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매실 엑기스를 첨가한 샐러드 드레싱의 품질 평가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Salad Dressing Added with Prunus mume Extract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0 no.4, 2010년, pp.551 - 559  

조현아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혜영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고성희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physic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sensory qualities of salad dressing with added Prunus mume extracts. For this study, dressing was blended with Prunus mume extracts t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0, 10, and 20%.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effects of d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하여 항균 작용이 있다고 보고된 천연물 중 매실이 항균, 항산화 작용 등의 효과와 영양적 가치를 가진 점을 이용하여 외식 및 급식소에서 생산되는 샐러드 드레싱에 매실 엑기스를 첨가하고, 그에 따른 드레싱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관능적 품질 상태에 기여하는 정도를 검토함으로써 급식소 및 상업적인 시설에서 제공되는 샐러드 드레싱의 저장성 및 품질 향상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외식 및 급식소에서 생산 및 판매되는 음식들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HACCP 연구나 미생물적 품질 관리에 관한 연구들이 수행되었는데, 샐러드 드레싱에 대한 품질 연구는 제한적이며, 특히 샐러드 드레싱에 천연 항균성 물질의 첨가로 항균 효과를 평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하여 항균 작용이 있다고 보고된 천연물 중 매실의 항균, 항산화 작용 등의 효과와 영양적 가치를 가진 점을 이용하여 외식 및 급식소에서 생산되는 샐러드 드레싱에 매실 엑기스를 첨가함으로써 이에 따른 드레싱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관능적 품질 상태에 기여하는 정도를 검토함으로써 급식소 및 상업적인 시설에서 좀 더 안전한 음식을 생산 및 판매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샐러드에 곁들이는 소스를 해외에서는 어떻게 부르는가? 식품의 관능적 특성을 좋게 하고 음식의 향미를 더해주기 위해서 각광받고 있는 것이 소스이다. 소스는 그 제법에 따라 색, 향, 맛 등이 달라지며, 그 중에서도 샐러드에 곁들이는 소스를 유럽에서는 소스, 미국에서는 드레싱이라고 한다(James P 1998). 드레싱은 식품을 제조․가공․조리함에 있어 식품의 풍미를 돋우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식용유, 식초 등을 주 원료로 하여 식염, 당류, 향신료, 알류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하고 유화시키거나 분리액상으로 제조한 것 또는 이에 채소류, 과일류 등을 가한 것(식품공전 2008)으로 마요네즈, 유화형 드레싱, 분리액상 드레싱, 샐러드 드레싱, 프렌치 드레싱(식품공전 2008)을 말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소스의 제법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식품의 관능적 특성을 좋게 하고 음식의 향미를 더해주기 위해서 각광받고 있는 것이 소스이다. 소스는 그 제법에 따라 색, 향, 맛 등이 달라지며, 그 중에서도 샐러드에 곁들이는 소스를 유럽에서는 소스, 미국에서는 드레싱이라고 한다(James P 1998). 드레싱은 식품을 제조․가공․조리함에 있어 식품의 풍미를 돋우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식용유, 식초 등을 주 원료로 하여 식염, 당류, 향신료, 알류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하고 유화시키거나 분리액상으로 제조한 것 또는 이에 채소류, 과일류 등을 가한 것(식품공전 2008)으로 마요네즈, 유화형 드레싱, 분리액상 드레싱, 샐러드 드레싱, 프렌치 드레싱(식품공전 2008)을 말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미생물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는? pH는 미생물의 생육과 대사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 중 하나로서, 대부분의 미생물들은 pH 6.8~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한국식품공업협회 (2008) 식품공전. 식품공전 (별책). pp 404-405. 

  2. 한국식품공업협회 (2008) 식품공전. 식품공전 (별책). pp 171-172. 

  3. Bae JH, Kim KJ (1999) Effect of Prunus mume extract containing beverages on the proliferation of food-borne pathogen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9: 214-222. 

  4. Cha HS, Park YK, Park JS, Park MW, Jo JS (1999) Changes in firmness, mineral composition and pectic subtances of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during maturation.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Agri Products 6: 488-494. 

  5. Chae MH, Park NY, Jeong EJ, Lee SH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added with Prunus mume byproduct obtained from liquer manufac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267-1272. 

  6. Choi MY, Oh HS, Park HJ (2004) Effect of Prunus mume extract on dongchimi fermentation.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15: 3-10. 

  7. Dahl CA, Matthews ME, Marth EH (1981) Survival of Streptococcus faecium in beef loaf and potatoes after microwave heating in a simulated cook/chill foodservice system. J Food Prot 44: 128-130. 

  8. Gilbert RJ, Roberts D (1989) Listeria monocytogens and chilled foods. Lancet 1: 383-384. 

  9. Han JT, Lee SY, Kim KN, Paek NI (2001) Rutin, antioxidant compound isolated from the fruit of Prunus mume.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 35-37. 

  10. Hong JY, Choi YJ, Kim MH, Shin SR (2009) Study on the quality of apple dressing sauce added with pine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Sing) and chitosan. Korean J Food Preserv 16: 60-67. 

  11. Hwangbo MH, Kim HJ, Yu MH, Lee JW, Lee IS (2006) Optimization of dressing preparation from yogurt added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extract. Korean J Soc Food Sci 22: 22-29. 

  12. James P (1998) Sauces.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pp 110-115. 

  13. Jeong CH, Shion JH, Kang MJ, Seoung TJ, Shim KH, Choi SG (2007) Effect of garlic addition on oxidative stability of oil dressing and mayonnaise.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41: 52-62. 

  14. Jung SJ, Kim NY, Jang MS (2008) Formulation optimization of salad dressing added with Bokbunja (Rubus coreanum Miquel)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97-504. 

  15. Kang MY, Jeong YH, Eun JB (1999)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lesh and pomace of Japanese apricots (Prunus mume Sieb. et Zucc).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434-1439. 

  16. Kim MH, Kim MC, Park JS, Kim JW, Lee JO (2001)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water-soluble extracts of plants used as tea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12-18. 

  17. Kim MH, Lee YJ (2002) A study on standardizing a recipe for kiwi salad dressi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 407-414. 

  18. Kim MH, Lee YJ, Kim DS, Kim DH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uits dressing. Korean J Soc Food Sci 19: 165-173. 

  19. Lee HA, Nam ES, Park SI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maesil (Prunus mume) juice against selected pathogenic microorganis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6: 29-34. 

  20. Lim JW, Lee GB (1999)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runus mum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9: 442-451. 

  21. Park HS, Shin HG (2000) Food safety management in a contract foodservice industr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 27-29. 

  22. Sheo HJ, Ko EY, Lee MY (1987) Effects of Prunus mume extract on experimentally alloxan induced diabetes in rabbi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6: 41-47. 

  23. Sheo HJ, Lee MY, Chung DL (1990) Effect of Prunus mume extract on gastric secretion in rats and carbon tetrachloride induced liver damage of rabbi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 21-26. 

  24. Shin MH, Kim JG, Kang KO (200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alad dressings containing chicken foot gelati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58-63. 

  25. Son MH (2004) A study on research & development and quality stability of functional red pepper dressing. Korean J Soc Food Sci 10: 107-1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