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구조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3 no.1, 2013년, pp.81 - 90  

최수정 (삼성서울병원) ,  김금순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tes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QOL) of men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in order to identify parameters affecting QOL and provide guidelines for interventions and strategies to improve QOL in these patients. Methods: Model constr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토대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설명하는 영향요인들을 종합하여 가설적 모형을 구축한 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대상으로 횡단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모형의 적합성과 모형에서 제시된 가설을 검증하는 구조모형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을 위한 삶의 질 모형을 구축하고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직접적, 간접적 경로를 도출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 이상으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삶의 질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직·간접적 경로에 대해 논의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규명된 인구학적 특성, 생리적 요인과 증상 외에 인지적 평가와 사회적 지지 등을 포함시켜 삶의 질 모형을 구성한 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발생빈도가 높고 사회활동이 많은 성인 남성 환자들에게 적용하여 관련 요인들 간의 직접적, 간접적 경로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구조모형 검증을 통해 향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의 삶의 질 증진 전략을 계획하고 관련 중재를 시행할 때 적절한 접근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Wilson과 Cleary (1995)의 건강관련 삶의 질 모형을 기초로 나이, 생리적 요인, 사회적 지지, 인지적 평가, 증상 등이 직·간접적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 하에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경로를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국내 40세 이상 성인에게 어떤 유병률을 보이는가? 수면 중 상기도의 일부 또는 전체가 폐쇄되어 무호흡이나 호흡저하가 초래되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은 국내 40세 이상 성인 남성의 27%, 여성의 16%의 유병률을 보이는 만성적 수면장애이다(Kim et al., 2004).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무엇의 원인이 되는가? , 2004).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호흡장애로 인한 수면의 질 저하, 과도한 주간졸림, 집중력 저하가 흔히 나타나 운전이나 업무 중 안전사고 빈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Jennum & Kjellberg, 2011). 이 외에도 두통, 우울 및 인지기능 저하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수면 중 간헐적 저산소증이 만성화되면 고혈압, 부정맥, 심부전, 심근경색증, 뇌졸중과 같은 심뇌질환, 당뇨병이나 갑상선질환과 같은 내분비질환이나 위식도 역류증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도 알려져 있다(Collop, 2007).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지닌 환자가 수면 중 간헐적 저산소증이 만성화되면 어떤 합병증이 유발되는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호흡장애로 인한 수면의 질 저하, 과도한 주간졸림, 집중력 저하가 흔히 나타나 운전이나 업무 중 안전사고 빈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Jennum & Kjellberg, 2011). 이 외에도 두통, 우울 및 인지기능 저하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수면 중 간헐적 저산소증이 만성화되면 고혈압, 부정맥, 심부전, 심근경색증, 뇌졸중과 같은 심뇌질환, 당뇨병이나 갑상선질환과 같은 내분비질환이나 위식도 역류증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도 알려져 있다(Collop, 2007). 따라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단순히 코골이 정도로 무시할 사소한 증상이 아니며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 사고발생 증가와 합병증 등으로 인해 환자들의 정신적, 육체적, 사회적 활동에 제한을 줄 수 있어, 다른 만성질환과 마찬가지로 환자들의 삶의 질을 감소시키는 질환이다(Jennum&Kjellberg, 2011; Ye, Liang,&Weaver,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kashiba, T., Kawahara, S., Akahoshi, T., Omori, C., Saito, O., Majima, T., et al. (2002).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mood or depression in patients with severe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Chest, 122(3), 861-865. http://dx.doi.org/10.1378/chest.122.3.861 

  2.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2005).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Diagnostic and coding manual (2nd ed.). Westchester, IL: Author. 

  3. Bae, B. R. (201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9: Principles and practice. Seoul: CheongRam Publishing. 

  4. Balsevicius, T., Uloza, V., Sakalauskas, R., & Miliauskas, S. (2012). Peculiarities of clinical profile of snoring and mild to moderate obstructive sleep apnea-hypopnea syndrome patients. Sleep & Breathing, 16(3), 835-843. http://dx.doi.org/10.1007/s11325-011-0584-z 

  5. Beck, A. T., Steer, R. A., & Brown, G. K. (1996). Manual for the BDI-II,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San Antonio, TX: Psychological Corporation. 

  6. Bixler, E. O., Vgontzas, A. N., Lin, H. M., Calhoun, S. L., Vela-Bueno, A., & Kales, A. (2005).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in a general population sample: The role of sleep apnea, age, obesity, diabetes, and depression.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90(8), 4510-4515. http://dx.doi.org/10.1210/jc.2005-0035 

  7. Charlson, M. E., Pompei, P., Ales, K. L., & MacKenzie, C. R. (1987). A new method of classifying prognostic comorbidity in longitudinal studi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Chronic Diseases, 40(5), 373-383. http://dx.doi.org/10.1016/0021-9681(87)90171-8 

  8. Collop, N. (2007). The effect of obstructive sleep apnea on chronic medical disorders. Cleveland Clinic Journal of Medicine, 74(1), 72-78. http://dx.doi.org/10.3949/ccjm.74.1.72 

  9. Ferrans, C. E., Zerwic, J. J., Wilbur, J. E., & Larson, J. L. (2005). Conceptual model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7(4), 336-342. http://dx.doi.org/10.1111/j.1547-5069.2005.00058.x 

  10. Flemons, W. W., & Reimer, M. A. (1998). Development of a disease-specific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for sleep apnea.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58(2), 494-503. 

  11. Gelinas, C., & Fillion, L. (2004). Factors related to persistent fatigue following completion of breast cancer treatment. Oncology Nursing Forum, 31(2), 269-278. http://dx.doi.org/10.1188/04.onf.269-278 

  12. Jennum, P., & Kjellberg, J. (2011). Health, social and economical consequences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A controlled national study. Thorax, 66(7), 560-566. http://10.1136/thx.2010.143958 

  13. Johns, M. W. (1991). A new method for measuring daytime sleepiness: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14(6), 540-545. 

  14. Kapur, V., Strohl, K. P., Redline, S., Iber, C., O'Connor, G., & Nieto, J. (2002). Underdiagnosis of sleep apnea syndrome in U.S. communities. Sleep & Breathing, 6(2), 49-54. http://dx.doi.org/10.1007/s11325-002-0049-5 

  15. Karademas, E. C. (2006).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well-being: The mediating role of optimis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0(6), 1281-1290. 

  16. Kim, J., In, K., You, S., Kang, K., Shim, J., Lee, S., et al. (2004). Prevalence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in middle-aged Korean men and women.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70(10), 1108-1113. http://dx.doi.org/10.1164/rccm.200404-519OC 

  1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January 1).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2] data. Retrieved February 15, 2010, from http://knhanes. cdc.go.kr/ 

  18. Marin, J. M., Carrizo, S. J., Vicente, E., & Agusti, A. G. (2005). Long-term cardiovascular outcomes in men with obstructive sleep apnoea-hypopnoea with or without treatment with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An observational study. Lancet, 365(9464), 1046-1053. http:// dx.doi.org/10.1016/s0140-6736(05)71141-7 

  19. Morin, C. M. (1993). Insomnia: Psychological assessment and management. New York: Guilford Press. 

  20. Morin, C. M., Vallieres, A., & Ivers, H. (2007). Dysfunctional beliefs and attitudes about sleep (DBAS): Validation of a brief version (DBAS-16). Sleep, 30(11), 1547-1554. 

  21. Pepin, J. L., Viot-Blanc, V., Escourrou, P., Racineux, J. L., Sapene, M., Levy, P., et al. (2009). Prevalence of residual excessive sleepiness in CPAPtreated sleep apnoea patients: The French multicentre study.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33(5), 1062-1067. http://dx.doi.org/10.1183/09031 936.00016808 

  22. Pinto, L. R., Jr., Pinto, M. C., Goulart, L. I., Truksinas, E., Rossi, M. V., Morin, C. M., et al. (2009). Sleep perception in insomniacs, sleep-disordered breathing patients, and healthy volunteers--an important biologic parameter of sleep. Sleep Medicine, 10(8), 865-868. http://dx.doi.org/10.1016/j. sleep.2008.06.016 

  23. Salaffi, F., Carotti, M., Gasparini, S., Intorcia, M., & Grassi, W. (2009).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rheumatoidarthritis, ankylosing spondylitis, and psoriatic arthritis: A comparison with a selected sample of healthy people.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7, 25. http://dx. doi.org/10.1186/1477-7525-7-25 

  24. Smith, S., Sullivan, K., Hopkins, W., & Douglas, J. (2004). Frequency of insomnia report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oea hypopnea syndrome (OSAHS). Sleep Medicine, 5(5), 449-456. http://10.1016/j.sleep.2004.03.005 

  25. Strine, T. W., Chapman, D. P., Balluz, L., & Mokdad, A. H. (2008).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health behaviors by social and emotional support. Their relevance to psychiatry and medicine.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43(2), 151-159. http://dx.doi.org/10.1007/s00127-007-0277-x 

  26. Vozoris, N. T., & Leung, R. S. (2011). Sedative medication use: Prevalence, risk factors, and associations with body mass index using populationlevel data. Sleep, 34(7), 869-874. http://dx.doi.org/10.5665/sleep.1116 

  27. Weaver, E. M., Woodson, B. T., & Steward, D. L. (2005). Polysomnography indexes are discordant with quality of life, symptoms, and reaction times in sleep apnea patients. Otolaryngology - Head and Neck Surgery, 132(2), 255-262. http://dx.doi.org/10.1016/j.otohns.2004.11.001 

  28. Wilson, I. B., & Cleary, P. D. (1995). Linking clinical variables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 conceptual model of patient outcome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73(1), 59-65. 

  29. Ye, L., Liang, Z. A., & Weaver, T. E. (2008). Predi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oea.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3(1), 54-63.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8.046 52.x 

  30.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 Farley, G. K. (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1), 30-41. http://dx.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