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전.충청지역 초.중학교 급식의 당 함량 및 급식을 통한 당류의 섭취실태 연구
Survey on the Content and Intake Pattern of Sugar fro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Foodservices in Daejeon and Chungcheong Provin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10, 2010년, pp.1545 - 1554  

박유경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이은미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김창수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엄준호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변정아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선남규 (식품의약품안전청 위해예방정책국) ,  이진하 (광주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허옥순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대전과 충남북 지역에서 지역별로 8개의 학교를 선정하고 각 학교당 4주간의 급식을 수거하여 842개 메뉴의 당 함량을 분석하였고, 수거된 급식메뉴에 대해 초등학교 2학년과 5학년, 중학교 2학년 남녀학생의 급식섭취량을 직접 측정하여 급식을 통한 2,806건의 당 섭취량을 산출함으로써 해당학교 및 지역의 당 섭취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하였다.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lactose의 함량 합으로 구한 총 당류의 함량은 가공식품에서와 달리 학교별로 임의의 조리법에 의해 조리된 음식이므로 그 범위가 넓게 나타났다. 주식류의 당 함량은 급식 100 g당 평균 0.20 g, 부식류는 2.08 g, 후식류는 5.13 g으로 과일음료와 유제품, 과일 등을 포함한 후식류의 당 함량이 다른 군에 비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식류 중에서는 소스류와 조림류의 당 함량이 높았다. 급식메뉴 중 가장 많은 양을 섭취하는 음식은 일품식류, 음료 및 차류, 탕 및 전골류, 찌개류 순이었으며, 주스나 식혜와 같은 음료는 정해진 규격이 있어 다른 부식류에 비해 섭취량이 높게 나타났다. 부식류중에서는 국 종류를 제외하면 30~50 g 범위에서 찜류, 튀김류, 볶음류, 부침류, 조림류, 구이류 순으로 많이 섭취하였으나 무침.나물류와 김치류는 각각 13 g, 10 g만을 섭취하였다. 급식메뉴 중 후식류, 특히 음료 및 차류, 유제품류섭취로 인한 당 섭취량이 가장 많았으며 이들 식품은 당 함량도 높고 규격화된 중량으로 인해 섭취량도 많았기 때문이다. 일품식류는 낮은 당 함량에 비해 급식섭취량이 많아 후식류 다음으로 당 섭취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부식류에서도 조림류에 비해 당 함량이 낮은 튀김류의 급식섭취량이 많으므로 튀김류로 인한 당 섭취량이 조림류로 인한 것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식 한 끼니를 통한 당 섭취량은 평균 4.22 g으로, 학년이 높을수록 급식섭취량과 함께 끼니당 당의 섭취량도 많아 중학생이 5.31 g, 초등학생이 4.03 g을 섭취하였으며, 성별이나 수거시기에 의한 차이는 크지 않았다. 학교급식을 통한 한 끼니의 당 섭취량은 열량섭취량을 기준으로 정한 한국인 총 당류 섭취기준이나 한국인영양조사 결과의 하루 총 당류 섭취량의 10분의 1 이하 수준으로, 한 끼니 해당량으로서도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과일주스, 식혜 등의 음료나 요구르트 등의 당 함량이 높은 식품이 제공되거나 이러한 후식류가 일품식류와 함께 제공되어 한 끼니당 당의 섭취량이 높은 급식일이 없도록 하는 데에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government will set up the nationwide food safety system with strict control of hazardous nutrients like sugar, fatty acids and sodium as well as advanced nutrition education system. In addition, almost one hundred percent of school food service rate forced the government to consider more ef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전․충청지역 초․중학교 급식의 당류 함량을 분석하고 급식을 통한 당 섭취실태를 정밀히 산출 하여 적절한 당 섭취를 위한 정책마련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 중의 당류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식품 중의 당류는 음식의 맛을 좋게 하고 저장기간을 연장할 뿐만 아니라 체내에서는 중요한 열량원으로 작용하지만, 인슐린 민감성 저하로 인한 당뇨유발이나 대사변화로 인한 체중증가(1), 에너지 섭취량의 일정수준 이상 섭취 시 비만의 위험이 높아지는(2)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당 함량은 일반적으로 총 당류(total sugar)를 의미하며 식품에 존재하는 모든 단당류와 이당류의 함량을 합한 값으로, 일반적으로 섭취하는 가공식품과 조리된 음식에는 단당류로서 glucose, fructose, 이당류로는 maltose, sucrose, lactose가 주로 검출된다(3).
호주의 당류 섭취에 대한 권장 수준은 얼마인가? 당 함량은 일반적으로 총 당류(total sugar)를 의미하며 식품에 존재하는 모든 단당류와 이당류의 함량을 합한 값으로, 일반적으로 섭취하는 가공식품과 조리된 음식에는 단당류로서 glucose, fructose, 이당류로는 maltose, sucrose, lactose가 주로 검출된다(3). 당류 섭취에 대한 권장 수준은 보통 1일 열량섭취량을 기준으로 하여 호주는 17%, 영국은 19%를 넘지 않도록 권장하며, 세계보건기구와 미국에서는 첨가당으로서 각각 10%와 25%를 넘지 않도록 권장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인 총 당류 섭취기준치 제정위원회에서 첨가당과 천연당을 구분하지 않고 에너지 섭취의 10~20% 범위에서 총 당류를 섭취하도록 기준을 정하였다(1).
식품 중의 당류의 총량은 어떻게 계산하는가? 식품 중의 당류는 음식의 맛을 좋게 하고 저장기간을 연장할 뿐만 아니라 체내에서는 중요한 열량원으로 작용하지만, 인슐린 민감성 저하로 인한 당뇨유발이나 대사변화로 인한 체중증가(1), 에너지 섭취량의 일정수준 이상 섭취 시 비만의 위험이 높아지는(2)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당 함량은 일반적으로 총 당류(total sugar)를 의미하며 식품에 존재하는 모든 단당류와 이당류의 함량을 합한 값으로, 일반적으로 섭취하는 가공식품과 조리된 음식에는 단당류로서 glucose, fructose, 이당류로는 maltose, sucrose, lactose가 주로 검출된다(3). 당류 섭취에 대한 권장 수준은 보통 1일 열량섭취량을 기준으로 하여 호주는 17%, 영국은 19%를 넘지 않도록 권장하며, 세계보건기구와 미국에서는 첨가당으로서 각각 10%와 25%를 넘지 않도록 권장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o SH, Chung CE, Kim SH, Chung HK. 2007. Establishment of total sugar reference value for Koreans. Korean J Nutr 40: 3-8. 

  2. Chung CE. 2007. Association of total sugar intakes and metabolic syndrome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2002. Korean J Nutr 40: 29-38. 

  3. Kim GH. 2007. Investigation of sugar contents in children's foods. KFDA Report. 

  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1998. Statistics of education. http://www.mest.go.kr/me_kor/inform/info_data/welfare/1215652_10825.html 

  5. Kim SA. 1990.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f school lunch programs-On dietary patter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Pusan area. J Korean Soc Food Nutr 19: 356-374. 

  6. Oh HS, Park HO. 2000. A study on dietary intak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ccording to school foodservice type in Won-Ju. Korean J Dietary Culture 15: 338-348. 

  7. Koo NS, Park CI. 1998. Food preferenc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der meal service in Taej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3: 440-453. 

  8. Kim SH, Cha MH, Kim YK. 2006. High school students' preferences and food intake on menu items offered by school foodservice in Daegu.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945-954. 

  9. Cho HS. 1998. A study on the nutritional statu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ttending a rural type school lunch programs. Korean J Food and Nutr 11: 47-58. 

  10. Lee KE. 2005. Adolescents' nutrient intake determined by plate waste at school food servic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 484-492. 

  11. Choi MH, Kwon KI, Kim JY, Lee JS, Kim JW, Park HK, Kim MC, Kim GH. 2008. Monitoring of total sugar contents in processed foods and noncommercial foodservice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337-342. 

  12. Lee H, Lee C, Lee K, Jung Y, Ha S, Jung Y, Kim D. 2010. Survey on sodium contents in meals of school foodservice and sodium intakes of students in Busan and Gyeongsangbuk-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85-91. 

  1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4. Choi HM, Park YS. 2006. 21st century meal management. 1st ed. Kyomunsa, Seoul, Korea. 

  15. Chung CE. 2007. Dietary intakes and food sources of total sugars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Nutr 40: 9-21. 

  16.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7. Chung HK, Park SS, Chang MJ. 1995. Sugar intake and dietary behavior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school lunch program. Korean J Dietary Culture 10: 107-1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