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의사소통을 위한 지구과학 관련 전시 라벨의 서술 특징
Descriptive Characteristics of the Label Texts Related to Earth Science: Toward Educationally Meaningful Communication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3 no.1, 2012년, pp.94 - 109  

김찬종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박은지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윤세열 (아이오와 대학교) ,  이선경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주요 과학관 및 자연사 박물관의 지구과학 관련 전시 라벨 텍스트의 서술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립 중앙 과학관과 서대문 자연사 박물관에서 자료를 수집하였고, 체계기능언어학을 일부 적용한 분석틀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라벨들은 1) 대부분 평서형 문장, 2) 적절한 과학적 정보의 양, 3) '사실' 위주의 정보 제시, 4) 모두 논리적 설명 장르로 구성되어 있었다. 특히, 국립 중앙 과학관의 라벨들은 5) 전체 어휘 중 과학 용어의 비율이 높고 6) 주어의 절반 이상이 생략되거나 긴 명사화 형태였다. 결론적으로, 분석 대상 라벨들은 전시물과 관람객들 사이에서 과학 문화에 관한 양 방향적 의사소통을 이끌기보다 일 방향적인 의사소통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과학 문화와 관람객의 일상 문화 사이의 열린 구조를 만들어 보다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라벨 텍스트의 서술 특징들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descriptive characteristics of the label texts related to Earth Science at a science museum and a natural history museum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Korean National Science Museum and Seodaemun Natural History Museum. The analysis framework wa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 밖 학습은 어떤 배경속에서 관심을 끌기 시작했는가? 학교 밖 학습은 20세기 말 교육에 대한 관점이 학교 교육에서 평생 학습으로 전환되고 지식 형성에 대한 사회적 구성주의 및 사회문화적 관점이 등장하는 배경 속에서 관심을 끌기 시작했다. 특히 과학교육 분야에서는, 과학적 소양인을 양성하기 위해 모든 학생들을 위한 과학학습이 강조되는 한편, 이러한 과학적 소양이 과학의 본성을 학습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는 인식이 대두되었다.
지구과학 관련 전시 라벨 텍스트의 서술 특징을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이를 위해, 국립 중앙 과학관과 서대문 자연사 박물관에서 자료를 수집하였고, 체계기능언어학을 일부 적용한 분석틀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라벨들은 1) 대부분 평서형 문장, 2) 적절한 과학적 정보의 양, 3) '사실' 위주의 정보 제시, 4) 모두 논리적 설명 장르로 구성되어 있었다. 특히, 국립 중앙 과학관의 라벨들은 5) 전체 어휘 중 과학 용어의 비율이 높고 6) 주어의 절반 이상이 생략되거나 긴 명사화 형태였다. 결론적으로, 분석 대상 라벨들은 전시물과 관람객들 사이에서 과학 문화에 관한 양 방향적 의사소통을 이끌기보다 일 방향적인 의사소통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과학 문화와 관람객의 일상 문화 사이의 열린 구조를 만들어 보다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라벨 텍스트의 서술 특징들을 제안하였다.
관람객이 보다 쉽게 과학 관련 전시물의 정보를 인지하고 해석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그러므로 관람객이 보다 쉽게 과학 관련 전시물의 정보를 인지하고 해석하기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라벨, 인쇄 형태의 유인물, 오디오 가이드, 전시 해설사(도슨트) 제도 등의 보조 적인 도움이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라벨은 과학관내 언어로 구성된 대표적인 매체로서, 관람객에게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전시물과 관람객 간의 관계 형성을 도모한다(Belcher, 1991; Ravelli,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김기상, 허준영, 이선경, 김찬종, 2007, 비형식 교육환경에서 일어나는 부도와 아동의 대화 특성: ZPD 체계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 832-847. 

  2. 김기상, 이선경, 김찬종, 2009, 자연사박물관에서 일어나는 또래 아동간의 상호작용적 학습 양상. 한국지구과학회지, 30, 127-140. 

  3. 김찬종, 신명경, 이선경, 2010, 비형식 과학학습의 이해. 북스힐, 서울, 209 p. 

  4. 신명환, 맹승호, 김찬종, 2010, 초.중등 과학 교과서 화산과 지진 관련 단원 글의 언어 구조 비교 분석. 한국지 구과학회지, 31, 36-50. 

  5. 이선경, 신명경, 김찬종, 2005, 자연사박물관의 전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6, 376-386. 

  6. 이정아, 맹승호, 김혜리, 김찬종, 2007,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초등 과학 교과서 텍스트에 대한 체계기능언어학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 242-252. 

  7. 이화자, 1989, M.A.K. Halliday's language theory and its implications on literacy instruction. 응용언어학, 2, 25-47. 

  8. 정재훈, 1999, 체계.기능 언어 이론의 이해. 언어정보, 2, 219-257. 

  9. Aikenhead, G.S., 1996, Science education: Border crossing into the subculture of science.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27, 1-52. 

  10. Aikenhad, G.S. and Jegede, O.J., 1999, Cross-cultural science education: A cognitive explanation of a cultural phenomenon.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 269-287. 

  11. Allen, S., 2002, Looking for learning in visitor talk: a methodological exploration, In Leinhardt, G., Crowley, K., and Knutson, K. (eds.), Learning conversations in museums. Lawrence Erlbaum Association, NJ, USA, 259-304. 

  12. Ash, D., 2003, Dialogic inquiry in life science conversations of family groups in a museu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 138-162. 

  13. Belcher, M., 1991, Exhibitions in museums. Leicester University Press, Leicester, UK. 신자은, 박윤옥 공역, 2006, 박물관 전시의 기획과 디자인. 도서출판 예경, 서울, 343 p. 

  14. Bitgood, S., Nichols, G., Pierce, M., Conroy, P., and Patterson, D., 1986, Effects of label characteristics on visitor behavior. Psychology Institute, Jacksonville State University, Technical Report No.86-55. 24 p. 

  15. Bitgood, S., 1989, Deadly sins revisited: A review of the exhibit label literature. Visitor Behavior, 4, 4-11. 

  16. Bloor, T. and Bloor, M., 2004, The functional analysis of English: A Hallidayan approach (2nd ed.). Arnold, London, UK, 315 p. 

  17. Borun, M. and Miller, M.A., 1980, What's in a name?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explanatory labels in a science museum. Franklin Institute of Science, Philadelphia, USA, 70 p. 

  18. Choi, K., 2004, Developing active role of science museum in educating on ethical issues on science and technology: Four case stud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4, 109- 120. 

  19. Desjardins, J., Jacobi, D., and Poli, M.S., 1992, The Text in Scientific Exhibitions: Linguistic Constraints in the Production of Labels. Visitor Studies, 4, 256-265. 

  20. Dimopoulos, K., Koulaidis, V., and Matiatos, S., 2006, Textual analysis of a science center: Expressive modes and positioning implications. In Chung, K.M. et al. (eds.), Proceedings of the ni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ublic communic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International Network on Public Communic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542-548. 

  21. Eggins, S., 2004, An introduction to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2nd ed.). Continuum, London, UK, 384 p. 

  22. Falk, J. and Dierking, L., 2002, Lessons without limit: how free-choice learning is transforming education. Altamira Press, Walnut Creek, CA, USA, 189 p. 

  23. Fang, Z., 2005, Scientific literacy: A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perspective. Science Education, 89, 335-347. 

  24. Fang, Z. and Schleppegrell, M.J., 2008, Reading in secondary content areas: A language-based pedagogy.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Ann Arbor, USA, 135 p. 

  25. Halliday, M.A.K., 1978, Language as social semiotic: The social interpretation of language meaning. Edward Arnold, London, UK, 256 p. 

  26. Halliday, M.A.K., 1993, Towards a language-based theory of learning. Linguistics and Education, 5, 93-116. 

  27. Halliday, M.A.K. and Martin, J.R., 1993, Writing Science: Literacy and discursive power. The Falmer Press, London, UK, 283 p. 

  28. Hasan, R. and Martin, J.R., 1989, Language development: Learning language, learning culture.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NJ, USA, 397 p. 

  29. Hodges, S., 1978, An ecological approach to the study of zoo visitor behavior: Implications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desig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Blacksburg, VA, USA, 107 p. 

  30. Hohenstein, J. and Tran, L.U., 2007, Use of questions in exhibit labels to generate explanatory conversation among science museum visitor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 1557-1580. 

  31. Joshua, P.G., 2006, Labels for open-ended exhibits: using questions and suggestions to motivate physical activity. Visitor Studies, 9, 1-9. 

  32. Krajcik, J., Blumenfeld, P.C., Marx, R.W., Bass, K.M., and Fredricks, J., 1998, Inquiry in project-based science classrooms: Initial attempts by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7, 313-350. 

  33. Kurth, L.A., Kidd, R., Gardner, P., and Smith, E.L., 2002, Students use of narrative and paradigmatic forms of talk in elementary science conversations.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 793-818. 

  34. Lee, S. and Kim, C., 2007, Understanding visitor learning in a natural history museum: A case of dyadic discourse.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7, 134-143. 

  35. Lemke, J.L., 1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NJ, USA, 261 p. 

  36. Litwak, J.M., 1996, Label length and title type as determinants in visitor learning.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New York, USA, 1-11. 

  37. McManus, P., 1989, Oh, yes, they do: How museum visitors read labels and interact with exhibit text. Curator, 32, 174-189. 

  38. McManus, P., 1991, Making sense of exhibits. In Kavanagh, G. (ed.), Museum Language: Objects and Texts. Leicester University Press, Leicester, UK, 180 p. 

  39. Meng, A.P.K., 2004, Making history in from colony to nation: a multimodal analysis of a museum exhibition in Singapore. In O'Halloran, K.L. (ed.), Multimodal discourse analysis: systemic functional perspectives. Open Linguistics Series. Continuum, London, UK, 28-54. 

  40. Millar, R., 1998, Rhetoric and reality: what practical work in science education is really for. In Wellington, J. (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Which way now? Routledge, London, UK, 16-31. 

  41. Moje, E.B., Collazo, T., Carrillo, R., and Marx, R.W., 2001, "Maestro, what is 'quality'?": Language, literacy, and discourse in project-based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 469-498. 

  42. Mortensen, M.F., 2011, Analysis of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a science museum learning environment: Visitors' experience with and understanding of an immersion exhibi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 517?545. 

  43. Ravelli, L.J., 2006, Museum texts: Communication frameworks. Routledge, New York, USA, 182 p. 

  44. Robinson, E.S., 1931, Psychological studies of the public museum. School and Society, 33, 121-125. 

  45. Rudolph, J.L., 2005, Inquiry, instrumentalism, and th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89, 803-821. 

  46. Serrell, B., 1981, Zoo label study at Brookfield Zoo. International Zoo Yearbook, 21, 54-61. 

  47. Serrell, B., 1996, Exhibit labels: An interpretive approach. Altamira Press, Walnut Creek, CA, USA, 261 p. 

  48. Spencer, H. and Reynolds, L., 1976, The study of legibility, Readability of Print Unit, Royal College of Art, London, UK, 36 p. 

  49. Thompson, D. and Bitgood, S., 1988, The effects of sign length, letter size, and proximity on reading. Visitor studies, 1, 101-112. 

  50. Wellingtion, J., 1990,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in science: the role of the interactive science centres. Physics Education, 25, 247-252. 

  51. Wellington, J., 1994, Using informal learning to enrich science education. In Wellington, J., Henderson, J., Lally, V., Scaife, J., Knutton, S., and Nott, M. (eds.), Secondary Science: contemporary issues and practical approaches. Routledge, London, UK, 284-294. 

  52. Wellington, J. and Osborne, J., 2001, Language and literacy in science education (1st ed.). Open University Press, PA, USA, 152 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