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숙아의 시술 관련 통증 반응
Pain Response to Procedural Pain in Premature Infants 원문보기

아동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v.16 no.4, 2010년, pp.352 - 359  

김정숙 (삼성서울병원 신생아중환자실) ,  이은정 (삼성서울병원 신생아중환자실) ,  함은하 (삼성서울병원 신생아중환자실) ,  김지현 (삼성서울병원 신생아중환자실) ,  이영희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explore premature infants' pain response to routine procedure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56 preterm infants who showed 149 pain responses to 8 high frequency routine procedures which were evaluated using the Premature Infant Pain Scale (P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적절한 미숙아의 통증관리를 위해서는 미숙아의 통증에 대한 이해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미숙아 통증사정도구인 PIPS를 이용하여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시행되는 8개의 다빈도 시술들을 중심으로 각 시술별 미숙아의 통증 반응을 평가함으로써 미숙아들이 경험하고 있는 통증 정도에 대한 간호제공자들의 인식을 고취시키고 나아가 통증 중재에 대한 합의를 도모하고자 시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PIPS를 이용하여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시행되는 다빈도 시술을 중심으로 각 시술별 미숙아의 통증 반응을 객관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간호제공자들로 하여금 시술에 따른 통증 정도를 인식하게 하고, 적절한 통증 중재를 위해 간호제공자들 간에 일치되는 의사결정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4명의 평가자가 방해받지 않는 조용한 장소를 택하여 같은 시각에 모여 녹화된 비디오를 보면서 동시에 PIPS의 해당 항목에 표시하게 하였으며, 평가자 간 의사소통을 단절하여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평가자의 편견을 배제하기 위해 평가자들이 연구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알지못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에게 제공되는 일상적인 다빈도 시술을 중심으로 각 시술 별 미숙아의 통증 반응을 파악한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생아중환자실에서 행해지는 일상적인 시술에 따른 미숙아의 통증 반응을 조사하여 미숙아 통증 중재에 기여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통증관리는 미숙아의 특성을 고려하여 통증을 사정하고, 그 결과로 간호제공자가 통증 정도를 인식함으로써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거나 또는 사전에 예방하게 하는 일련의 행동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통증관리의 첫 단계로 통증 사정을 통해 미숙아가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해 있는 동안 노출되는 일상적인 시술로 인해 유발되는 통증 정도를 제시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생아가 더 심하고 오래 통증을 느끼며, 조직 손상에 대해 훨씬 더 민감한 이유는? 신생아는 중추신경계의 미숙으로 인해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는 그릇된 통념 때문에 과거에는 적극적인 통증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신생아는 성인에 비해 통증 감각이 전달되는 거리가 더 짧고 척수의 하행 억제경로가 미숙하기 때문에 더 심하고 오래 통증을 느끼며(Evans, Vogelpohl, Bourguignon, & Moracott, 1997), 조직 손상에 대해 훨씬 더 민감한(Fitzgerald, 1995)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지난 30여 년 동안 신생아의 통증에 대한 의료인의 인식 및 통증관리에는 괄목할 만한 진보가 이루어져 왔다.
미숙아의 통증 중재를 위한 통증 사정이 어려운 이유는? 정확한 통증 사정은 간호제공자가 직면하는 주요 논점인데(Anand,2007) 통증의 주체가 표현해내는 통증의 유무와 강도를 얼마나 잘 읽느냐에 달려 있다(Ahn, Kang, & Shin, 2005). 그러나 미숙아는 통증 표현이 일정하지 않아 정확한 사정이 어려우며, 신경계의 미숙으로 인해 만삭아와는 달리 통증에 대한 생리적 반응과 행동 반응이 눈에 띄지 않거나 전혀 없을 수도 있다(Holsti, Grunau, Oberlander, & Whitfield, 2004). 또한 이런 반응들은 관찰자의 주관적 평가에 의해 판단되므로 관찰자 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van Dijk, Koot, Saad, Tibboel, & Passchier, 2002). 예를 들면 동일한 시술에 대한 통증 반응에 대해 의사에 비해 간호사가(Pillai Riddell & Craig, 2007; Cignacco et al.
신생아에 대한 적극적인 통증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이유는? 신생아는 중추신경계의 미숙으로 인해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는 그릇된 통념 때문에 과거에는 적극적인 통증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신생아는 성인에 비해 통증 감각이 전달되는 거리가 더 짧고 척수의 하행 억제경로가 미숙하기 때문에 더 심하고 오래 통증을 느끼며(Evans, Vogelpohl, Bourguignon, & Moracott, 1997), 조직 손상에 대해 훨씬 더 민감한(Fitzgerald, 1995)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지난 30여 년 동안 신생아의 통증에 대한 의료인의 인식 및 통증관리에는 괄목할 만한 진보가 이루어져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H. S. (2007). Pediatrics (9th ed.). Seoul: Daehan printing & publishing CO., Ltd. 

  2. Ahn, H. Y., Jang, M. Y., & Hur, M. H. (2006). The effect of oral glucose on pain relief in newbor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992-1001. 

  3. Ahn, Y. M., Kang, H. O., & Shin, E. J. (2005). Pain assessment using CRIES, FLACC and PIPP in high-risk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1401-1409. 

  4. Anand, K. (2007). Pain assessment in preterm neonates. Pediatrics, 119, 605-607. 

  5. Anand, K., & Scalzo, F. (2000). Can adverse neonatal experiences alter brain development and subsequent behavior. Biology of the Neonate, 77, 69-82. 

  6. Carbajal, R., Rousset, A., Danan, C., Coquery, S., Nolent, P., Ducrocq, S., et al., (2008). Epidemiology and treatment of painful procedures in neonates in intensive care units.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300, 60-70. 

  7. Cignacco, E., Hamers, J. P., Stoffel, L., van Lingen, R. A., Schutz, N., Miller, R., et al. (2008). Routine procedures in NICUs: factors influencing pain assessment and ranking by pain intensity. Swiss Medical Weekly, 138, 484-491. 

  8. Evans, J. C. (2001). Physiology of acute pain in preterm infants.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 1(2), 75-84. 

  9. Evans, J. C., Vogelpohl, D. G., Bourguignon, C. M., & Morcott, C. S. (1997). Pain behaviors in LBW infants accompany some "nonpainful" caregiving procedures. Neonatal Network, 16(3), 33-40. 

  10. Fitzgerald, M. (1995). Developmental biology of inflammatory pain. British Journal of Anesthesia, 75, 177-185. 

  11. Gray, J. E., Richardson, D. K., McCormick, M. C., Workman- Daniels, K., Goldmann, D. A. (1992). Neonatal therapeutic intervention scoring system: a therapy-based severity-of-illness index. Pediatrics, 90, 561-567. 

  12. Grunau, R. V., Whitfield, M. F., Petrie, L. H., & Fryer, E. L. (1994). Early pain experience, child and family factors, as precursors of somatization: a prospective study of extremely premature and full term children. Pain, 56, 353-359. 

  13. Han, K. J. (1998). A study on the environment for low birth weight infan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in the United States. The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4, 159-176. 

  14. Holsti, L., Grunau, R., Oberlander, T., & Whitfield, M. (2004). Specific newborn Individualized developmental care and assessment program movements are associated with acute pain in preterm infant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Pediatrics, 114, 65-72. 

  15. Kenner, C., & McGrath, J. (2004). Developmental care of newborns & infants: A guide for health professionals. Philadelphia, PA: Mosby. 

  16. Kim, M. S., Kim, M. J., Ham, E. H., & Kim, K. M. (2006). Development of a Premature Infant Pain Scale (PIPS).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3, 510-519. 

  17. Long, J. G., Philip, A. G., & Lucey, J. F. (1980). Excessive handling as a cause of hypoxemia. Pediatrics, 65, 203-207. 

  18. Marceau, J. (2003). Pilot study of a pain assessment tool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Paediatrics and Child Health, 39, 598-601. 

  19. McGrath, P. A. (1987). An assessment of children's pain: a review of behavioral, physiological and scaling techniques. Pain, 31(2), 147-176. 

  20. Mitchell, A., & Boss, B. J. (2002). Adverse effects of pain on the nervous systems of newborns and young children: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34, 228-236. 

  21. Mitchell, A., Brooks, S., & Roane, D. (2000). The premature infant and painful procedures. Pain Management Nursing, 1(2), 58-65. 

  22. Park, E. S., Sung, K. S., Oh, W. O., Im, H. S., Kim, E. S., Kim, Y. A., et al. (2006). Pain relieving effect of yakson therapy for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897-904. 

  23. Pillai Riddell, R., & Craig, K. (2007). Judgments of infant pain: the impact of caregiver identify and infant age.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32, 501-511. 

  24. Pollock, T. R., & Franklin, C. (2004). Use of evidence-based practice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Critical Car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16 , 243-248. 

  25. Porter, F. L., Wolf, C. M., & Miller, J. P. (1999). Procedural pain in newborn infants: the influence of intensity and development. Pediatrics, 104(1), e13. 

  26. Richardson, D. K., McCormick, M. C., Gray, J. E., & Goldmann, D. A. (1994). CRIB and SNAP. Lancet, 344, 124-125. 

  27. Spence, K., Gillies, D., Harrison, D., Johnston, L., & Nagy, S. (2005). A reliable pain assessment tool for clinical assessment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4, 80-86. 

  28. Stevens, B., Johnston, C., Petryshen, P., & Taddio, A. (1996). Premature Infant Pain Profil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The Clinical Journal of Pain, 12, 13-22. 

  29. van Dijk, M., Koot, H. M., Saad, H. H., Tibboel, D., & Passchier, J. (2002). Observational visual analog scale in pediatric pain assessment: useful tool or good riddance. The Clinical Journal of Pain, 18, 310-316. 

  30. Walker, S. M. (2005). Management of procedural pain in NICUs remains problematic. Paediatric Anaesthesia, 15, 909-9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