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건축재료의 이산화탄소 배출원단위 변화추이연구
A Study on the Functional Unit Trend of Carbon Dioxide Emission in the Construction Materials between 2000, 2003 and 2005 원문보기

生態環境建築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10 no.5, 2010년, pp.123 - 129  

이강희 (안동대학교 건축공학과) ,  이하식 (안동대학교 건축공학과) ,  양재혁 (동의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the trend of carbon dioxide emission for direct and indirect areas by using inter industry relations table between 2000, 2003 and 2005 in the key building materials and component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terial and components for this study w...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건축재료의 이산화탄소 발생원단위 측면에서 2000년, 2003년, 2005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비교 · 분석하는 것이다.
  • 건축물은 오랜 시간의 수명을 가지는 동시에 짧은 건설기간과 철거기간을 제외한 사용 및 유지관리단계의 긴 라이프싸이클 과정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단계, 사용 및 유지관리단계, 철거 및 해체단계가운데에서 사용되는 건축재료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변화추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20개 부문의 건축재료의 이산화탄소 배출원 단위의 증감추이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00년, 2003년, 2005년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는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건축의 주요재료에 대한 세부적인 항목별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산업부문과 재료선택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고 보인다.

가설 설정

  • 연구의 각 단계별 원단위 DB는 ‘2000년 산업연관표’에 의한 자재생산단계의 원단위와 자재운송단계의 원단위, 시공 장비 및 전력사용에 따른 시공단계의 원단위를 이용하였다. 일정기간 사용 후 개보수를 할 때, 소요되는 재료는 기존의 마감재와 유사한 종류를 사용한다고 가정하여, 이의 에너지 소비량과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산출하였다. 단위 중량당 무게나 목재종류에 따른 밀도를 곱하여 무게를 산출하고 이를 통하여 에너지 소비량과 이산화탄수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축재료의 에너지 소비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어떠한 방법으로 나타낼 수 있는가? 건축재료의 에너지 소비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직접조사,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간접추계 등의 방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 직접조사는 각각의 건축재료에 대한 추적조사를 함으로써 많은 비용과 시간을 요구한다.
건설용 석재는 무엇이 있는가? 건설용 석재에는 크게 화강암, 대리석 등을 들 수 있다. 단위중량당 이산화탄소 배출원단위는 2000년을 제외하고는 비슷한 수준을 형성하고 있다.
화강암, 대리석의 단위중량당 이산화탄소 배출원단위는 얼마인가? 단위중량당 이산화탄소 배출원단위는 2000년을 제외하고는 비슷한 수준을 형성하고 있다. 2005년의 기준으로 화강암과 대리석의 직․간접부문 이산화탄소 배출원단위는 각각 0.7145 ㎏-CO2/㎏, 1.7025 ㎏-CO2/㎏인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이윤규, 이강희(2001), "공동주택의 에너지 소비와 이산화탄소 배출특성", 설비공학논문집 제13권 제9호 

  2. 정보라, 이하식, 최영오, 이강희(2008), "전과정평가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에너지 소비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정",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8 제1권(춘계), pp 235-240 

  3. 김종엽, 이승언, 손장열(2004), "건축물 건설단계에서의 에너 지소비량 및 $CO_2$ 배출량 원단위 산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0권 제10호 (통권 192호), pp 319-326 

  4. 한용섭, 김상대(2005), "구조 계획 측면에서 본 구조 재료별 $CO_2$ 발생량 비교 연구", 대한건축학회 창립 60주년기념 학술 발표대회논문집 제25권제1호(통권 49호), pp 203-206 

  5. 장성문, 이강희, 노삼영, 이경민(2007), "공동주택 개보수에 따 른 건축자재의 에너지 소비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 분석",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7권 제1호(통권 제 5호), pp 801-804 

  6. 이강희, 양재혁(2009), "주요 건축자재의 에너지소비와 이산화 탄소 배출원단위 산정 연구", 대한 건축학회 논문집 제25권 제6호, pp 43-50 

  7. 이강희(2003), "공동주택 건설공사에서의 공종에 대한 LCA적용연구 - 에너지, 이산화탄소, 황화합물 등의 목록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제19권 제2호, pp 27-36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