향으로 셀프리더십이 높게 나타난 것이라 사료된다.
간호사가 셀프리더십을 지녀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사는 환자를 대하면서 즉각적인 대처능력과 리더십을 발휘하게 될 기회가 많기 때문에 환자를 대하고 업무를 추진 하는 모든 간호사 개개인이 그 조직을 대표할 수 있는 리더로서 셀프리더십을 지녀야 한다(Korean Nurses Association, 2006). 간호사 개개인이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는 가운데 간호활동 등 전문직으로서 업무처리능력을 발휘하여 업무성과를 높이고 조직유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성과와 목표에 따라 팀이나 조직 구성원에게 자율성과 권한을 부여하고 창의성과 상상력을 강조하는 셀프리더십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nderson, J. S., & Prussia, G. E. (1997). The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Preliminary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The Journal of Leadership Studies, 4, 119-143. 

  2. Cho, K. H. (2003).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about job-satisfaction and outcome of nursing pract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3. Cox, J. F. (1993). The effects of super-leadership training on leader behavior, subordinate self-leadership behavior, and subordinate citizenship.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USA. 

  4. Ha, S. B. (2007). A study on the antecedents and outcomes of subordinate's self-leadersh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5. Hong, I. K. (2011). Nurse's customer orientation and influential fact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6. Houghton, J. D., & Neck, C. P. (2002).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17, 672-691. http://dx.doi.org/10.1108/02683940210450484 

  7. Im, K. M. (2012).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self-efficacy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shin University, Busan, Korea. 

  8. Im, S. I. (2011). Effect of nurse's communication skill and selfleadership on the outcome of nursing pract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9. Jung, M. H. (2012). The effects of preceptor nurses' self-leadership on role recognition and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hmyook University, Seoul, Korea. 

  10. Kang, G. S. (2003). The study on the impact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self-leadership by leadership typolog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eongju University. Cheongju, Korea. 

  11. Kang, S. Y., Kim, S. Y., Doe, H. J., Lee, H. S., Jeon, S. H., Jeon, H. S., et al. (2009). Job-satisfaction of nurse according to the self-leadership. Ewha Nursing Journal, 43, 51-60. 

  12. Kang, Y. S., Choi, Y. J., Park, D. L., & Kim, I. J. (2010). A study on nurses' self-leadership,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 143-151. 

  13. Kim, E. J., Lim, J. Y., & Choi, K. W. (2011). Relations among the decision making style, self-leadership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visiting nurse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1, 324-332. http://dx.doi.org/10.5392/JKCA2011.11.10.324 

  14. Kim, H. K. (2007).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 communication skills, creative behaviors and nursing services on selfleadership among nurses i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3, 25-36. 

  15. Kim, H. K., & Kwak, M. S. (2006).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types, leadership skills and nursing services among nurses i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2, 21-31. 

  16. Kim, H. S.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teach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17. Kim, J. J. (2011).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self-leadership.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lsan University, Ulsan, Korea. 

  18. Kim, J. Y., & Hong, J. Y. (2007). Self-leadership,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 184-190. 

  19. Kim, M. H., Kim, M. S., Chae, S. W., & Kim, Y. S. (2007). Relationship of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and self-leadership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 176-183. 

  20. Kim, M. J. (2011). A study on mediating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 practitioners' core selfevaluation and innovative behaviou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hmyook University, Seoul, Korea. 

  21. Kim, M. S. (2009). Role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formatics competenc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731-740. 

  22. Kim, Y. H., & Lee, Y. M. (2009).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f nurse on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1 (4), 1939-1951. 

  23. Korean Nurses Association. (2006). The power of nursing leadership. Retrieved from http://webzine.koreanurse.or.kr/Webzine/read_article, 45, 8-21. 

  24. Kwon, M. E. (2006). Analysis of controlling effect created by self-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25. Lee, K. M. (2007).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f nurs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26. Lee, J, S. (2010). The relationship on nurses' self-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27. Lee, J. Y. (2012). A study on mediating effects of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 practitioners' self-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hmyook University, Seoul, Korea. 

  28. Lee, S. C. (2010). The effect of empowerment and self-leadership on knowledge sharing among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Korea. 

  29. Manz, C. C. (1983). The art of self-leadership: Strategies for personal effectiveness in your life and work.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30. Manz, C. C. & Sims, H. P. (1980). Self-management as a substitute for leadership: A social learning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5, 361-367. 

  31. Manz, C. C. & Sims, H. P. (1989). Superleadership: Leading others to lead themselves.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32. Min, S., Kim, H. Y., & Kim, E. A. (2011). The controlling effect of LMX in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Korean Academic Associ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1, 385-400. 

  33. Min, S., Jeong, Y. J., Kim, H. S., Ha, S. Y., Ha, Y. J., & Kim, E. A. (2009).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in relationship between self-image and work performance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 355-364. 

  34. Neubert, M. J., & Wu, J. C. (2006). An investigation of the generalizability of the Houghton and Neck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o a Chinese context.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1, 360-373. http://dx.doi.org/10.1108/02683940610663132 

  35. Park, J. H. (2009). The factors that affec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for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36. Park, K. N. (2007). A study on nurses' self-leadership,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nursing perform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Nambu University, Gwangju, Korea. 

  37. Perkins, Dennis N. T. (2005). Leading at the edge: Leadership lessons from the extraordinary saga of Shackleton's antarctic expedition (Choi, J. O.) Seoul: Ddeiindol. 

  38. Prussia, G. E., Anderson, J. S., & Manz, C. C. (1988). Self-leadership and performance outcomes: The moderating influence of self-efficac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9, 523-538. http://www.jstor.org/stable/3100241 

  39. Seo, S. W. (2012). Emotional intelligence, self-leadership, and clinical decision making in intensive care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40. Seomun, G. A. (2005). The relationship of self-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perceived outcome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1, 45-58. 

  41. Seomun, G. A., Chang, S. O., Cho, K. H., Kim, I. A., & Lee, S. J. (2006). The 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and outcome of nurs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2, 151-158. 

  42. Yun, S. W., Cox, J., & Sims, H. P. (2006). The forgotten follower: A contingency model of leadership and follower self 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1, 374-388. http://dx.doi.org/10.1108/026839406106631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