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결 기간 및 해동 후 냉장이 제주 흑돼지고기의 물리화학적, 기호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eezing Period and Chilling Process after Thawing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alatability of Loin from Jeju Island Reared Crossbred Black Pig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0 no.4, 2010년, pp.560 - 566  

문윤희 (경성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개량흑돼지(105~110 kg)를 도축한 후 약 18시간 냉장하고 등심육을 분할하여 진공 포장하고 $-20^{\circ}C$에서 1개월 및12개월 동결한 후 각각 $4^{\circ}C$에서 20시간 해동하였다. 해동 직후의 것(0-TP)과 해동 후 $2^{\circ}C$에서 2일간 냉장한 것(2-TP)의 물리화학적 및 기호적 특성을 비교하여 해동 후 냉장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개량흑돼지 등심육을 1개월간 동결하여 해동한 경우, 해동 직후의 0-TP보다 해동 후 냉장한 2-TP가 보수력근원섬유 소편화 정도가 높아지고, 경도 및 씹힘성이 낮아졌으며, 가열육의 다즙성 및 종합적 기호도가 향상되었으나(p<0.05) 12개월 동결한 등심육은 해동 후 냉장에 의한 효과가 유의적으로 크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chilling process after thawing on pork quality were investigated by comparing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and palatability of the samples just after thawing(0-TP) and the other chilled at $2^{\circ}C$ for two days after thawing (2-TP). The samples us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ang et al(2007)에 의해 —80℃에서 1개월간 동결한 재래흑돼지 고기와 개량종 돼지고기의 해동 후 냉장 저장 중 품질을 비교한 보고가 있으나, 장기간 동결하는 돼지고기를 감안할 때 동결 기간의 장단에 따른 해동 후 냉장에 의한 숙성 효과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재래흑돼지와 일반 돼지를 교잡한 개량흑돼지를 대상으로 도축 후 숙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1개월 및 12개월 동결하였다가 해동한 후 일정기간 냉장하였을 경우 조직감, 다즙성 및 기호도의 향상 효과를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돼지고기의 숙성 기간은 도축 후 며칠 정도 걸리는가? 그러므로 제주도에서 생산한 흑돼지고기일지라도 농장별(Moon YH 2004) 교잡 형태와 생체중 (Yang et al 2005, Moon YH 2007) 등에 따라 그 품질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돼지고기는 숙성 기간 동안 연도가 증진하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으며(Morrison et al 1998), 도축 후 4일에서 6일 정도이면 숙성이 완료된다. 돼지고기를 포함한 대부분의 축육은 도축 후 냉장 상태에서 숙성하면 기호성이 우수하게 되지만 도축하는 모든 가축의 고기를 냉장 상태에서 숙성한 후 곧바로 이용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어서 장기 저장을 위한 다양한 저장 방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그중 동결 방법이 널리 선택되고 있다.
제주도에서 생산한 흑돼지고기일지라도 무엇에 따라 그 품질이 서로 다를 수 있는가? 제주도에서 생산, 판매하는 흑돼지고기는 순수 재래흑돼지 고기가 드물고, 대부분 개량흑돼지 고기로 재래흑돼지와 교잡하지 않은 개량 흑돼지 고기도 있게 된다. 그러므로 제주도에서 생산한 흑돼지고기일지라도 농장별(Moon YH 2004) 교잡 형태와 생체중 (Yang et al 2005, Moon YH 2007) 등에 따라 그 품질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돼지고기는 숙성 기간 동안 연도가 증진하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으며(Morrison et al 1998), 도축 후 4일에서 6일 정도이면 숙성이 완료된다.
고기를 동결 방법을 사용해 저장하면 장점은 무엇인가? 고기의 동결은 일반적으로 숙성 전의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동결육을 해동해서 곧바로 이용하면 숙성이 덜된 고기를 이용하게 되어 기호적 특성이 우수치 않다는 지적이 있다(Moon & Jung 1995). 고기를 동결하면 미생물의 번식 억제는 물론 고유한 특성변화를 지연시켜(Tomaniak et al 1998) 신선도를 유지시켜 주지만 동결 중의 변색, 지방 산패, 조직감 변질(Obuz & Dikeman 2003) 및 해동할 때의 드립 발생 등으로 냉장육보다 기호적 품질과 가공 적성이 떨어진다(Miller et al 1980, Kim et al 2000). 그러므로 동결육의 기호적 품질을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적절한 해동 방법(Kim et al 1998, Shim et al 2009) 및 해동 후 냉장 방안(Jung & Moon 1995) 등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aslyng MD, Bejerholm C, Ertbjerg P, Bertram HC, Andersen HJ (2003) Cooking loss and juiciness of pork in relation to raw meat quality and cooking procedure. Food Qual and Perfer 14: 277-288. 

  2. Bee G, Anderson AL, Lonergan SM, Huff-Lonergan E (2007) Rate and extent of pH decline affect proteolysis of cytoskeletal proteins and water holding capacity in pork. Meat Sci 76: 359-365. 

  3. Bendall JR (1978) Variability in rates of pH fall and of lactate production in the muscles on cooling beef carcasses. Meat Sci 2: 91-104. 

  4. Choi YS, Park BY, Lee SK, Kim IS, Kim BC (2002)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acuum packaged Korean pork loins for export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 151-157. 

  5. Culler RD, Parrish FCJr, Smith GC, Cross RD (1978) Relationship of myofibril fragmentation index to certain chemical,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ovine longissimus muscle. J Food Sci 43: 1177. 

  6. Deymer DI, Vandekerckhove P (1979) Compounds determining pH in dry sausage. Meat Sci 34: 351-362. 

  7. Forrest JC, Aberle ED, Hedrick HB, Judge MD, Merkel RA (1975) Principles of meat science. W. H. Freeman & Co. San Francisco. pp. 178-185. 

  8. Hofmann K, Hamm R, Bluchel E (1982) Neues ober die estimmung der wasserbindung des fleisches mit hilfe der filterpapierpress methode. Fleischwirtschaft 62: 87-93. 

  9. James MJ (1972) Mechanical and detection of microbial spoilage in meats at low temperature. J Milk Food Technol 35: 467-471. 

  10. Jung IC, Moon YH (1995)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alatability during refrigerated storage after thawing of imported frozen beef tenderloin. Korean J Food Sci Ani Resous 15: 156-162. 

  11. Kang SM, Kang CG, Lee SK (2007)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black pork and morden genotype pork during refrigerated storage after thawing. Korean J Food Sci Ani Resous 27: 1-7. 

  12. Kauffman RG, Carpenter ZI, Bray RW, Hockstra WG (1961) pH of chilled aged and cooked pork as related to quality. J Ani Sci 20: 918-918. 

  13. Ketelaere A, Demeyer D, Vandekerckhove P, Vervaeke I (1974) Stoichiometry of carbohydrate fermentation during dry sausage ripening. J Food Sci 39: 297-300. 

  14. Kim BC, Han CY, Joo ST, Lee S (1999) Effects of display conditions of retail cuts after vacuum packed storage on pork quality and shelf life. Korean J Ani Sci 41: 75-88. 

  15. Kim MS, Yang JB, Moon YH (2000) Effect of freezing period and chilling process after thawing on the palatability of beef loin.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0: 282-287. 

  16. Kim CJ, Lee CH, Lee ES, Ma KJ, Song MS, Cho JK, Kang JO (1998) Studies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rozen beef at as influenced by thawing rate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18: 142-148. 

  17. Kim SK, Lee MS, Lee KT, Park SK, Song KB (2004) Changes in quality of pork and beef during storage and electronic nose analysis. Korean J Food Preserve 11: 441-447. 

  18. Ko MS, Yang JB (2001) Effects of wrap and vacuum packaging on shelf life of chilled pork. Kor J Food and Nutr 14: 255-262. 

  19. Kristensen L, Purslow PP (2001) The effect of ageing on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pork: Role of cytoskeletal proteins. Meat Sci 58: 17-23. 

  20. Laakkonen E, Wellington GH, Skerbon JW (1970) Low temperature longtime heating of bovine. I. Changes in tenderness, water binding capacity, pH and amount of water soluble component. J Food Sci 35: 175-177. 

  21. Lee SK, Ju MK, Kim YS, Kang SM, Choi YS (2005) Quality comparison between Korean native black ground pork and modern genotype ground pork during refrigerate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s 25: 71-77. 

  22. Miller AJ, Ackerman SA, Palumbo SA (1980) Effect of frozen storage on functionality of meat for processing. J Food Sci 45: 1466-1468. 

  23. Moon YH (2004)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alatability of loin from crossbred Jeju black pigs. Korean J Food Sci Ani Resous 24: 238-245. 

  24. Moon YH (2007)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from Korean native black pig and crossbred black pig reared in Jeju island.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846-852. 

  25. Moon YH, Jung IC (1995) Studies on aging indices of beef tenderloin aged 3 after thawing. Korean J Food Sci Ani Resous 15: 150-155. 

  26. Morrison H, Mielche MM, Purslow PP (1998) Immuno localisation of intermediate filament proteins in porcine meat. Fiber type and muscle specific variation during conditioning. Meat Sci 50: 91-104. 

  27. Obuz E, Dikeman ME (2003) Effects of cooking beef muscles from frozen or thawed states on cooking traits and palatability. Meat Sci 65: 993-997. 

  28. Oeckel MJ, Warnants N, Boucque Ch V (1999) Comparison of different methods for measuring water holding capacity and juiciness of pork versus on-line screening methods. Meat Sic 51: 313-320. 

  29. Papa I, Taylor RG, Astier C, Ventre F, Lebart MC, Roustan C, Ouali A, Benyamin Y (1997) Dystrophin clevage and sarcolemma detachment are early post mortem changes on Bass (Dicentrarchus labrax) white muscle. J Food Sci 62: 917-921. 

  30. Park JC, Kim YH, Jung HJ, Park BY, Lee JY, Moon, HK (2005) Comparison of meat qual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rk between Korean native black pigs and Landrace by market weight. J Anim sci Technol 47: 91-98. 

  31. SAS (2002) SAS/STAT user's guide; statistics, Release 8.2 edition,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32. Shim KB, Hong GP, Choi MJ, Min SG (2009) Effect of high pressure freezing and thawing proces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pork. Korean J Food Sci Ani Resous 29: 736-742. 

  33. Stone H, Didel ZL (1985) Sensory evaluation practices. Academic press INC., New York, USA, pp. 45-46. 

  34. Tomaniak A, Tyszkiewicz I, Komasa J (1998) Cryoprotectants for frozen red meats. Meat Sci 50: 365-371. 

  35. Warner RD, Kauffman RG, Russell RL (1993) Quality attributes of major porcine muscles: A comparison with the longissimus lumborum. Meat Sci 33: 359-372. 

  36. Warner RD, Kauffman PG, Greaser ML (1997) Muscle protein changes post mortem in relation to pork quality traits. Meat Sci 45: 339-352. 

  37. Yang SJ, Kim YK, Hyon JS, Moon YH, Jung IC (2005) Amino acid contents and meat quality properties on the loin from crossbred pigs reared in Jejudo. Korean J Food Sci Ani Resous 25: 7-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