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역기반 모형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낙동강 유역의 하천유량 영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Flow in Nakdong River Basin Using Watershed-Based Model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3 no.10, 2010년, pp.865 - 881  

손태석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이상도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김상단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환경공학과) ,  신현석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래기후에 대한 수환경 평가는 기후자료를 입력 값으로 요구하는 강우-유출모형을 이용하거나 유량 이외에 유사, 영양물질과 같은 수질인자를 동시에 모의할 수 있는 유역모형을 이용하여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역 모형으로 SWAT를 선정하고 낙동강 유역을 대상 유역으로 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하천 유량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전지구기후모형(GCM: Global Climate Model)중 비교적 한반도의 기후 특성을 잘 재현하고 있는 호주(CSIRO: Mk3.0, 즉 CSMK) 모형과 캐나다(CCCma: CGCM3-T47, 즉 CT47) 모형의 A2, B1, A1B 시나리오를 SWAT 모형의 입력 자료로 활용하였다. 각 시나리오의 미래의 기온과 강우의 증가율을 분석하고 현재와 미래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유량과 유량변동성을 연, 계절, 중기간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으며, 대부분의 지점에서 기온 및 유량이 증가하였으며 기후변화는 하천 및 호소의 수온상승과 유량변화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기후변화에 따른 낙동강 유역의 유출량 증대로 인한 수공 구조물의 치수능력 증대 방안을 세워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valuate influence of the future climate change on water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use a rainfall-runoff model, or a basin model allowing us to simultaneously simulate water quality factors such as sediment and nutrient material. Thus, SWAT is selected as a watershed-based model and Nakdo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GCMs는 약 100~500 km의 저해상도의 미래기후 정보를 제공함으로 상대적으로 유역단위의 소규모지역에 대한 기후정보로는 적절치 않다. 따라서 본 연구를 위하여 GCMs의 미래기후자료에 대해 downscaling을 실시하여 본 연구에 적합한 자료를 생성하였다. downscaling에는 크게 동역학적 downscaling과 통계학적 downscaling을 들 수 있는데 동역학적 downscaling의 여러 가지 단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과거기후특성을 잘 반영하여 재현성이 우수하고 계산부하가 적은 통계학적 downscaling을 사용하고 구체적인 방법은 아래와 같다.

가설 설정

  • 상대습도, 풍속, 일사량 등의 기타 기후자료의 경우에는 강수기준 정렬 순위에 부합하는 과거 관측자료가 미래의 특정 해, 특정 월에도 같은 값을 갖는 것으로 가정하여 미래 지점별 일 기후자료를 생성한다.
  • 0%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동아시아 지역의 기후 변화 전망을 계절별로 보면, 겨울과 봄의 기온 상승이 여름에 비하여 약간 높으며, 동아시아의 북서지역에서 기온이 가장 높게 상승하고, 강우량은 유라시아 대륙 연안에서 변화가 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장기 기후변화 시나 리오인 A2 시나리오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로서 발전지향적인 경제사회를 가정하였으며, 이에 반해 B1 시나리오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증가세가 비교적 완만한 경우로서 기후변화협약이 잘 지켜지는 환경 보전지향적인 사회를 가정한 경우이며 A1B는 A1 시나리오 그룹 중 하나로써 미래 세계를 매우 빠른 경제성장, 세기 중간에 최대 인구에 도달한 후 감소, 새롭고 더 효율적인 기술의 빠른 도입으로 묘사된 것 중 모든 에너지원의균형 상태를 이루고 있는 경우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WAT 모형은 왜 개발되었는가? SWAT 모형은 미국 농무성 산하 농업연구소(AR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에서 개발된 모형으로 대규모의 복잡한 유역에서 장기간에 걸친 유역내의 장기 강우-유출, 유사의 이동, 농화학물질을 예측하는 준분포형 유역 모형이다. SWAT 모형은 대규모의 복잡한 유역에 대해 장기간에 걸친 다양한 토양도와 토지이용도 그리고 토지이용에 따른 유역의 수문, 토사, 영양물질 등의거동을 예측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Arcview GIS 소프트웨어와 연계되어 수치고도자료 및 하천망 자료를 통하여 전체 유역을 소유역으로 분할하고, 토양도와 토지 이용도를 중첩하여 만든 수문반응단위(HRU, Hydrologic Response Unit)별로 수문량 및 오염물질 배출량 등을 계산한다.
SWAT 모형이란? SWAT 모형은 미국 농무성 산하 농업연구소(AR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에서 개발된 모형으로 대규모의 복잡한 유역에서 장기간에 걸친 유역내의 장기 강우-유출, 유사의 이동, 농화학물질을 예측하는 준분포형 유역 모형이다. SWAT 모형은 대규모의 복잡한 유역에 대해 장기간에 걸친 다양한 토양도와 토지이용도 그리고 토지이용에 따른 유역의 수문, 토사, 영양물질 등의거동을 예측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본 연구자가 하천 유량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한 입력 자료는?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역 모형으로 SWAT를 선정하고 낙동강 유역을 대상 유역으로 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하천 유량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전지구기후모형(GCM: Global Climate Model)중 비교적 한반도의 기후 특성을 잘 재현하고 있는 호주(CSIRO: Mk3.0, 즉 CSMK) 모형과 캐나다(CCCma: CGCM3-T47, 즉 CT47) 모형의 A2, B1, A1B 시나리오를 SWAT 모형의 입력 자료로 활용하였다. 각 시나리오의 미래의 기온과 강우의 증가율을 분석하고 현재와 미래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유량과 유량변동성을 연, 계절, 중기간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으며, 대부분의 지점에서 기온 및 유량이 증가하였으며 기후변화는 하천 및 호소의 수온상승과 유량변화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기후변화에 따른 낙동강 유역의 유출량 증대로 인한 수공 구조물의 치수능력 증대 방안을 세워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강두기 (2007). "통합 유역관리를 위한 수환경 모형 구축 기법 및 오염총량관리에의 적용 연구."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2. 건설교통부(2008). 기후변화 대비 국가 물 안보 확보 방안. 

  3. 김문성, 고익환, 김상단 (2009). "CGCM의 미래기후 정보를 이용한 기후변화가 낙동강 유역 유황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5권, 제6호, pp. 833-871. 

  4. 김재철, 김상단 (2007). "오염총량관리 유량측정자료를 이용한 낙동강 유역 유황분석." 수질보전 환경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3권, 제3호, pp. 332-338. 

  5. 신현석, 강두기, 김상단 (2007). "낙동강유역 SWAT 모형 구축 및 물수지 시나리오에 따른 유황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3호, pp. 251-263. 

  6. 이용준, 안소라, 강부식, 김성준 (2008). "SWAT 모형을 이용한 미래 기후변화및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안성천 유역 수문-수질 변화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6B호, pp. 653-663. 

  7. 이길하, 이근상, 조홍연 (2008). "기후변화에 따른 임하댐 유역의 GIS 기반 토양침식 추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3호, pp. 423-429. 

  8. 최대규 (2010). 미래기후변화에 대한 영향분석 및 유역단위의 수자원 영향평가.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9. 한수희, 유가영, 김상단 (2009). "식생 물 부족지수의 추계 학적 거동과 기후변화가 그에 미치는 영향."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5권, 제4호, pp. 507-514. 

  10. Bouraoui, F., Galbiati, L., and Bidoglio, G. (2002). "Climate change impact on nutrient loads in the Yorkshire Ouse Catchment."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6, No. 2, pp. 197-209. 

  11. Cunderlik, J.M., and Simonovic, S.P. (2007). "Hydrologic models for inverse climate change impact modeling." CSCE. 

  12. Dagnachew, L., Christine, V.C., and Francoise, G. (2003). "Hydrological response of a catchment to climate and land use changes in tropical Africa : case study south central ethiopia." Journal of Hydrology, Vol. 275, pp. 67-85. 

  13. Gellens, D., and Roulin, E. (1998). "Streamflow response of belgian catchments to IPCC climate change scenarios." Journal of Hydrology, Vol. 210, pp. 242-258. 

  14. Gosain, A.K., Sandhya, Rao., and Debajit Basuray. (2006).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on hydrology of Indian river basin." Current Science, Vol. 90, No. 3, pp. 346-353. 

  15.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08). "Climate Change and Water. IPCC Technical Paper IV." 

  16. IPCC. (1998). "IPCC Emissions Scenarios Database". 

  17. Meehl, G.A., and Tebaldi, C. (2004). "More intense, more frequent, and longer lasting heat waves in the 21st century." Science Webinar Series, Vol. 305, pp. 994-997. 

  18. Takle, E.S., Manoj, Jha., Christopher, J.A., and Philip W.G. (2005). "9.9 Climate Change Impacts on the Hydrology of the Upper Mississippi River Basin as Determined by An Ensemble of GCMs." 18th Conference on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