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사별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
Predictors of Depression of Widowed Elder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7 no.3, 2010년, pp.382 - 390  

이규은 (관동대학교 간호학과) ,  염영희 (중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health, coping strategies, dependency, suicidal ideation and depression widowed elders, and to identify predictors of depression in this population. Method: The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design us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동안 노인을 대상으로 한 우울관련연구(Hur & Yoo, 2002; Jeon & Kahng, 2009; Jo & Kim, 2008; Jung, 2007; Kim, 2009; Kim, Yoo, & Park, 2009)는 있었지만 사별노인을 대상으로 한 우울관련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별노인을 대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된 지각된 건강상태. 스트레스 대처, 의존성, 자살생각 및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변인을 모두 포함하여 우울과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사별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사별노인의 우울정도를 파악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사별노인의 건강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자료는 2009년 4월 15일부터 2009년 6월 15일까지 대도시인 S시, 중소도시인 G시 및 S시의 노인복지관과 경로당에 다니는 사별노인 162명을 대상으로 도구를 사용하여 지각된 건강상태, 스트레스 대처, 의존성, 자살생각 및 우울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횡단적 자료를 이용하여 사별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스트레스 대처, 의존성, 자살생각 및 우울의 정도를 알아보고, 변수들 간의 관계 및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사별 노인이 경험하는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별노인을 대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된 지각된 건강상태. 스트레스 대처, 의존성, 자살생각 및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변인을 모두 포함하여 우울과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 사용한 Lee (2002)의 도구는 일반노인의 보편적인 스트레스 대처를 확인하는 척도로서 사별 노인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스트레스와 이와 관련된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확인하기에는 어려운 제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로 인해 사별노인의 우울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본 연구의 목적에는 다소 미흡한 점이 있는 도구였다. 추후 우리나라 사별노인이 가진 고유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확인할 수 있는 신뢰도 및 타당도가 확립된 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별노인의 우울정도를 파악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제언하자면? 첫째, 우리나라 전체 사별노인을 대상으로 우울의 영향요인을 대규모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별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종단적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배우자 유무, 성별, 연령, 사별한 연령 및 사별기간에 따라 우울관련 변수의 차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넷째, 사별노인의 자살요인을 예측하기 위한 전향적 연구를 통해 자살요인을 판별해 낼 필요가 있다. 다섯째, 사별노인이 겪는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식을 확인 하는 연구를 통해 사별스트레스 척도와 대처방식 척도의 개발이 필요하다.
노년기 사별로 인해 삶의 부적응을 경험하게 될 때 가장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노년기 사별로 인해 삶의 부적응을 경험하게 될 때 가장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우울인데(Sohn, 2008), 우울은 노인의 자살생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져 있다 (Hur & Yoo, 2002; Jo & Kim, 2008; Kim, 2002). 특히 자살은 2008년 기준 전체 사망원인 5위로 5.
인간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중 가장 큰 스트레스 요인은? 9%로 나타났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6). 배우자의 상실은 인간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중 가장 큰 스트레스 요인으로, 모든 생활전반에 극심한 변화를 초래하고, 재조정을 요구하는 가장 큰 생활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배우자와의 사별은 암, 심근경색 및 지병의 악화 등의 신체적 문제가 될 뿐 아니라 우울, 자살충동 및 정신질환 이환률을 증가시키고 사회적 고립감이나 위축을 야기하며 결국 사망률을 증가시킬 수 있는 중대한 사건이다(Charton, Sheahan, Smith, & Campbell,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E. S. (1999). Construction of dependency model in old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of Korea, Seoul. 

  2. Charton, R., Sheahan, K., Smith, G., & Campbell, I. (2001). Spousal bereavement-implications for health. Family Practice, 18, 614-618. 

  3.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nchner, A. (2007). G 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social, behavioral, and biochem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 39, 175-191. 

  4. Harlow, L. L., Newcomb, M. D., & Bentler, P. M. (1986). Depression, self-derogation, substance use, and suicide ideation: Lack of purpose in life as a mediational factor.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2, 5-21. 

  5. Hensley, P. L., & Clayton, P. J. (2008). Bereavement: sign, symptoms, and course. Psychiartric Annals, 38, 649-654. 

  6. Hobfoll, S. E. (2001). The Influence of culture, community, and the nested self in the stress process: Advancing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50, 337-370. 

  7. Hur, J. S., & Yoo, S. H. (2002). Determinants of depression among elderly persons. Mental Health & Social Work, 13, 7-35. 

  8. Jeon, H. S., & Kahng, S. K. (2009). Predictors of depression trajectory among the elderly: Using the Korean welfare panel dat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 1611-1628. 

  9. Jo, K. H., & Kim, Y. K. (2008). Influencing factors on depression, suicidal thought, and life satisfaction of Korean elde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5, 176-187. 

  10. Jung, Y. M. (2007). Health status and associated factors of depression accoding to depression in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7(1), 71-86. 

  11. Kang. I., & Choi, H. K. (1998). Buffering effect of intrapersonal factors in stress adjustment process of widow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6(4), 95-107. 

  12. Kee, B. S. (1996).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35(2), 298-307. 

  13. Kendler, K. S., Meyers, J., & Zisook, S. (2008). Does bereavement-related major depression differ major depression associated with other stressful life event?.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5, 1449-1455. 

  14. Kim, H. S. (2002). A study on epistemology of Korean elder's suicidal thought.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2(1), 159-172. 

  15. Kim, K. M., & Kim, H. K. (199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endency and perceived family support in elderly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Adult Nursing, 8(1), 110-123. 

  16. Kim, O. S., Yang, K. M., & Kim, K. H. (2005). Dependency, abuse, and depression by gender in widowed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336-343. 

  17. Kim, S. Y., Ko, S. G., & Kwon, J. H. (2007). The moderating effect of support and coping on widowed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6, 573-596. 

  18. Kim, Y. J. (2009).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s on the decrease of depression of the rural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6, 77-104. 

  19. Kim, Y. S., Yoo, M. S., & Park, J. H. (2009).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with low incom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 1313-1325. 

  20.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NSO). (2006). Statistics for Korean aged people. Retrieved February 23, 2010 from Website: http://www.kostat.go.kr/nso_main/nsoMainAction.do?methodsearch&catgrpnso2009&catid1k09_0000&catid2k09i_0000&forwardsearch 

  2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NSO). (2009). 2008 Statistics for Cause of Death. Seoul: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2. Lee, J. Y. (2002). A study on the stress and the coping behavior of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ju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Konju. 

  23.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8). 2007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Statistical Yearbook. Seoul: MHWEA. 

  24. Sheikh, J. A., & Yesavage, J. A. (1986).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 Recent findings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In: Brink, T. L., (Ed), Clinical Gerontogogy: A guide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pp. 165-173). New York: The Haworth Press. 

  25. Shin, K. R., Kim, O. S., & Kim, M. Y. (2005). Collection of measurement for geriatric nursing. Seoul: Hyunmoonsa. 

  26. Sohn, E. S. (2008). A study on religious participation, coping resources and depression among the bereaved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1, 183-204. 

  27. Speake, D. L., Cowart, M. E., & Pellet, K. (1989). Health perceptions and lifestyles of the elderly.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2(2), 93-100 

  28. Takkinen, S., Gold, C., Pederson, N. L., Malmberg, B., Nillson, S., & Rovine, M. (2004). Gender differences in depression: A study of older unlike-sex twins. Aging & Mental Health, 8(3), 187-195. 

  29. Ziook, S. (1991). Depression through the first year after the death of a spous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8(13), 46-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