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지역에 거주하는 암환자의 삶의 질, 정신건강 및 주관적 건강상태 조사
Survey on Quality of Life, Mental Health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4 no.1, 2010년, pp.49 - 60  

이보영 (강원대학교 의료관리학과, 강원지역암센터) ,  조희숙 (강원대학교 의료관리학과, 강원지역암센터 암관리사업) ,  권명숙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of life, mental health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Methods: Subjects were 212 out-patients with cancer at Kangwon University Hospital.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10 to August 14, 2008. Quality of life as de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통원치료를 받고 있는 암환자의 일반적 특성, 질환 관련 특성과 삶의 질, 정신건강, 주관적 건강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암환자에게 적합한 간호 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G지역에 거주하는 암환자의 일반적 특성, 질환 관련 특성과 삶의 질, 정신건강과 주관적 건강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횡단면적 조사 연구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G지역에 거주하는 암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환 관련 특성 및 삶의 질을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신건강과 주관적 건강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횡단면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암환자의 일반적 특성, 질환 관련 특성, 삶의 질, 정신건강과 주관적 건강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그들에게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K대학 병원에 외래진료를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2008년 7월 10일부터 8월 14일까지 암 진단 후 4개월 이상 된 성인 2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 되는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에서는 삶의 질의 어느 부분에 가장 많은 문제가 있다고 호소하는지를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신건강과 주관적 건강상태를 파악하는데 그쳤고 질병과 관련된 특성에 따른 정신건강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차이를 보지 못하였다. 따라서 추후에는 삶의 질, 정신건강,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변수들 간의 상호관계를 파악하고 각 변수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직접적인 중재전략으로까지 연결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승인을 받은 후 수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암 진단 후 4개월 이상이면서 조사에 동의한 대상으로 그들의 권리와 역할에 대해 설명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훈련받은 연구보조원 4인이 212명을 대상으로 자가 기입과 면접방식을 병행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암의 조기발견과 치료기술의 발달로 인해 “불치병”이 아닌 “만성병'이란 개념으로 바뀌고 있지만 아직도 암의 진단과 치료과정은 암환자의 삶의 질과 정신건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Jo & Kim, 1997)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암환자의 일반적 특성, 질환 관련 특성과 삶의 질, 정신건강과 주관적 건강상태를 파악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암환자의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un, M. S., Lee, E. H., Moon, D. M., Kang, S. H., & Ryu, H. S. (2005). Med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on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ervix cancer. J Korean Soc Ther Radiol Oncol, 23, 201-210. 

  2. Jeong, J. H. (2003).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radiation therap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3. Jo, K. W., & Kim, M. J. (1997).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family support and hope of hospitalized and home care cancer patients. J Korean Acad Nurs, 27, 353-63. 

  4. Ju, M. J., & Sohn, S. K. (2008).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hospitalized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J Korean Oncol Nurs, 8(1), 32-39. 

  5. Kang, J. I., & Namkoong, K. (2007). Psychosocial aspects and mental health in cancer patient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46(5), 421-429. 

  6. Kim, C. N., Shin, A. M., Park, K. M., Park, M. H., & Kim, Y. A. (2008). The effects of hope intervention on the hope and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staying at home and cared in public health center. J Korean Acad Comm Health Nurs, 19, 177-187. 

  7. Kim, H. S. (2003). A study on the changing process of quality of life of terminal cancer patient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8. Kim, K. U., Yoon, S. J., Lee, J. Y., & Ahn, H. S. (2006).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cmaster quality of life scale in terminal cancer patients. J Palliative Care, 22(1), 40-45. 

  9. Kim, S. H. (2008). Analysis of the use of supplementary alternative therapy and relevant factors in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won University, Chuncheon. 

  1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The 4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1.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2003).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annual report. Ministry of Health & Welfare. 

  12.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7). Annual report of causes of death.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13. Lee, E. O., Eom, A., Song, R., Chae, Y. R.,& Paul, L. (2008).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neoplasms. J Korean Acad Nurs, 38, 649-55. 

  14. Lewis, F. M. (1982). Experienced personal control and quality of life in late-stage cancer patients. Nurs Res, 31(2), 113-9. 

  15. Loerzel, V. W., McNees, P., Powel, L. L., Su, X., & Meneses, K. (2008). Quality of life older women with early-stage breast cancer in the first year of survivorship. Oncol Nurs Forum, 35, 924-32. 

  16. Ministry for Health, Welfare & Family affairs. (2008). Ministry for health, welfare & family affairs white paper. 

  17. Ministry for Health, Welfare & Family affairs. (2009). Cancer fact & figures. 

  18. Ministry for Health, Welfare & Family affairs. (2009). 2009 Customized home-visiting health service guidance. 

  19. Montazeri, A., Tavoli, A., Mohagheghi, M. A., Roshan, R., & Tavoli, Z. (2009). Disclosure of cancer diagnosis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should it be the same everywhere?. Bio Med Central Cancer 9, 39-46. 

  20.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3). Assessment of patients experience of cancer care (APECC) study. US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Retrieved May 10, 2009, from http://www.cancer.gov. 

  21. Oh, Y. H., Bae, H. O., & Kim, Y. S. (2006).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health status and self-perceived health of Korean older persons. J Korean Gerontol Soc, 26(3), 461-476. 

  22. Pessin, H., Olden, M., Jacobson, C., & Kosinski, A. (2005). Clinical assessment of depression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 practical guide. Palliative and Supportive Care, 3, 319-324. 

  23. Rose, J. H., Radziewicz, R., Bowman, K. F., & O'Toole, E. E. (2008). A coping and communication support intervention tailored to older patients diagnosed with late-stage cancer. Clin Interventions in Aging, 3, 77-95. 

  24. Wang, S. (2007). A research on the actual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by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5. Yang, J. C., & Chung, W. K. (2004). Psychology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on the radiation therapy. J Korean Soc Ther Radiol Oncol, 22, 27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