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멘토링 전후의 초임 과학교사의 수업 특징 변화
Research on the Changes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Teaching through a Mentoring Program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1 no.4, 2010년, pp.403 - 417  

곽영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초임교사 지원을 위한 출발점으로 초임교사의 수업에서 드러나는 특징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능력개발이 요구되는 초임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멘토링 체제를 기획하고 이를 시범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3쌍의 멘토-멘티를 대상으로 멘토링을 시범운영해보고, 멘토링 전후의 초임교사 수업 특징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단원의 전 차시 수업에 대하여 멘토와 멘티가 수업동영상을 만들고, 6명의 초임교사와 선배교사로 구성된 6명의 컨설팅 협의진이 차시별 수업을 교차분석하였다. 수업동영상 분석을 위한 컨설팅 협의회, 멘토-멘티교사와의 면담 자료 등을 활용하여 멘티 수업에서 발견되는 특징을 진단하고 멘토링 적용 효과를 추적하고, 멘토링 체제 개선에 주는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멘티의 수업에서 발견되는 공통된 특징을 (1) 수업 문화와 수업 운영, (2) 교실담론, (3) 과학 실험과 활동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멘토링을 통해 이러한 특징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고찰하였다. 멘토링 전후에 멘티교사의 수업에서 나타난 변화를 살펴보면, 멘티들은 실제 수업시간에 학생들과 대화를 많이 하는 것이 "학생들의 지능발달이든 내용이해 측면에서든" 효과가 있으며, 멘토링 과정을 경험하면서 멘티들은 실험의 필요성을 인정하게 되었으며, 실험활동의 역할과 운영 방안 등을 파악하게 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임교사의 수업전문성 개발과 관련된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mentoring program implemented in science classrooms taught by beginning teachers in order to support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As a baseline data,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teaching. Then we explored any ch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멘토링이란 무엇인가? 여기서 멘토링이란 개별 교사가 전문적으로 그리고 개인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때로는 전문가-초보 관계로 운영된다(Lord et al., 2008).
초임교사의 수업전문성 개발과 관련된 지원방안은? 첫째, 수업전문성 발달에 초점을 맞춘 초임교사 지원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초임교사들이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졸업하고 학위를 받았을지라도 교직을 실제로 시작할 때는 배워야 할 것이 여전히 많아서 실제 수업을 중심으로 한 체계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수업 전문성은 경쟁력 있고 전문성을 갖춘 교사를 정의하는 핵심이므로 실제 수업을 중심으로 초임교사 전문 성 제고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 이다. 현재 학교 현장의 초임교사에게는 수업보다는 다른 업무가 우선시되어 적응과 생존이 강조되는 경향이 있다. 교과 수업에 대해 많이 알고 있다고 생각 하는 초임교사들은 실제 수업을 하면서 자신이 알고 있는 것과 실천 사이에 격차가 있음을 경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격차를 좁히기 위해서는 교사의 업무 중 가장 중요한 영역인 수업전문성 발달에 초임교사 들이 전념할 수 있도록 현재의 학교 현실이 대폭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한 대부분의 현행 연수 프로그램도 교직 및 학교 적응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므로, 이 또한 교과를 중심으로 하는 수업전문성 발달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둘째, 초임교사가 교직 입문기간 동안 임상경험 (clinical experience)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교사의 전문성 개발은 이론적 앎의 수준에 머물기보다는 실천과 연계하여 실천지식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지원될 필요가 있다. 의과대학 임상수업에서 실제 수술과정에 참여하여 도제방식으로 수술에 대해서 배우듯이, 수업개선이나 수업전문성도 실제 수업 장면을 중심으로 이론과 실천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교사란 일종의 임상 전문직(clinical profession)이어서 초임교사는 이론적으로 배운 것을 실제 수업경험을 통하여 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천지식으로 전환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초임교사들이 준비가 덜 되어서 그런 것이 아니라, 가르친다는 직업 자체가 지속적인 학습이 필요한 분야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경험만으로는 부족하고, 실천에 대한 사려 깊은 반성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점이다(Russell and Martin, 2007). 특히 초임시절에 초임교사를 둘러싼 주변 사람들이 이론과 실천의 간극과 긴장을 조절하여 초임교사가 알고 있는 이론과 통찰을 실천으로 옮길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아무리 매력적인 교수학습이론도 실제 과학개념이나 주제를 가르치는데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때로는 이론이 너무 일반적이어서 언제, 어떻게 적용할지를 모르거나 이론적인 세부사항은 많이 알지만 실제 적용하기가 어려운 경우도 있다. 초임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것은 과학내용을 가르칠 때 구체적이고 상세한 수업전개 내용과 실제 사례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초임교사가 필요로 하는 이론이나 더 좋은 수업방법을 찾기 위 해 실제 수업을 들여다보고 연구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초임교사에게 반성적 실천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교사의 수업전문성과 같은 실천적 지식의 발달을 촉진하는 것은 반성적 고찰이다. 실천적 지식은 이론적 지식과는 달리 역량 있는 경력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반성적 고찰과 적용을 통해 개발이 가능하다. 즉, 교사의 수업전문성은 실천행위와 경험에 참여하고 반성함으로써 발달하는 실천적 지식 의 형태를 띤다. 따라서 교과협의회를 통하여 초임교사에게 반성적 실천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특정한 교수방법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나아가 이를 실천적 아이디어로 발전시키는 데는 교사들 간의 반성적 논의가 매우 효과적이다. 양질의 수업과 마찬가지로, 교사교육에서도 비판적 반성과 주의 깊은 스캐폴딩이 요구된다. 출발점은 교사들이 수업에 대해 논의하고 고민하는 기회를 통하여 개선의 필요와 방향을 공유하는 것이다. 이러한 교과협의회를 통하여 교사의 경험과 실천에 내재된 암묵적 지식을 명시적으로 만들어서, 교사 간 실천지식 공유와 확산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교사는 학습자의 태도를 가지고 실천의 공동체를 개발해나가야 한다. 여기서 멘토와 멘티로 구성된 학습공동체는 직장 내에서 전문적 학습을 지원하게 된다. 요컨대 초임교사와 같은 멘티는 학교현장의 실천공동체 속에서 멘토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교사로서 발달과정을 경험하고 전문직으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해나갈 필요가 있다.
최근 교원의 전문성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 무엇을 도입했는가? 최근 들어 교원평가제, 수석교사제, 교원 능력별 성과급제 등의 도입을 통해 교원의 전문성 발달을 촉진하려는 정책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2010년부터 교원능력평가를 본격 실시하고, 평가결과 능력개발이 필요한 교원에 대한 맞춤형 연수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발표하였다(교육과학기술부,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고문숙, 이순덕, 최정희, 남정희, 2009, 초임 과학교사이 반성적 실천을 위한 협력적 멘토링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 564-579. 

  2. 교육과학기술부, 2008, 2009년 교과부 업무보고: 교육과학 기술의 미래 경쟁력 강화. 교육과학기술부, 서울, 28 p. 

  3. 심붕섭, 2010, 학교조직문화와 초임교사 멘토링 및 교직적응 간의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27, 277-300. 

  4. 이화진, 오은순, 송현정, 전효선, 강대현, 홍선주, 2006, 수업 컨설팅 지원 프로그램 및 교과별 내용 교수법(PCK)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6-1, 309 p. 

  5. 이화진, 김민정, 권점례, 2007, 초등 초임교사의 수업전문성 발달 자료 개발 및 지원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7-4-1, 267 p. 

  6. 전화영, 유미현, 홍훈기, 박은이, 2009, 초임 중등과학 교사의 수업불안 실태 및 전문성 발달 노력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 68-78. 

  7. 최승현, 강대현, 곽영순, 장경숙, 2008, 교과별 내용교수지식(PCK) 연구(II) - 중등 초임교사 수업컨설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8-3, 402 p. 

  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수업평가 기준 개발 연구(I)- 일반 기준 및 교과(사회, 과학, 영어) 기준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4-5, 258 p. 

  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수업평가 기준 개발 연구(II)-일반 및 교과(영어, 도덕, 체육) 기준 상세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5-3, 223 p. 

  1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수업평가 기준 개발 연구(II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6-3, 319 p. 

  11. Alro, H. and Skovsmose, O., 2004, Dialogue and learning in mathematics education: Intention, Reflection, Critique. Kluwer, Dordrecht, 287 p. 

  12. Darling-Hammond, L., Wei, R.C., Andree, A., Richardson, N., and Orphanos, S., 2009, Professional learning in the learning profession: A status report on teacher develop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abroad. Published by the National Staff Development Council and The School Redesign Network at Stanford University, USA, 36 p. 

  13. Driver, R., Asoko, H., Leach, J., Mortimer, E., and Scott, P., 1994, Constructing scientific knowledge in the classroom. Educational Researcher, 23, 5-12. 

  14. Feiman-Nemser, S., 1998, Teachers as teacher educators. Europ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1, 63-74. 

  15. Gess-Newsome, J. and Lederman, N.G., 1999,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Kluwer, Dordrecht, Netherland, 320 p. 

  16. Lemke, J.L., 1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Norwood, NJ, USA, 276 p. 

  17. Lord, P., Atkinson, M., and Mitchell, H., 2008, Mentoring and coaching for professionals: A study of the research evidence. National Foundation for Educational Research, USA, 105 p. 

  18. Lunetta, V.N., Hofstein, A., and Clough, M., 2007, Learning and teaching in the school science laboratory: An analysis of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In Lederman, N. and Abel, S. (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Lawrence Erlbaum, Mahwah, NJ, USA, 393-441. 

  19. Mortimer, E. and Scott, P., 2003, Meaning making in secondary science classrooms. Open university press, Berkshire, England, 160 p. 

  20. Osborne, H.D., 1998, Teacher as knower and learner, reflections on situated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 427-439. 

  21. Porter, A.C., Youngs, P., and Odden, A., 2001, Advances in teacher assessments and their uses. In Richardson, V.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AERA, Washington, DC, USA, 259-297. 

  22. Russell, T. and Martin, A.K., 2007, Learning to teach science. In Abell, S.K. and Lederman, N.G. (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Mahwah, NJ, USA, 1151-1178. 

  23. Tobin, K., 1990, The Practice of Constructivism in Science Education. Erlbam, Routledge, USA, 360 p. 

  24. Van Esa, E.A., and Sherinb, M.G., 2008, Mathematics teachers' "learning to notice" in the context of a video club.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4, 244-276. 

  25. Wang, J. and Odell, S.J., 2000, Mentored learning to teach according to Standards-based reform: A critical review.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2, 481-54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