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요통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Low Back Pain in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7 no.3, 2010년, pp.343 - 350  

성미혜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  서동희 (상계백병원) ,  엄옥봉 (상계백병원 간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low back pain in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ICUs). Methods: A descriptive-correlational design was us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116 nurses from one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us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요통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요통과 간호업무활동, 작업환경, 신체역학 및 일상생활에서의 동작기능장애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요통이 요통발생관련 요인인 간호업무활동, 작업환경, 신체역학 원리의 이용도, 일상생활에서의 동작기능장애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선행연구에서와 같이 중환자실 간호사는 평균정도의 요통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대상자의 23.
  • 요통은 대부분의 경우 근골격계의 병변이 역학적 요인에 기인되어 발생되나 간혹 내장인성 혹은 심인성 등 복잡적인 요인으로 발생되어 정확한 원인규명이 힘들고 치료에 어려움이 많은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Lim & Yi, 2003; Park, 2003). 본 연구에서는 종합병원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16명을 대상으로 중환자실 간호사의 요통경험 정도가 이들의 간호업무활동, 근무환경, 신체역학 원리의 이용도, 일상생활에서의 동작기능장애 정도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파악하였다.
  • 본 연구는 2009년 5월1일부터 5월25일까지 25일 간 서울 P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중환자실간호사(내과, 신경외과, 외과 , 신생아실, 심혈관계, 통합중환자실) 중 수간호사를 제외한 간호사 전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적어도 지난 1년 동안 1회 이상의 요통을 경험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자가 직접 해당 병원의 간호부(과)장과 중환자실 수간호사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였다. 조사에 앞서 인수인계 후 연구자가 해당 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연구 참여에 대한 서면 동의서를 받았다.
  • 그러나, 간호사의 업무 특성 상 이들의 요통은 동작기능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요통과 일상생활에서의 동작기능장애를 함께 측정한 연구는 Lee (2004)와 Yun (2007)의 연구가 있을 뿐이며, 중환자실 간호사의 요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요통경험정도와 일상생활에서의 동작기능장애를 포함한 요통 관련 요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들 요인들이 요통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중환자실 간호사의 요통예방 및 관리를 위한 근거중심의 중재전략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통을 발생시키는 공통요인은? 요통을 발생시키는 공통요인은 성, 결혼, 연령 등과 같은 개인적 요인과 작업 자세나 형태, 작업환경의 인체공학적 측면 등의 직업관련 요인과 음주, 흡연, 운동 등과 같은 건강관련 생활습관 등이 있다(Vieira, Kumar, Coury, & Narayan, 2006; Yu, 2006).
요통이란? 요통은 직업성 질환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요추부위에 나타나는 통증 증후군인데, 요추는 체중의 70% 정도를 떠받들고 있으며 무거운 체중을 지탱하기 때문에 경추나 흉추보다 크기가 넓고 크다. 가벼운 손상으로 인해 인대나 근육이 뻣뻣해지거나 뼈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후관절 및 디스크가 상해서 요통이 생기는데 특히 요추와 천추가 연결되는 부위는 운동을 많이 하고 체중의 부담도 많기 때문에 통증이 크다 (Jang, 2005).
본 연구의 제한점은 중환자실 작업환경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의 신뢰도가 낮은 것인데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통증척도, 간호업무활동, 작업 환경, 신체역학, 일상생활의 동작기능장애 측정도구이었으며, 이외에 일반적 특성과 요통빈도를 조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hn, Y. O., Ryu, G. Y., & Park, B. J. (2002). Manual for medical statistic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 Byrns, G., Reeder, G., Jin, G., & Pachis, K. (2004). Risk factors for work-related low back pain in registered nurses, and potential obstacles in using mechanical lifting device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1(1), 11-21. 

  3. Chang, H. K. (2009). A study on chronic pain, pain coping, and depression according to attributions of somatic symptoms among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 402-411. 

  4. Eo, K. (2001).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their related factors in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5. Fairbank, J. C., & Pynsent, P. B. (2000).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Spine, 25, 2940-2953. 

  6. Harcombe, H., McBride, D., Derrett, S., & Gray, A. (2009). Prevalence and impact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New Zealand nurses, postal workers and office workers.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ublic Health, 33, 437-441. 

  7. Jang, I. T. (2005). Good-by back pain. Goyang: Feelbook. 

  8. Karahan, A., & Bayraktar, N. (2004). Determination of the usage of body mechanics in clinical settings and the occurrence of low back pain in nurs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1(1), 67-75. 

  9. Kim, M. J., Park, J. A., & Shin, S. J. (2008). Pain and pain management in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 161-169. 

  10. Kim, S. R. (2006). Prevention of work related muscle-skeletal diseases for clinical nurses. Seoul: Research for Muscleskeletal management. 

  11. Kim, Y. H., Kim, Y. S., & Ahn, Y. H. (2007). Low back pain and job stress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4(1), 5-12. 

  12. Kwon, S. T., Lee, D. B., & Lee, T. Y. (1991). Occupational low back pain in hospital nurse. Chungnam Medical Journal, 18(2), 147-154. 

  13. Lee. H. J. (2002). The effects of tuina program on nurses with low back pai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 Yang University, Seoul. 

  14. Lee, Y. A. (2004). A study of occupational low back pain (LBP) in general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15. Lee, Y. J. (2002). A study on the physical load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related to working posture with nurses in ICU.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16. Lim, N. Y., & Yi, J. J. (2003). The Effects of Koryo Hand-Acupuncture on the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1), 79-86. 

  17. Menzel, N. N. (2004). Back pain prevalence in nursing personnel: Measurement issues.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52, 54-65. 

  18. Park, M. (2003). A study of the low back pain of nurses at the intensive care units of university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9. The Korean Pain Society (2000). Pain medicine. Seoul: Koonja publishing Company. 

  20. Vieira, E. R,, Kumar, S., Coury, H. J., & Narayan Y. (2006). Low back problems and possible improvements in nursing job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5(1), 79-89. 

  21. Yip, Y. (2001). A study of work stress, patient handling activities and the risk of low back pain among nurses in Hong Ko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6, 794-804. 

  22. Yu, N. (2006). The differences about nursing practice activity, working environment, body mechanic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low back pain group and non low back pain group in ICU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3. Yun, S. J. (2007). Effect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n low back pain of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