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송광고산업 활성화를 위한 간접광고
Product Placement for Broadcasting Advertising Industry Revitaliz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0 no.10, 2010년, pp.128 - 139  

이희복 (상지대학교 언론광고학부) ,  차영란 (수원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초록

방송법시행령 개정 이후 2010년 5월 도입된 간접광고는 방송콘텐츠산업과 방송광고산업의 안정적 수입 확대로 방송콘텐츠와 방송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있었다. 그러나 도입 후 3개월간의 간접광고 시행결과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노출되고 있을 뿐 아니라, 법적 취지에 합치하지 않는 결과들이 지적되고 있다. 간접광고가 제대로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래의 도입취지였던 방송콘텐츠산업과 방송광고산업 활성화를 위한 세부 시행방안의 개선이 필요하다. 예컨대 드라마와 교양 등 프로그램 제작에 참여하는 외주제작사와 방송사 사이의 배분 비율에 대한 협상이 이뤄지지 않아 관련 연구의 필요성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 연구는 선행연구로서 간접광고의 도입 현황과 과제를 다룬 연구로 정책적 함의와 실무적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탐색적인 수준에 머물고 정책적인 논의에 그쳤다는 한계를 갖는다. 간접광고의 도입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향후 효과측정과 전략, 크리에이티브 등 다양한 관련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revised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broadcasting legislation, Product Placement that was introduced in May, 2010 has expanded the stable income of broadcasting contents and broadcasting advertising industry, and improved the quality of the broadcasting contents and its service. However, 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광고시장이 상반기까지는 소폭 성장세를 유지하다가 전년대비 2.6%로 역성장한 시기는 언제인가? 2008년 국내 광고시장은 상반기까지는 소폭 성장세를 유지하다가 전년대비 2.6%로 역성장 하였다.
제일기획의 발표에 따르면 2010년 총 광고시장 규모는 2009년 대비 최소 어느 정도 수준으로 전망하고 있는가? 9% 역성장 하여 광고시장의 감소세를 나타냈다. 제일기획의 발표에 따르면 2010년 총 광고시장 규모는 2009년 대비 최소 5.6~ 9.9% 증가한 7조 6,650~7조 9,730억원 수준으로 전망하고 있다[1]. 여전히 남아있는 더블딥의 우려와 세계 금융 불안, 인플레이션 가능성 등 대내외 불확실성은 경제성장률과 상관관계가 높은 광고산업의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표 1]참조).
방송콘텐츠산업과 방송광고산업 활성화를 위한 세부 시행방안의 개선이 필요한 이유는? 방송법시행령 개정 이후 2010년 5월 도입된 간접광고는 방송콘텐츠산업과 방송광고산업의 안정적 수입 확대로 방송콘텐츠와 방송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있었다. 그러나 도입 후 3개월간의 간접광고 시행결과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노출되고 있을 뿐 아니라, 법적 취지에 합치하지 않는 결과들이 지적되고 있다. 간접광고가 제대로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래의 도입취지였던 방송콘텐츠산업과 방송광고산업 활성화를 위한 세부 시행방안의 개선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한국광고단체연합회, "2010 광고비 최대 9,9% 증가한 7조 9천억원", 광고계동향, pp.16-17, 2010(2). 

  2. 이희복, "우리나라 방송광고의 주요 쟁점", 한국언론인협회 세미나 발표집, 2010. 

  3. 이희복, 차유철, "경제불황기 광고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옥외광고학연구, 제6권, 제2호, pp.135-168, 2009. 

  4. 김희진, 광고산업 현황과 환경변화에 따른 발전과 제, 서비스부문의 선진화를 위한 정책과제(김주훈 외), KDI연구보고서, 2007. 

  5. 강준구 , "2010년 실질 GDP 1000조 돌파 예상 한국 경제규모 15년 만에 배 껑충", 국민일보, 2010. 8. 2. 

  6. 한국방송광고공사, "가상, 간접광고 판매 설명회 발표자료", 10월 22일, 2009. 

  7. 제일기획, 광고연감, 서울: 제일기획, 2009. 

  8. 김재현, "2009년의 광고시장은 불황의 터널에서 빠져나올수 있을까", 오리콤 브랜드 저널, 제45 호, pp.6-9, 2009(1). 

  9. 변상규, "신유형 광고 도입관련 이슈; PPL 이슈중심으로", 방송광고제도 개선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 발표논문, pp.1-11, 방송통신위원회, 2009. 

  10. 박원기, "GDP 규모 불문하고 TV광고 점유율 평균 계속 늘어", 광고정보, 한국방송광고공사, 2008(8). 

  11. 정기현, 박주연, 정인숙, 조은기, 방송사업자 재원구조변화 정책전망, 간접광고와 가상광고를 중심으로, 한국방송광고공사 연구보고서, 2005. 

  12. 염성원, TV 간접광고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연구보고서, 2005. 

  13. 이경렬, "가상광고 도입에 따른 공론화와 쟁점에 대한 논의", 방송연구, 제61호, pp.85-108, 2005. 

  14. 양문희, "지상파방송 PPL 규제현황과 개선방향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8권, 제1호, pp.39-63, 2007. 

  15. 정연우, 문철수, 조영기, "새로운 방송광고 정책에 대한 탐색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9권, 제2호, pp.165-196, 2008. 

  16. 서범석, 권호영, 문철수, 박원기, 황근, "방송재원으로서 중간광고, 간접광고 그리고 총량제 도입의 현실과 한계", 한국방송학회 제20-3차 기획 학술세미나 발표논문, pp.41-77, 2008. 

  17. C. Pardun, Advertising & Society, Wiley Blackwell, 2009. 

  18. en,wikipedia,org/wiki/Product_placement 

  19. 서범석, "간접광고 실태와 문제점", 신문과 방송, pp.62-65, 1996(2). 

  20. 마재욱, "간접광고의 고속질주 방송 상업화의 반증", 방송과 시청자, 1999(11). 

  21. 문철수, "버추얼광고 시행에 대비한 방송광고 법제 연구", 방송연구, 제54호, pp.205-243, 2002. 

  22. 박원기, "가상.간접광고 도입과 방송광고의 변화", 신문과 방송, 2010(1). 

  23. 임문선, "첫발을 내딛은 PPL의 광고 시청률", 코바코광장, 한국방송광고공사, 2010(5-6). 

  24. 김창남, "신문협회 가상, 간접광고 신문 산업위", 한국기자협회보, 2009. 9. 3. 

  25. 염강수, "미디어렙 간접, 가상광고 도입 지상파 방송만 살찌울 수도", 조선일보, 2009. 9. 25. 

  26. 조선일보, "TV간접광고 지상파 배만 불린다", 2010. 6. 10. 

  27. 한국경제, "연 2000억 넘는 가상.간접광고 지상파 싹슬이", 2000. 7. 5. 

  28. R. Alexander, The Committee on Definitions, Marketing Definition, Chicago;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1963. 

  29. 박난희, "방송과 간접광고, 공생관계인가", 방송과 시청자, 1995(7). 

  30. 박순화, "광고암시장으로 자리 매김", 방송과 시청자, 1999(6). 

  31. 한국방송광고공사, 보도자료 (2010. 3. 25, 4. 22, 7. 23) 

  32. 김성후, "가상, 간접광고 서울서 독식하나", 한국 기자협회보, 2009. 11. 4. 

  33. 김도윤, "시청률 집계방식 진화 한다", 아이뉴스 24, 2009. 11. 13. 

  34. 차유철, 정상수, 이희복, 신명희, 광고와 스토리텔링, 서울, 한경사, 2009. 

  35. 이희복, "가상광고와 간접광고 도입에 대한 탐색 연구", 광고PR실학연구, 제3권, 제1호, pp.67-90,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