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개념과 귀인송환을 활용한 학습 부진아의 자기효능감과 수학 학습 능력 향상 방안
Effects of Abstraction offer of basic concept and Attributional Feedback of Self-efficacy and Mathematical study ability of Math Underachiever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49 no.3 = no.130, 2010년, pp.299 - 311  

안종수 (부산대학교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bstraction offer of basic concept principle and feedback of self-efficacy attributional and mathematical study ability of math underachievers in high school based on the attribution theory and self-efficacy theory. The hypothesis were posed 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실험반 수학 부진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초 기본 학력지도를 실시하여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길러주고 기본개념과 귀인송환을 활용하여 수학 교과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학습 상황에 적용해 보려고 한다.
  • 먼저 실험 처치 전에 실험반과 비교반에 자기효능감 검사 및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한 후 두 집단의 평균과 표본표준편차를 산출하니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집단은 동질집단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반과 비교반의 사후 자기효능감 검사 및 학업성취도 검사의 점수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 학습 부진아의 정의는? 수학 학습 부진아(math underachievers)는 국가 수준의 판별 도구인 국가수준 기초 학력 진단평가(한국교육 과정평가원)에 의한 기초 수학 평가 결과 성취도가 60% 미만인 학생으로, 지적 능력은 있으나 선수 학습 결손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각 학년에 도달해야 할 최저 학업성취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학생으로 정의한다.
귀인 이론은 무엇인가? 귀인 이론(attribution theory)이란 학생들이 그들의 성공과 실패를 어떻게 설명하는가에 대해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Weiner, 1980).
일반적인 학습 부진의 원인 외에, 수학과의 특성에서 나타나는 학습 부진의 요인은 무엇인가? 첫째, 일단 개념이 정립되면 이를 확대 응용 할 수 있는 사고력이 요구된다. 추상화, 일반화, 특수화하는 사고력의 결여는 학습 부진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 둘째, 수학은 다른 교과에 비하여 계통성이 엄격하므로 선수 학습이 부족하면 학습 부진이 생긴다. 셋째, 직접적인 체험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것과 추상적인 것이 연결되어야한다. 그러나 구체적인 것을 소홀히 하면 학습 부진이 생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교육인적자원부 (1999).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교육인적자원부. 

  2. 김성희 (2001). 교사-학생간의 관계와 귀인피드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아영.박인영 (2001). 학업적 자아 효능감 척도 개발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39(1), 95-123. 

  4. 김진식 (2000). 내적 귀인 훈련이 학습 부진아의 학업성취와 자아 개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형준 (2006). 마인드 맵 작성 방법의 차이가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중학교 2학년 도형의닮음 단원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송이.노영순 (2009). 마인드 맵을 활용한 학습 부진아의 지도가 수학학습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2), 243-260. 

  7. 박영신 (1986). 인지 발달 수준에 따른 성패 귀인과 과학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24(2), 77-94. 

  8. 정종진 (1994). 자기규제 학습 방략 훈련이 산수 교과에 대한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 8, 109-126. 

  9. 정택희 (1987). 수업외 학습 시간 투입의 동기요인과 효과 분석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한국교육개발원 (1992).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수학교육 평가체제 연구(III)-수학과 평가도구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1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8). 학습 부진아 지도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0). 중학교 학습 부진아 지도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3. Andrews, G. R., & Debus, R. L. (1978). Persistence and the casual perception of failure : Modifying cognitive attribution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0, 154-166. 

  14. Bandura, A. (1977). Social learning theory.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 Hall. 

  15. Bandura, A. (1981). Self-referent thought : A developmental analysis of self-efficacy. In J. H. Flavell and I. Ross(Eds.), Social cognitive development : Frontiers and possible futures.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Bandura, A. (1982). The self and mechanism of agency. In J. Suls(Eds.),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the self. Hillsdale, N.J : Erlbaum. 

  17.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action :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Barbar & McCombs. 

  18. Bar-Tal, D., Kfir, D., Bar-Zohar, Y., & Mckeown, J.R. (1980). The relationship between locus of controland achievement, anxiety and level of aspiration. Th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50, 53-60. 

  19. Chance, J. E. (1965). Internal control of reinforcements and the school learning process, paper presented an the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Minneapolis. 

  20. Epstein, R., & Komorita, S. S. (1971). Self-Esteem Success-Failure, and Locus of control in Negro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4, 2-8. 

  21. Findley, M. J., & Cooper, H. M. (1983). Locus of control and Academic Achievement :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4, 419-427. 

  22. Forsyth, D. R., & McMillan, J. H. (1981). Attribution, affect, and expection : A test of Weiner's three dimensional model.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3, 393-403. 

  23. Kasiser, D. L. (1975). Internal-external control and casual attributions of own and other Performance Psychological Reports, 37, 423-426. 

  24. Kukla, A. (1972). Foundations of an attributional theory of performance. Psychological Review, 79, 454-470. 

  25. Lefcourt, H. M. (1982). Locus of control :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 Pub. 

  26. Nicholls, J. G. (1975). Casual Attributions and social other Achievement-Related Cognitions : Effect of Task Outcome, Attainment Value, and Sex.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1, 379-387. 

  27. Pintrich, P. R., & De 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33-40. 

  28. Schunk, D. H. (1982). Effects of effort attributional feedback on children's perceived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4, 548-556. 

  29. Schunk, D. H. (1983). Effects of effort attributional feed-back on children's perceived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4(4), 548-556. 

  30. Stipek, D. J., & Weisz, J. R. (1981). Perceived personal control and academic achievement.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1(1), 101-137. 

  31. Wang, M. C., & Stiles, B. (1976). An investigation of children's concepts of self-responsibility for their social learning.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13, 159-179. 

  32. Weiner, B. (1979). A Theory of Motivation for some classroom experie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1, 3-25. 

  33. Weiner, B. (1980). Human motivation. New York : Holt, Rinehart and Winst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