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고위험신생아의 의식수준 사정을 위한 Infants Coma Scale의 개발과 적용
Evaluation of Mental Status in High-Risk Neonates using Infants Coma Scal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0 no.4, 2010년, pp.561 - 570  

안영미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손민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이상미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was a cross sectional descriptive study to introduce the Infants Coma Scale (ICS), describe mental status of high risk infants using ICS and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ICS and clinical variables in infants hospitalized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a university hospital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주로 병리적 상태의 의식수준 측정에 사용된 기존의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고위험신생아에게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의식수준사정 도구인 Infants Coma Scale을 개발하여 임상적 적용을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첫째, 고위험신생아의 의식수준사정을 위해 Infants Coma Scale (ICS)를 개발하고, 둘째, ICS의 도구 평가를 위해 신경상태와 관련된 임상변수들과의 관계를 통해 ICS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 따라서 연구는 아동용 GCS를 수정 및 보완한 ICS를 개발하여 이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고위험신생아의 의식수준을 평가하고 관련된 임상변수들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재태기간이 길수록, 출생 시 체중이 무거울수록, 출생 후 1분 및 5분 Apgar 점수가 높을수록, 자료 수집 시의 체중이 무거울수록 ICS 총점이 높음을 보였다.
  • 본 연구는 고위험신생아의 의식수준사정도구를 소개하고 임상적 관련 특성과의 관계를 통해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한 횡적 탐색연구이다.
  • 신생아의 의식과 행동반응은 외부자극에 대한 반응이자 자기항상성유지를 위한 각성상태로 신경학적 기능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이다(Als, 1991). 본 연구는 아동용 GCS를 근간으로 신생아의 의식수준 사정도구인 ICS를 개발하고 고위험신생아의 의식수준과 관련된 임상적 특성과의 관계 분석을 통해 임상적 적용을 탐색하였다.
  • 이때 이들의 낮은 의식수준은 의료진에서 ‘반응이 없는 것’으로 해석되어 더욱더 심한 자극의 악순환이 되기 쉽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숙아나 호흡장애가 있는 신생아는 자극에 대해 별 반응을 보이지 않는 상대적으로 낮은 의식수준을 보이므로 자극과 통증관리에 더욱 유의해야 함을 재강조한다.
  • 그리고 이를 위한 고위험신생아의 의식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주로 병리적 상태의 의식수준 측정에 사용된 기존의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고위험신생아에게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의식수준사정 도구인 Infants Coma Scale을 개발하여 임상적 적용을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첫째, 고위험신생아의 의식수준사정을 위해 Infants Coma Scale (ICS)를 개발하고, 둘째, ICS의 도구 평가를 위해 신경상태와 관련된 임상변수들과의 관계를 통해 ICS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가설 설정

  • 이는 단일 자극보다는 통합적 자극에 대한 자기조절능력이 신생아의 의식수준사정에 훨씬 의미 있는 내용이기 때문이다(Als, 1991). 또한 언어반응의 경우, 신생아는 주로 얼굴구강반응을 보이고, 영아는 소리에 의한 언어반응을 보이는데, 본 연구는 신생아 대상 연구이므로 얼굴구강반응으로 국한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에서는 신생아와 영아의 주 반응표현은 다르나 모두 가능하다는 점에서 신생아용 ICS는 이 둘을 다 포함하는 것으로 정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사용지침에 기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피질의 수상돌기가 왕성히 발달하는 시기는? 신생아집중치료를 받는 미숙아를 포함한 고위험신생아의 의식 및 행동상태 사정은 이들의 뇌신경상태와 성숙정도를 반영한다. 특히 재태기간 20주부터 2세까지는 뇌피질의 수상돌기(dendrites)가 왕성히 발달하는 시기로(Merenstein & Gardner, 1998), 이 시기에 심각한 호흡장애 및 순환장애, 감염 등으로 저산소증을 경험하는 경우 뇌신경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신생아의 의식수준과 행동상태는 이들의 신경학적 상태, 현재 및 추후 치료효과, 발달상태 등을 알기위한 중요한 자료이므로(Merenstein & Gardner, 1998) 간호사정의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신생아집중치료를 받는 미숙아를 포함한 고위험신생아의 의식 및 행동상태 사정은 무엇을 반영하는가? 최근 생활수준의 선진화, 의과학의 발달, 사회의료지원의 증가 등으로 인해 미숙아를 포함한 많은 고위험신생아들이 생존하여 신생아집중치료를 받고 있다. 신생아집중치료를 받는 미숙아를 포함한 고위험신생아의 의식 및 행동상태 사정은 이들의 뇌신경상태와 성숙정도를 반영한다. 특히 재태기간 20주부터 2세까지는 뇌피질의 수상돌기(dendrites)가 왕성히 발달하는 시기로(Merenstein & Gardner, 1998), 이 시기에 심각한 호흡장애 및 순환장애, 감염 등으로 저산소증을 경험하는 경우 뇌신경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Glasgow Coma Scale의 문제점은? 의식수준을 사정하는 도구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Teasdale과 Jennett (1974)이 개발한 Glasgow Coma Scale (GCS)로 이는 뇌손상 환자의 의식을 평가하며 진단예후로도 사용되는 표준화 도구이다(Behrman & Kliegman, 2002). 그러나 GCS의 사정 영역 중 언어반응은 아직 언어 발달이 이루어지지 않은 아동에게 적용하는데 제한이 있으며, 운동반응 역시 아동의 행동 특성이 고려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GCS의 언어반응과 운동반응을 아동의 연령에 맞게 조금씩 수정하여, 이들의 의식수준사정에 사용하였는데 Modified GCS, Pediatric GCS, 또는 James GCS 등이 그 예이다(Behrman & Kliegman, 2002; Hah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Y.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states and pain responses to various NICU procedures in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Tropical Pediatrics, 52, 201-205. 

  2. Ahn, Y., & Garruto, R. M. (2007). Weight variation by sex and nature of risk factors in high-risk infants: An evolutionary perspective. Collegium Antropologicum, 31, 937-941. 

  3. Ahn, Y., Kang, H., & Shin, E. (2005). Pain assessment using CRIES, FLACC and PIPP in high-risk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1401-1409. 

  4. Als, H. (1991). Neurobehavioral organization of the newborn: Opportunity for assessment and intervention. NIDA Research Monography, 114, 106-116. 

  5. Anand, K. J. (2001). Consensus statement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ain in the newborn. Archives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55, 173-180. 

  6. Behrman, R. E., & Kliegman, R. M. (2002). Nelson essentials of pedi-atrics. Philadelphia: Saunders. 

  7. Burns, N., & Grove, S. K. (2007). Understanding nursing research. Building an evidence-based practice. Philadelphia, PA: Saunders. 

  8. Curley, M. A., Harris, S. K., Fraser, K. A., Johnson, R. A., & Arnold, J. H. (2006). State behavioral scale: A sedation assessment instrument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supported on mechanical ventilation. Pediatric Critical Care Medicine, 7, 107-114. 

  9. Euser, A. M., de Wit, C. C., Finken, M. J., Rijken, M., & Wit, J. M. (2008). Growth of preterm born children. Hormone Research, 70, 319-328. 

  10. Grunau, R. E., Holsti, L., & Peters, J. W. (2006). Long-term consequences of pain in human neonates. Seminars in Fetal & Neonatal Medicine, 11, 268-275. 

  11. Hahn, Y. S., Chyung, C., Barthel, M. J., Bailes, J., Flannery, A. M., & McLone, D. G. (1988). Head injuries in children under 36 months of age. Demography and outcome. Child's Nervous System, 4, 34-40. 

  12. Holmes, J. F., Palchak, M. J., MacFarlane, T., & Kuppermann, N. (2005). Performance of the pediatric Glasgow Coma Scale in children with blunt head trauma. Academic Emergency Medicine, 12, 814-819. 

  13. Jee, J. I., Choi, J. O., Cho, E. Y., Lee,, M. S., Lee, H. S., Lee, O. K., et al. (1994). Neurosonographic findings and neurodevelopmental outcome in infants of less than 1500 g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Ultrasound in Medicine, 13, 42-46. 

  14. Joung, K. H., Yoo, I. Y., Kim, H. S., Kim, S., & Lee, J. H. (2006). Effects of non-nutritive sucking on the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states of pre-term infants during tube feed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732-741. 

  15. Kim, H. H. (2010). Bilirubin variation by oxygen supply in newborns at bir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0). Korea national statistics. Retrieved January 15, 2010, from http://www.kosis.kr 

  16. Lee, J. A., Kang, J. S., Cho, Y. H., Hong, K. S., Kwon, O. M., & Jung, M. S. (2001). Effects of nonnutritive sucking on behavioral state and physiological response of premature infants receiving heel stick.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7, 123-140. 

  17. Merenstein, G. B., & Gardner, S. L. (1998). Handbook of neonatal intensive care. New York, NY: Mosby. 

  18. Nayana, P. P., Nalini, P., & Serane, T. V. (2003). Role of Glasgow Coma Scale in pediatric nontraumatic coma. Indian Pediatrics, 40, 620-625. 

  19. Odd, D. E., Lewis, G., Whitelaw, A., & Gunnell, D. (2009). Resuscitation at birth and cognition at 8 years of age: A cohort study. Lancet, 373, 1615-1622. 

  20. Park, J. H., & Park, H. R. (2007). Effects of nonnutritive sucking on heart rate, oxygen saturation and behavioral state in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3, 299-307. 

  21. Prasad, M. R., Ewing-Cobbs, L., Swank, P. R., & Kramer, L. (2002). Predictors of outcome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in young children. Pediatric Neurosurgery, 36(2), 64-74. 

  22. Simpson, D. A., Cockington, R. A., Hanieh, A., Raftos, J., & Reilly, P. L. (1991). Head injuries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value of the Paediatric Coma Scale. Review of literature and report on a study. Child's Nervous System, 7, 183-190. 

  23. Szekeres-Bartho, J. (2002). Immun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 and the fetus. International Reviews of Immunology, 21, 471-495. 

  24. Tatman, A., Warren, A., Williams, A., Powell, J. E., & Whitehouse, W. (1997). Development of a modified Paediatric Coma Scale in intensive care clinical practice.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77, 519-521. 

  25. Teasdale, G., & Jennett, B. (1974). Assessment of coma and impaired consciousness. A practical scale. Lancet, 2, 81-84. 

  26. Walden, M., & Carrier, C. (2009). The ten commandments of pain assessment and management in preterm neonates. Critical Car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21, 235-252. 

  27. White, R. D. (2007). Recommended standards for the newborn ICU. Journal of Perinatology, 27 (Suppl 2), S4-S19. 

  28. Yeom, M. K. (2009). The effects of maternal heart sound on the body weight, physiological reactions and behavioral state of preterm infa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29. Zeitlin, J., Saurel-Cubizolles, M. J., De Mouzon, J., Rivera, L., Ancel, P. Y., Blondel, B., et al. (2002). Fetal sex and preterm birth: Are males at greater risk? Human Reproduction, 17, 2762-27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