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위험신생아의 생후 초기 표피 pH, 온.습도와 산성덮개 형성 요인
pH, Temperature, Hydration of the Stratum Corneum of the Dorsal Hand and the Cord Area, and Acid Mantle Formation during Early Days of life in High-risk Newborn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3 no.1, 2013년, pp.30 - 38  

안영미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손민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이상미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이미진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explore variations in physiologic parameters of the stratum corneum (SC) of the dorsal hand and cord area during early days of life in high-risk newborns. Methods: In this longitudinal study, a total of 77 high-risk newborns were assessed for pH, temperature and hydrat...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위험아를 대상으로 생후 일주일 간의 손등과 제대부위에서 표피의 안정화와 장벽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pH, 온도, 습도를 종적으로 측정하고 영향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첫째, 생후 일주일 동안 표피와 제대부위의 pH,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그 변화와 상호관계를 탐색하고, 둘째, 표피와 제대 부위의 산성덮개 형성과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 , 2010). 본 연구는 고위험아의 생후 초기 표피에도 유사한 현상이 발생함을 보임에 따라 표피산성화와 수분 유지의 중요성을 재강조한다.
  • 본 연구는 미숙아를 포함한 고위험아를 대상으로 출생 후 일주일 간 이들의 표피 및 제대부위의 pH, 온도 및 습도를 전향적 종적으로 분석하여 산성덮개 형성과 관련 요인을 탐색한 관찰연구이다.
  • 5정도에 이르러 산성덮개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chmid-Wendtner & Korting, 2006). 본 연구는 미숙아를 포함한 고위험아의 표피 pH가 생후 일주일 동안 어떻게 감소하는지에 대한 정량적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또한 생후 7일 동안 표피습도는 32-35%내에서 약간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표피온도는 섭씨 27에서 거의 변화가 없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 유전질환, 피부질환, 제대탈장, 제대기형, 제대삽입관을 가지고 있는 신생아는 일반적 피부 및 제대간호 적용에 한계가 있어 연구대상자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의 적정 표본수 산출과 관련하여 고위험아의 생후 일에 따른 온도, 습도, pH 변화와 관련된 연구를 찾아보기 어려워 NICU 입원신생아 24명을 대상으로 생후 나이(일), 손등 pH와 온도 간 관계에 대한 단면적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pH와 온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진 않았으나 r= -.
  • 본 연구는 고위험아를 대상으로 생후 일주일 간의 손등과 제대부위에서 표피의 안정화와 장벽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pH, 온도, 습도를 종적으로 측정하고 영향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첫째, 생후 일주일 동안 표피와 제대부위의 pH,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그 변화와 상호관계를 탐색하고, 둘째, 표피와 제대 부위의 산성덮개 형성과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생아에게 피부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신생아 피부는 외부와 소통하는 첫 관문으로 체중의 13%에 달하는 넓은 체표면적을 형성하여 독성물질 및 균 침입예방, 체액균형조절 등 생존에 필수적인 면역기능을 담당한다(Hoeger & Enzmann, 2002). 신생아 피부는 정상적으로 일정 온도의 중성 멸균양수 내에 있다가 출생과 함께 외부 온도와 공기에 노출되어 생리적인 각질화 과정을 거쳐 pH 5.
신생아 표피의 장벽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신생아 표피의 장벽기능은 출생과 함께 상온에 노출되면서 성숙되는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표피의 pH, 온도, 습도, 인종, 노화, 스트레스, 침수이다(Leeet al., 2010).
현재 선진 의료에서 사용하는 제대관리 방법은 무엇인가? , 2003). 그러나 건강한 신생아의 제대와 피부에 무분별한 항균제사용은 표피 pH를 변화시켜 표피장벽기능을 손상시키므로 오늘날 선진의료환경에서의 표준 제대간호는 물을 사용한 청결건조이다(Zupan, Garner, & Omari,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hn, Y., & Shin, E. (2007). Assessment of hydration on the stratum corneum and the influencing factors in neonat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5), 781-789. 

  2. Behrendt, H., & Green, M. (1958). Skin pH pattern in the newborn infant. AMA Journal of Diseases of Children, 95(1), 35-41. http://dx.doi. org/10.10 01/archpedi.1958.02060050037006 

  3. Capone, K. A., Dowd, S. E., Stamatas, G. N., & Nikolovski, J. (2011). Diversity of the human skin microbiome early in life.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31(10), 2026-2032. http://dx.doi.org/10.1038/jid.2011.168 

  4. Cartlidge, P. (2000). The epidermal barrier. Seminars in Neonatology, 5(4), 273-280. http://dx.doi.org/10.1053/siny.2000.0013 

  5. Chiou, Y. B., & Blume-Peytavi, U. (2004). Stratum corneum maturation. A review of neonatal skin function. Skin Pharmacology and Physiology, 17(2), 57-66. http://dx.doi.org/10.1159/000076015 

  6. Curley, M. A. Q., & Moloney-Harmon, P. A. (2001). Critical care nursing for infants and children (2nd ed.). Philadelphia: W. B. Saunders Company. 

  7. Fluhr, J. W., Darlenski, R., Taieb, A., Hachem, J. P., Baudouin, C., Msika, P., et al. (2010). Functional skin adaptation in infancy-almost complete but not fully competent. Experimental Dermatology, 19(6), 483-492. http:// dx.doi.org/10.1111/j.1600-0625.2009.01023.x 

  8. Fox, C., Nelson, D., & Wareham, J. (1998). The timing of skin acidification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Journal of Perinatology, 18(4), 272-275. 

  9. Gardner, S. L., Carter, B., Enzman-Hines, M. I., & Hernandez, J. A. (2011). Merenstein & Gardner's handbook of neonatal intensive care (7th ed.). St. Louis, MO: Mosby. 

  10. Hoeger, P. H., & Enzmann, C. C. (2002). Skin physiology of the neonate and young infant: A prospective study of functional skin parameters during early infancy. Pediatric Dermatology, 19(3), 256-262. 

  11. Knobel, R. B., Guenther, B. D., & Rice, H. E. (2011). Thermoregulation and thermography in neonatal physiology and disease. Biological Research for Nursing, 13(3), 274-282. http://dx.doi.org/10.1177/10998004 11403467 

  12. Lashkari, H. P., Chow, P., & Godambe, S. (2012). Aqueous 2% chlorhexidine- induced chemical burns in an extremely premature infant.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Fetal and Neonatal Edition, 97(1), F64. http://dx.doi.org/10.1136/adc.2011.215145 

  13. Lee, J. Y., Koscheyev, V. S., Kim, J. H., & Warpeha, J. M. (2009). Thermal dynamics of core and periphery temperature during treadmill sub-maximal exercise and intermittent regional body cool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16(2), 89-100. 

  14. Lee, S. H., Lee, S. E., An, S. K., Hong, S. P., Kim, H. J., Lee, H. K., et al. (2010). Skin barrier. Seoul: Ryo Moon Gak. 

  15. Mancini, A. J. (2004). Skin. Pediatrics, 113(Suppl 4), 1114-1119. 

  16. Peck, S. M., & Botwinick, I. S. (1964). The buffering capacity of infants' skins against an alkaline soap and a neutral detergent. Journal of the Mount Sinai Hospital, New York, 31, 134-137. 

  17. Pezzati, M., Rossi, S., Tronchin, M., Dani, C., Filippi, L., & Rubaltelli, F. F. (2003). Umbilical cord care in premature infants: The effect of two different cord-care regimens (salicylic sugar powder vs chlorhexidine) on cord separation time and other outcomes. Pediatrics, 112(4), e275. http://dx.doi.org/10.1542/peds.112.4.e275 

  18. Reynolds, P. R., Banerjee, S., & Meek, J. H. (2005). Alcohol burns in extremely low birthweight infants: Still occurring.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Fetal and Neonatal Edition, 90(1), F10. http://dx.doi.org/ 10.1136/adc.2004.054338 

  19. Rutter, N. (2000). The dermis. Seminars in Neonatology, 5(4), 297-302. http://dx.doi.org/10.1053/siny.2000.0016 

  20. Sahni, R., Schulze, K. F., Ohira-Kist, K., Kashyap, S., Myers, M. M., & Fifer, W. P. (2010). Interactions among peripheral perfusion, cardiac activity, oxygen saturation, thermal profile and body position in growing low birth weight infants. Acta Paediatrica, 99(1), 135-139. http://dx.doi. org/10.1111/j.1651-2227.2009.01514.x 

  21. Schmid-Wendtner, M. H., & Korting, H. C. (2006). The pH of the skin surface and its impact on the barrier function. Skin Pharmacology and Physiology, 19(6), 296-302. http://dx.doi.org/10.1159/000094670 

  22. Stamatas, G. N., Nikolovski, J., Mack, M. C., & Kollias, N. (2011). Infant skin physiology and development during the first years of life: A review of recent findings based on in vivo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Cosmetic Science, 33(1), 17-24. http://dx.doi.org/10.1111/j.1468-2494.20 10.00611.x 

  23. Visscher, M., Odio, M., Taylor, T., White, T., Sargent, S., Sluder, L., et al. (2009). Skin care in the NICU patient: Effects of wipes versus cloth and water on stratum corneum integrity. Neonatology, 96(4), 226-234. http://dx.doi.org/10.1159/000215593 

  24. Yosipovitch, G., Maayan-Metzger, A., Merlob, P., & Sirota, L. (2000). Skin barrier properties in different body areas in neonates. Pediatrics, 106(1), 105-108. http://dx.doi.org/10.1542/peds.106.1.105 

  25. Zupan, J., Garner, P., & Omari, A. A. (2004). Topical umbilical cord care at birth.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CD001057. http:// dx.doi.org/10.1002/14651858.CD001057.pub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